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사상구의 법정동)] ||<-4> '''[[부산광역시|{{{#000,#ddd 부산광역시}}}]]의 [[자치구|{{{#000,#ddd 자치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사상구 CI.svg|height=55]]}}}||{{{#!wiki style="margin: -5px 0" '''{{{+1 사상구}}}'''[br]沙上區[br]{{{-1 Sasang District}}}}}}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광역시 사상구, 너비=100%, 높이=100%)]}}} || ||<-2> '''구청 소재지''' ||<-2> 학감대로 242 (감전동) || ||<-2> '''광역자치단체''' ||<-2> [[부산광역시]] || ||<-2> '''하위 행정구역''' ||<-2> 12[[동(행정구역)|동]][* 8개 [[법정동]], 12개 [[행정동]]] || ||<-2> '''면적''' ||<-2> 36.1㎢ || ||<-2> '''인구''' ||<-2> 201,614명[* 2024년 4월 주민등록인구] || ||<-2> '''인구밀도''' ||<-2> 5,584.87명/㎢[* 2024년 4월 기준.] || ||<-2> '''구청장'''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조병길]] {{{-2 (초선)}}} || ||<|3><-2> '''구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5석[*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김종선 [br] 사상구 나선거구 (모라1동, 모라3동): 이종구 [br] 사상구 다선거구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윤숙희]] [br] 사상구 라선거구 (학장동, 엄궁동): 김정옥 [br] 비례대표: 김윤경]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5석[*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이정욱 [br] 사상구 나선거구 (모라1동, 모라3동): 김향남 [br] 사상구 다선거구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정춘희 [br] 사상구 라선거구 (학장동, 엄궁동): 정두희 [br] 비례대표: 황수진] || || [include(틀:공석/행정구역)] || 1석[*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신혜정 의원 사직으로 인한 공석] || ||<-2> [[부산광역시의회|{{{#fff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2석[*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모라1동, 모라3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윤태한]] (초선) [br] 사상구 제2선거구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 김창석 (초선)] || ||<-2> [[사상구(선거구)|{{{#fff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대식]] {{{-2 (초선)}}} || ||<|4> '''상징''' || '''구화''' ||<-2> [[철쭉|철쭉꽃]] || || '''구목''' ||<-2> [[소나무]] || || '''구조''' ||<-2> [[까치]] || || '''구가''' ||<-2> [[https://www.sasang.go.kr/index.sasang?menuCd=DOM_000104001008000|사상구민의 노래]] || ||<-2> '''지역번호''' ||<-2> '''051''' || ||<-4> [[https://www.sasang.go.kr/index.sasang#firstPag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facebook.com/funbssasa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sSasang, 크기=23)] | [[https://www.instagram.com/sasangg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youtube.com/%EC%82%AC%EC%83%81%EA%B5%AC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https://blog.naver.com/bssasanggu|[[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https://pf.kakao.com/_JULDC|[[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1995년 3월 1일에 [[북구(부산)|북구]]의 가운데 부분을 분리하여 [[모라동]] 남쪽 부분이 [[북구(부산)|북구]]에서 독립하여 생겨난 곳이다. 따지고 보면 옛 동래군 사상면의 관할구역이 그대로 자치구로 승격한 셈이다.[* 사상구 아랫동네인 [[사하구]]도 동래군 시절에는 사하면이라 마찬가지라 볼 수 있겠지만 정확히는 사하면 시절의 관할구역은 사하구와 서구 암남동까지 포함했다. 그러니까 지금의 사하구는 사하면에서 서구 암남동을 뺀 나머지 영역이라 볼 수 있다. (정확히는 암남동이 먼저 부산으로 편입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나중에 부산으로 편입되었다.)] 흔히 [[사하구]], [[강서구(부산)|강서구]], [[북구(부산)|북구]]와 함께 [[낙동강 벨트]]의 한 축으로서 [[서부산]]권에 속하는 지역이며 [[북부산]]이라는 명칭은 공식적으로 쓰이는 명칭은 아니지만 북구를 가리킨다. == 상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erqerqwer.jpg|width=100%]]}}}|| || '''{{{#fff 사상구청. [[2002년|{{{#fff 2002년}}}]] 준공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상구 마스코트.jpg|width=100%]]}}}|| || {{{#fff 사상구 [[마스코트|{{{#fff 마스코트}}}]]이자 캐릭터 '신바람이'.}}}[* 사상구의 미래상인 ‘첨단문화도시'의 모습이자, 머리 위의 바람개비를 이용하여 사상구 곳곳을 날아다니며 신바람을 일으키는 귀염둥이라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bs.twimg.com/pPvyH86g.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martsiren.co.kr/sinbaram_400x400.png|width=100%]]}}}|| == 역사 == [[금관국|금관가야]]시기엔 현재의 [[경부선]]보다 고도가 낮은지대, 주례역 삼거리 서쪽 지역 및 사상공단 일대의 경우,거의 해수면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경상도 동래군 사천면의 영역에 해당한다. * 1914년 4월 1일: 경상남도 동래군 사천면이 남북으로 분할되어 북쪽지역을 사상면으로 설치.[* 당시 면사무소는 현재의 사상초등학교 옆에 있는 사상교회교육관 자리에 있었고 1962년까지 면사무소로서 기능을 하였다. 사상구 지역의 부산시 편입 직후부터 2002년 5월 중순까지 사상구청, 구의회 및 보건소를 신축하여 이전하기 전에는 북구(1995년 3월 1일 이후에는 사상구) 보건소로 사용되었다.] * 1963년 1월 1일: 사상면이 부산직할시에 편입되고 부산진구 사상출장소로 전환. * 1975년 10월 1일: 사상출장소가 폐지되고 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로 전환.[* 같이 폐지되는 구포출장소와 한데 묶어 출범하였다.] * 1978년 2월 15일: 북부출장소가 북구로 승격. 김해군의 일부지역이 북구에 편입. * 1979년 1월 1일: 주례동이 주례1동과 주례2동으로 분리. * 1979년 8월 8일: 감전동이 감전1동과 감전2동으로 분리. * 1982년 5월 1일: 법정동 경계조정으로 감전동(1동 소속)의 일부가 엄궁동으로 편입. * 1982년 9월 1일: 덕포동이 덕포1동과 덕포2동으로 분리. * 1991년 9월 15일: 모라동이 모라1동과 모라2동으로, 주례1동의 일부가 주례3동으로 분리. * 1994년 7월 1일: 모라2동의 일부가 모라3동으로 분리. * 1995년 3월 1일: 북구의 일부(구 사상출장소)가 사상구로 승격되어 분리됨. * 2008년 1월 1일: 감전1동과 감전2동이 감전동으로, 모라1동과 모라2동이 모라1동으로 합병. == 지리 == 부산의 대표적인 공업지구인 [[사상공단]]이 있는데 1968~1975년에 걸쳐 조성된 공단이다.[[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146241970|#]] 공단이 조성된 땅은 [[강서구(부산)|낙동강 삼각주]]처럼 점토로 이루어진 충적평야였던 곳으로 폭우가 쏟아지기라도 하면 꼼짝없이 [[홍수]] 피해가 극심한 곳이었으며 [[1991년]]에 태풍 글래디스로 인하여 구포에서 낙동강 제방이 붕괴되어 낙동강 물이 범람하여 서부터미널 일대까지 홍수 피해를 입은 전적이 있다. 공단에 인접한 주거지가 으레 그렇듯이 주거환경에 있어서는 다른 자치구에 비해 평판이 나쁘다. 사실 모라동[* 사실 모라1동은 30~40%가 공장이 차지하지만 나름 괜찮게 개발된 지역이다. 경부선 선로를 기준으로 나뉘어져 공장과 주거단지가 나누어져 있다.]과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은 택지로써 괜찮게 개발되기는 했지만 공장과 주거지가 확실하게 분리되지 않은 감전동이나 삼락동,[* 사람들이 오해하는 게 있는데 공단의 반은 삼락동 안에 포함되어있다. 