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Saab MFI-15 Safari 2003.jpg|width=100%]]|| || '''SAAB MFI-15 Safari'''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웨덴]]의 항공 산업체인 [[사브|사브 AB]] 사가 1960년대 말기 개발을 시작해 [[1972년]]부터 생산한 2~3인승 군용 [[훈련기]] 및 민간 [[경비행기]]. 별명은 '''사브 사파리'''이며, 스웨덴 공군을 비롯한 여러 공군에서 기초 훈련기로 사용 중이다. == 역사 == 자국의 경비행기 제작사인 말뫼(Malmö)[* 스웨덴의 도시 [[말뫼]]와 이름이 같다.] 사를 사들인 사브 사는 말뫼 기술진들이 만들어냈던 '''MFI-9'''의 확대 발전형으로 신형기 개발에 손을 대기 시작해 [[1969년]]에 [[프로토타입]]을 완성시켜 첫 비행에 성공을 거두었다. 이 기체에는 공랭식 수평대향 4기통 엔진 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라이커밍 O-360]]-A1B6 엔진을 장착하고 고익 배치된 전진익을 선택했는데, 이것은 탑승자의 아래쪽 시야 확보에 도움을 주기 위해 굳이 선택한 것이었다. 그밖에도 원형 1호기에는 저익 배치된 수평 미익을 달고 있었는데, 생산형에서는 야전 비행장에서 운용하는 경우 불편함을 피하기 위해 T자 꼬리날개로 수정되었다. [[랜딩기어]]는 3륜 고정식 착륙장치였으나 미륜은 수납이 가능했다. 이렇게 개조된 사양은 1972년에 처음 시험비행에 나섰고, 이후 생산된 기채들은 모두 같은 사양으로 제작되었다. 스웨덴 공군이 처음 채용한 군용 형식은 '''MFI-17 서포터(Supporter)'''라는 명칭이 붙여져 훈련기 외에 항공 감시기 또는 전선 항공 통제, 그리고 무장을 탑재하고 대게릴라전에 투입되어 COIN기로도 사용할 수 있었다. 사브 사는 민수용인 사파리와 군용형인 서포터를 합쳐서 250대 가량 제작했는데 1970년대 후반에 모든 생산을 완료했다. 그렇지만 저렴하면서 신뢰성이 높았던 이 기체는 수출 시장에서 호응이 이어져 [[1976년]]부터는 [[파키스탄]]의 국영 항공기업체인 PAC에서 무샤크(Mushshak)라는 이름으로 150대를 면허 생산하여 수출까지 했다. 파키스탄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더욱 개량된 기체를 독자 개발해서 슈퍼 무샤크(Super Mushshak)도 생산하고 있다. [[덴마크]] 역시 위의 MFI-17을 도입해 T-17이라는 제식 명칭으로 운용 중이다. 본가인 스웨덴에서는 1980년대에 접어들어 복합재료를 쓴 날개와 스키식 착륙장치가 설치된 '''MFI-18''' 라는 이름의 개량형을 제작해 시험비행까지 이뤄졌으나 양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제원 == ||설계 : 비외른 안드레아손(Björn Andreasson : 1917~1993) || ||초도비행 : [[1971년]] 2월 26일 || ||운용시기 : [[1972년]]~현재 || ||승무원 : 2명 || ||전장 : 7.10 m / 전폭 : 8.85 m / 전고 : 2.60 m / 익면적 : 11.90 m² || ||중량 : 680~900 kg || ||동력 : [[라이커밍 O-360#s-3.2|라이커밍 IO-360-A1B6]] 수평대향 4기통 엔진(210 hp) 1기 || ||최대속도 : 262 km/h || ||생산수 : 462+ || == 파생형 == === 사파리 TS === 단 1대만 생산된 특별 형식으로, 터보차저를 갖춰 157 kW(210 hp)로 출력이 보강된 엔진을 탑재했다. === MFI-17 === ||[[파일:T-17SDEN.jpg|width=100%]]|| || '''[[덴마크 공군]] 소속 T-17''' || >'''SAAB MFI-17/T-17 Supporter''' 군용 MFI-15를 기반으로 군사 훈련에 용이한 장비들을 추가적으로 탑재한 군사 개량형으로, [[덴마크]]에서는 T-17이라고 부른다. ==== PAC MFI-17 무샤크 ==== ||[[파일:PAC17mushak.jpg|width=100%]]|| || '''[[파키스탄군]] 공군 소속 PAC MFI-17''' || >'''PAC MFI-17 Mushak''' [[파키스탄]]의 PAC에서 MFI-17을 면허 생산한 모델. 원조 사용국인 파키스탄을 포함해 주로 중동 국가들을 상대로 판매되었다. ==== MFI-395 슈퍼 무샤크 ==== MFI-17 무샤크의 개량형. 주로 엔진과 전자장비를 위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스웨덴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노르웨이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덴마크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카타르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사브]][[분류:훈련기]][[분류:공격기]][[분류:스웨덴군/항공기]][[분류:파키스탄군/항공기]][[분류:노르웨이군/항공기]][[분류:덴마크군/항공기]][[분류:사우디아라비아군/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