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연(756)의 역대 황제)] ||<:><#89729E><-2>'''{{{#white 당나라의 반란자}}}''' || ||<:><#89729E><-2>'''{{{#white 연 제3대 황제 [br] {{{+1 昭武帝 | 소무제}}}}}}''' || ||<:><#89729E> '''[[시호|{{{#white 시호}}}]]''' ||<(> 소무황제(昭武皇帝) || ||<:><#89729E> '''[[성씨|{{{#white 성}}}]]''' ||<(> 사(史) || ||<:><#89729E> '''[[휘|{{{#white 휘}}}]]''' ||<(> 사명(思明) || ||<:><#89729E> '''{{{#white 생몰}}}''' ||<(> ? ~ [[761년]] || ||<:><#89729E> '''{{{#white 재위}}}''' ||<(> [[759년]] ~ [[76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당나라]] 시기의 장군. [[안녹산의 난]]에 가담하고 당나라에 항복했다가 [[사사명의 난]]을 일으켰다. 영이주 사람으로 돌궐족 출신으로 초명은 솔간(窣干). == 생애 == 어린 시절에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돌궐족 출신인것 때문에 마을에서도 멸시를 받았다. 장성해서 군대에 들어갔고 여기서 6개 언어를 구사할만큼 뛰어난 능력을 보여 승진을 거듭한다. 나중에 가면 [[당현종]]으로부터 사명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고 착생장, 대장군 등을 거쳐 천보 연간에 평로병마사가 되었으며, [[751년]]에 [[안녹산]]이 [[거란]]을 토벌할 때 도망쳐 있다가 산의 계곡에 20일 동안 있으면서 흩어진 병사들을 모아 700명을 모은 후에 안녹산을 구원했다. 거란이 사주를 포위하면서 안녹산의 지시에 따라 거란을 물리쳤고 [[752년]]에는 겸직으로 북평태수에 임명되었으며, [[755년]]에 안녹산이 난을 일으키자 그에게 가담했다. 하북, 산동 지역을 여러 차례 공격해 여러 성을 함락시키거나 안진경의 거병을 사전에 저지했으며, [[이광필]], [[곽자의]] 등과 여러 차례 싸우다가 패했지만 신도에서 오승은을 포위해 그를 항복시키거나 요양에서 장흥을 사로잡아 죽이기도 했다. [[757년]]에 안녹산이 2남 안경서에게 살해당하자 당나라에 귀순해 범양절도사에 임명되었는데, [[758년]]에 [[당숙종]]이 오승은, 아사나승경 등을 시켜 사사명을 살해하려고 했다. 사사명은 이를 미리 알아내서 오승은 등을 죽이고 사사명의 난을 일으켰다. 이후의 행적은 [[사사명의 난]] 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 == 죽음 == 사사명은 반란을 일으킨 후 업군에서 숨죽이고 있던 안경서마저 살해하고 [[759년]] 위주에서 대성연왕(大聖燕王)이라 칭했다가 범양에서 [[연(안사의 난)|대연]]황제(大燕皇帝)에 즉위해 연호를 순천(順天)으로 했으며, 범양을 연경으로 고쳤다. 사사명은 남하해 하남을 제압했지만 이광필의 저항으로 인해 하양성에 패하면서 당나라와 대치하는 상황을 유지하게 되면서 당나라가 반격의 기회를 노릴 수 있게 된다. [[761년]]에는 연호를 응천(應天)으로 고쳤다. 사사명은 성격이 포악하고 잔인해서 자신의 뜻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으면 그 사람을 죽였으며 의심병과 시기질투가 심해져서 별 것 아닌 이유로 자주 사람을 죽였다. 사사명은 후처에게서 얻은 어린 아들 사뢰청을 아꼈으며 이에 본처에게 얻은 장남이자 반란에서 생사고락을 함께했던 사조의를 죽이고 사뢰청을 태자로 삼으려 한다. 이를 눈치채 [[사조의]]는 부장 낙열, 채문경, 허계상 등과 함께 군사를 일으킨다. 사사명은 녹교역에서 머물다가 사조의의 기습을 받았고 사사명은 변고가 일어난 것을 듣고 담장을 넘어 마구간으로 가서 말을 타고 달아나려다가 주자준이 활을 쏘자 어깨에 화살을 맞고 말에서 떨어져 체포되었으며, 유천역에 호송되어 투옥되었다가 교수형으로 살해당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당서)] [include(틀:신당서)] [[분류:수당시대/인물]][[분류:비정통 황제]][[분류:761년 사망]][[분류:랴오닝성 출신 인물]][[분류:교수형된 인물]][[분류:튀르크계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