삼락동이 워낙 땅덩어리가 넓어서 사상의 괘법부터 북구의 구포 사이가 다 삼락동이기 때문에 공단 중간에 있는 하천을 경계삼아 덕포, 모라, 삼락이 나눠진다.] 덕포동일수록 이런 경향이 현저하다. 더군다나 사상공단에 입주해 있는 업체들이 하나같이 공해 산업으로 악명높은 주물업체라서. [[학장천]], [[감전천]], [[삼락천]] 같은 자연하천이 흐른다. == 인구 == || [[파일:사상구 CI.svg|width=50]]'''[[사상구|{{{#000 부산광역시 사상구}}}]]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5년]] [[3월 1일]] 북구 일부 지역[* 모라제1동, 모라제2동,모라제3동, 삼락동, 덕포제1동, 덕포제2동, 괘법동, 감전제1동, 감전제2동, 주례제1동, 주례제2동, 주례제3동, 학장동, 엄궁동] → 부산광역시 '''사상구''' 승격 분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7.97%, #888 0%, #888 100% , #AAA 0%)" {{{#fff 1995년 293,9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00%, #888 0%, #888 100% , #AAA 0%)" {{{#fff 2000년 301,1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2.49%,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77,4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5.95%,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57,84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9.2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37,7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0.8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12,5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7.20%, #888 0%, #888 100%, #AAA 0%)" {{{#fff '''2024년 4월 201,61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8.44%, #888 0%, #888 100%, #AAA 0%)" {{{#fff 학장동 26,5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7.89%, #888 0%, #888 100%, #AAA 0%)" {{{#fff 모라제1동 26,3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1.47%, #888 0%, #888 100%, #AAA 0%)" {{{#fff 엄궁동 24,4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0.92%, #888 0%, #888 100%, #AAA 0%)" {{{#fff 괘법동 24,2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2.20%, #888 0%, #888 100%, #AAA 0%)" {{{#fff 주례제2동 21,6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5.14%, #888 0%, #888 100%, #AAA 0%)" {{{#fff 주례제1동 16,54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0.74%, #888 0%, #888 100%, #AAA 0%)" {{{#fff 주례제3동 12,22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0.52%, #888 0%, #888 100%, #AAA 0%)" {{{#fff 덕포제2동 12,1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0.42%, #888 0%, #888 100%, #AAA 0%)" {{{#fff 감전동 12,1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8.57%, #888 0%, #888 100%, #AAA 0%)" {{{#fff 덕포제1동 11,5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0.95%, #888 0%, #888 100%, #AAA 0%)" {{{#fff 모라제3동 9,2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7.33%, #888 0%, #888 100%, #AAA 0%)" {{{#fff 삼락동 5,198명}}}}}} || || {{{-2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 || ===# 행정동별 인구추이 #=== ||
[[파일:사상구 CI.svg|width=30]] '''[[삼락동(부산)|{{{#000 삼락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br]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5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0.671%,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2,4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7.209%,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6,12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2.738%,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8,6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5.53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21,4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0.271%,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8,0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3.418%,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4,2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1.333%,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1,5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3.702%,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9,8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8.356%,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8,6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1.9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7,1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6.67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6,00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3.66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5,324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width=30]] '''[[모라동|{{{#000 모라제1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br]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511%,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3,8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1.298%,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5,0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0.478%,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9,2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4.922%,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20,2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2.087%,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23,4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4.471%,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38,012명}}}}}} || || [[1991년]] [[9월 15일]] 모라동 → '''모라제1동''', 