[[우즈벡어]] : Samarkand Tramvayi [[러시아어]] : Самаркандский трамвай ||<-2><:>{{{#!wiki style="margin: -10px -10px" ||{{{#bf9000 {{{+1 '''사마르칸트 트램''' }}}[br]Samarkand Tramvayi[br]Самаркандский трамвай[br]Samarkand Tram}}}||}}}|| ||<-4><:>'''노선 정보'''|| ||<:>'''분류'''||<-3> [[도시철도]]([[노면전차]]) || ||<:>'''기점'''||<-3> Temir Yo'l Vokzali || ||<:>'''종점'''||<-3> Sattepo Massivi / Sivob Bozori Bekati || ||<:>'''역 수'''||<-3> 26개 / 22개 || ||<:>'''구성 노선'''||<-3> 1호선 / 2호선 || ||<:>'''개업일'''||<-3> [[2017년]] [[3월 1일]] || ||<:>'''소유자'''|| || ||<:>'''운영자'''|| Oʻzbekiston Temir Yoʻllari || ||<:>'''사용차량'''||<-3> Tatra T6B5SU (1대), Vario LF.S (20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arkand_tram.jpg|width=100%]]}}}|| || {{{#ffffff '''2호선 트램의 모습'''}}} || [[사마르칸트]]를 오가는 노면 전차, 통칭 '트람바이'라고 한다. 1947년 개통되었다가 1973년 폐쇄되었는데 이후 2017년에 다시 개통되었다. 노선은 2개가 있는데 두 노선 모두 기점이 사마르칸트 기차역이다. 사마르칸트 기차역에서 출발해 놀이공원, 티비여트 대학 등을 지나 남부 외곽에 있는 사테포 거주 지구를 오가는 1호선 통칭 '남부선'과 [[아프로시욥]], 비비하놈 사원, 레기스탄 광장 등 관광 명소들 모여 있는 동부로 향하는 2호선, 통칭 '동부선'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arkand tram 1.png|width=100%]]}}}|| || {{{#ffffff '''사마르칸트 트램 1호선(남부선)의 노선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arkand tram 2.png|width=100%]]}}}|| || {{{#ffffff '''사마르칸트 트램 2호선(동부선)의 노선도'''}}} || 동부선의 경우 시속 25km ~ 35km 정도 속력으로 달리며 기차역에서 관광지까지 약 15 ~ 20분 정도면 간다. 남부선의 경우 동부선보다는 그 속력이 느린 편인데 시속 15km ~ 25km 정도 속력으로 달리며 기차역에서 종점까지 약 25 ~ 30분 정도 걸린다. 입구는 앞과 중간, 뒤에 각각 하나씩 총 3개가 있는데 어디로든 타고 내릴 수 있다. 요금은 개통 당시 900솜(약 90 ~ 110원) 정도 였으나 이후 1200솜, 1400솜으로 점점 가격이 올라 2023년 4월 기준 1500솜(약 150 ~ 200원)으로 [[타슈켄트 지하철]]보다 100솜 더 비싸다. 운영 방식은 과거 한국의 버스와 비슷한데 트램에 타면 기차가 출발한 후 트램 안내원이 다가와 손을 내밀고 돈을 받는다. 가끔 트램 안내원이 없는 차량도 있는데 이 경우 돈을 아예 안 받거나 앞쪽 입구만 열어주고 역장이 직접 돈을 받기도 한다. 트램 정류장의 경우 왕래가 잦은 몇몇은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지만 그 외 정류장들은 여기가 지금 정류장인지 아닌지 모르는 곳도 많다. 특히 동부선의 경우 트램이 멈추는 곳이 곧 정류장이다. 심지어 [[구글]] 맵이나 [[얀덱스]] 맵에도 정류장이나 노선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 여러 불편함을 야기한다. 기차를 통해 사마르칸트에 온 관광객이라면 한번쯤 이 트램을 이용해볼 만 하다. 가격이 굉장히 저렴한 데다가 관광지 앞까지 직행으로 데려다 주기 때문이다. 역 앞에 있는 트램 정거장에서 탄 뒤 그냥 종점까지 쭉 가면 된다. 사마르칸트 서부 외곽에 있는 거대 주거 단지인 키묘갈라르 지구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호선이 지나는 거리 중 하나인 부육 이팍 욜리 거리에서 출발하여 서북부의 스피타맨 거리를 지나 키묘갈라르 지구에 향하는 3호선, 기점과 종점이 같지만 서부의 나르파이 거리를 지나는 4호선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arkand tram 3if.png|width=100%]]}}}|| || {{{#ffffff '''사마르칸트 트램 3호선의 예상 노선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arkand tram 4if.png|width=100%]]}}}|| || {{{#ffffff '''사마르칸트 트램 4호선의 예상 노선도'''}}} || [[분류:2017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우즈베키스탄의 도시철도]][[분류:사마르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