모라제2동 분동 [br] [[1994년]] [[7월 1일]] 모라제2동 → 모라제2동, 모라제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0.664%, #ed1c23 0%, #ed1c23 96.24%, #888 0%)" {{{#fff 1995년 43,308명(모라제1동 13,799명 + 모라제2동 29,5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3.22%, #ed1c23 0%, #ed1c23 86.687%, #888 0%)" {{{#fff 2000년 39,009명(모라제1동 10,449명 + 모라제2동 28,5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0.353%, #ed1c23 0%, #ed1c23 79.816%, #888 0%)" {{{#fff 2005년 35,917명(모라제1동 9,159명 + 모라제2동 26,758명)}}}}}} || || [[2007년]] [[12월 31일]] '''모라제1동''' + 모라제2동 → '''모라제1동'''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3 75.991%,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4,1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3 66.849%,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0,0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3 62.66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8,1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d1c23 59.153%,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26,619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width=30]] '''[[모라동|{{{#000 모라제3동}}}]]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4년]] [[7월 1일]] 모라제2동 → 모라제2동, '''모라제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6.388%,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4,0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1.04%,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0,2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9.75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7,4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2.568%,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5,6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4.072%,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3,5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4.088%,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1,02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7.8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9,470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width=30]] '''[[덕포동(부산)|{{{#000 덕포제1동}}}]]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br]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153%,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8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1.467%,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3,4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8.59%,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4,5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9.063%,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29,719명}}}}}} || || [[1982년]] [[9월 1일]] 덕포동 → '''덕포제1동''', 덕포제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3.30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24,9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1.653%,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24,4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1.41%,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8,42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0.66%,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5,1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7.37%,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4,2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1.51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2,4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1.09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2,3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9.6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8,8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6.0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10,82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width=30]] '''[[덕포동(부산)|{{{#000 덕포제2동}}}]] 인구 추이''' [br] {{{-3 (1985년~현재)}}} || || [[1982년]] [[9월 1일]] 덕포동 → 덕포제1동, '''덕포제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7.475%,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9,4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8.14%,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7,6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3.53%,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8,7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9%,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7,8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2.645%,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6,5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2.33%,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6,4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3.675%,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4,7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3,2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1.15%,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12,230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1985-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width=30]] '''[[괘법동|{{{#000 괘법동}}}]]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br]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6.459%,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5,3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9.465%,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9,5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8.055%,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5,6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2.609%,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26,84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8.868%,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32,1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7.825%,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31,7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2.702%,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3,6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6.689%,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4,9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4.64%,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4,2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7.779%,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2,0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5.92%,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1,4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7.831%,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2,0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5.283%,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24,467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width=30]] '''[[감전동|{{{#000 감전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br]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891%,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2,5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1.933%,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4,4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4.88%,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6,830명}}}}}} || || [[1979년]] [[8월 8일]] '''감전동''' → 감전제1동, 감전제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7.984%, #ed1c23 0%, #ed1c23 93.488%, #888 0%)" {{{#fff 1980년 35,058명(감전제1동 17,994명 + 감전제2동 17,06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8.997%, #ed1c23 0%, #ed1c23 93.741%, #888 0%)" {{{#fff 1985년 35,153명(감전제1동 18,374명 + 감전제2동 16,7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1.349%, #ed1c23 0%, #ed1c23 91.163%, #888 0%)" {{{#fff 1990년 34,186명(감전제1동 19,256명 + 감전제2동 14,9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8.269%, #ed1c23 0%, #ed1c23 66.16%, #888 0%)" {{{#fff 1995년 24,810명(감전제1동 14,351명 + 감전제2동 10,4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7.797%, #ed1c23 0%, #ed1c23 50.4%, #888 0%)" {{{#fff 2000년 18,900명(감전제1동 10,424명 + 감전제2동 8,4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3.749%, #ed1c23 0%, #ed1c23 46.515%, #888 0%)" {{{#fff 2005년 17,443명(감전제1동 8,906명 + 감전제2동 8,537명)}}}}}} || || [[2007년]] [[12월 31일]] 감전제1동 + 감전제2동 → '''감전동''' 합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3.099%,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6,1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1.27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5,4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6.877%,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3,8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2.917%,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12,344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height=20]] '''[[주례동|{{{#000 주례제1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br]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82%,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3,52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23.065%,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9,22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7.33%,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22,932명}}}}}} || || [[1979년]] [[1월 1일]] 주례동 → '''주례제1동''', 주례제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2.075%,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6,8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4.915%,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21,9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40,860명}}}}}} || || [[1991년]] [[9월 15일]] '''주례제1동''' → '''주례제1동''', 주례제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8.8225%,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9,5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8.7475%,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9,4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9.075%,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9,6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5.8825%,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8,35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0.495%,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6,1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8.8775%,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5,55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1.7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16,688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height=20]] '''[[주례동|{{{#000 주례제2동}}}]] {{{#000 인구 추이}}}''' [br] {{{-3 (1980년~현재)}}} || || [[1979년]] [[1월 1일]] 주례동 → 주례제1동, '''주례제2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2.34%,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24,70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9.28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29,7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1%,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27,3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4.97%,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2,4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0,05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9.95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9,9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1.04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7,3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5.46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5,6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8.18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3,4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3.26%,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21,978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80-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height=20]] '''[[주례동|{{{#000 주례제3동}}}]]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1년]] [[9월 15일]] 주례제1동 → 주례제1동, '''주례제3동''' 분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2,9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9.316%,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0,0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0.271%,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8,0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4.276%,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6,71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7.18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5,1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9.578%,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3,4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4.76%,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12,321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height=20]] '''[[학장동|{{{#000 학장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br]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824%,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6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158%,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2,1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9.372%,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8,233명}}}}}} || || [[1978년]] [[2월 15일]] '''학장동''' 일부 → [[서구(부산광역시)|부산시 서구]] [[서대신동#s-3.3|서대신제4동]]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7.113%,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5,7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2.962%,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8,2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48.075%,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20,43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1.221%,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38,7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42,5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4.537%,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40,1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4.184%,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5,7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8.52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3,37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8.22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8,99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3.09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26,815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사상구 CI.svg|height=20]] '''[[엄궁동|{{{#000 엄궁동}}}]]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br]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357%,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8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6.617%,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2,3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15.703%,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5,49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38.894%,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3,6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58.903%,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20,6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1.497%,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28,5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1.171%,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4,9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6.417%,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3,7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89.469%,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1,3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7.449%,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34,1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93.229%,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32,6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9.96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7,98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4e 70.483%,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24,669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교통 == [include(틀:사상구의 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사상로(부산)|사상로]]와 [[가야대로]]를 따라서 지나가며 [[경부선]] [[사상역(경부선)|사상역]]이 이곳에 있다. 하지만 여객취급은 거의 개점휴업상태나 다름없을 정도로 정차 편수가 적다.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이 역을 경유하고 [[부산김해경전철]]--과 [[사상하단선]]--이 사상역에서 시종착하기 때문에 향후 사상역은 [[왕십리역]]에 버금가는 환승의 요충지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안그래도 서부산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이 사상역 근처에 있다. 이 외에도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연결되는 [[도시고속화도로]]인 [[동서고가로]]가 사상구의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며 [[사상IC|감전나들목]]과 주례램프가 있다. 이 때문에 주례교차로를 중심으로 한 [[가야대로]] 일대는 항상 교통정체에 시달린다. 지나가는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로는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중앙고속도로]]가 있다.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해당 문서로. === 관내 [[철도]][[역(교통)|역]] 목록 === * 취소선은 미개통역, 사상역은 환승하는 노선이 많으므로, 환승역으로 '''별도''' 표기 * 환승역: [[사상역]]([[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부산 도시철도 5호선]], [[경부선]], [[가야선]]) * [[파일:Busan2.svg|width=15]]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냉정역]], [[주례역]], [[감전역]], [[덕포역]], [[모덕역]], [[모라역]] * [[파일:BGL_logo.svg|width=15]] [[부산김해경전철]]: [[괘법르네시떼역]] * ~~[[파일:Busan5.svg|width=15]]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새벽시장역]], [[사상스마트시티역]], [[학장역]], [[엄궁역]]~~ == 경제 == 학장동, 감전동 일대에 있는 부산 최대의 공단인 [[사상산업단지]]가 지역 경제의 8할을 책임지고 있다. 그래서 공단의 존재 덕분에 경제력이 꽤나 높을 것처럼 보이겠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2021년 6월 기준 [[https://bigdata.busan.go.kr/visualztnBigDataAnals/bigDataAnalsDetailView.do?menuCode=MU0000027|부산 지역별 평균소득 수준 조사]] 결과에서 사상구는 부산 전체 16개 구군들 중 14위(30,848천원)로 뒤에서 3위를 기록했다. 1위를 차지한 해운대구(36,789천원), 2위를 차지한 동래구(35,716천원)와는 매우 격차가 [[넘사벽]]이며, 꼴찌 중구(30,103천원), 15위 영도구(30,801천원)와 [[도찐개찐]]인 수준이다. 원래 사상구의 주물 공단이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잘 나간 편이었지만, 외환위기 때 수많은 회사들이 [[중국]]으로 옮겨갔고, 이후 중국에서 저렴한 인건비로 주물 수주를 왕창 쓸어가자 사상공단의 경쟁력과 [[평판#s-1|평판]]이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공단들도 말이 공단이지 공단 내 공장의 1/3은 회사가 부도로 망해서 기계가 그대로 방치된 공실들이다. 의외로 외국인들의 소비 규모가 큰 지역이다. 2014년에는 부산에서 [[부산진구]]에 이어 2번째로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316000065|외국인이 신용카드를 많이 사용한 지역으로 꼽혔다]]. 사상공단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은데다 괘법동 일대에 다문화 거리가 들어서고, 주말이면 괘법동 [[홈플러스 서부산점|홈플러스]], [[이마트 사상점|이마트]]를 이용하는 외국인 쇼핑객과 근처 수변공원을 이용하는 외국인 커플의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여기에 [[김해국제공항]]과 교통상 가깝다는 점 덕분에 외국인들이 이 곳에서 소비를 많이 하는 것도 보인다. 또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도 있는데, 서부터미널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보다 오히려 수요가 더 높고 공급도 더 높아 이용객들이 부산의 버스 터미널들 중에서 가장 많으며 버스 기사들을 포함 직원들도 부산의 버스 터미널들 중에서 가장 많다. 물론 규모 자체는 노포동터미널이 더 크다. 사실 이는 노포동터미널이 지나치게 부산의 외곽에 있고 주변에 공동묘지([[영락공원]])가 있기 때문에 그렇다. 추가로 시외버스를 타고 공단이 많은 [[경상남도]] 쪽으로 가는 외국인들도 많다. === 금융 === ||<-4> '''{{{#fff 사상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 '''부산사상우체국 (7)'''}}}]] || ||<-4> '''{{{#1d1e23 국책은행 }}}''' || ||<-4> [[기업은행|{{{#fff '''중소기업은행 (4)'''}}}]] || ||<-4> '''{{{#1d1e23 특수은행 }}}''' || ||<-4> [[농협은행|{{{#fff '''농협은행(중앙회) (6)'''}}}]] || ||<-4> '''{{{#1d1e23 시중은행 }}}''' || ||<-2> [[신한은행|{{{#fff '''신한은행 (1)'''}}}]] ||<-2> [[우리은행|{{{#fff '''우리은행 (2)'''}}}]] || ||<-2> [[하나은행|{{{#fff '''하나은행 (2)'''}}}]] ||<-2> [[국민은행|{{{#fff '''국민은행 (4)'''}}}]] || ||<-4> '''{{{#1d1e23 지방은행 }}}''' || ||<-2> [[부산은행|{{{#ff0000 '''부산은행 (13)'''}}}]] || [[경남은행|{{{#ff0000 '''경남은행 (1)'''}}}]] || [[대구은행|{{{#9acd32 '''대구은행 (1)'''}}}]] || ||<-4> '''{{{#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fff 농업협동조합 }}}''' || ||<-2> [[농협|{{{#fcaf16 '''중부산농협 (3)'''}}}]] || [[농협|{{{#fcaf16 '''부경양돈농협 (1)'''}}}]] || [[농협|{{{#fcaf16 '''부경원예농협 (1)'''}}}]] || ||<-4> '''{{{#fff 수산업협동조합 }}}''' || ||<-2> [[수협|{{{#00a5e3 '''제1,2구잠수기수협 (1)'''}}}]] ||<-2> [[수협|{{{#00a5e3 '''경남정치망수협 (1)'''}}}]] || ||<-4> '''{{{#fff 새마을금고 }}}''' || || [[새마을금고|{{{#afeeee '''승학새마을금고 (5) '''}}}]] || [[새마을금고|{{{#afeeee '''주례새마을금고 (2) '''}}}]] || [[새마을금고|{{{#afeeee '''부산주례새마을금고 (3) '''}}}]] || [[새마을금고|{{{#afeeee '''백양새마을금고 (3) '''}}}]] || || [[새마을금고|{{{#afeeee '''늘푸른사상새마을금고 (5) '''}}}]] || [[새마을금고|{{{#afeeee '''사상중앙새마을금고 (2) '''}}}]] ||<-2> [[새마을금고|{{{#afeeee '''감전새마을금고 (1) '''}}}]] || ||<-4> '''{{{#fff 신용협동조합 }}}''' || ||<-2> [[신협|{{{#ffa500 '''사상신용협동조합 (4) '''}}}]] ||<-2> [[신협|{{{#ffa500 '''서부산신용협동조합 (2) '''}}}]] || ||<-4> '''{{{#fff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4> [[저축은행|{{{#999999 '''진주저축은행 (1)'''}}}]] || == 문화/명소/상권 == * 삼락생태공원 * 삼락강변체육공원 * 르네시떼 * [[롯데마트 사상점]] * [[부산광역시/상권#s-2.8|사상역/터미널 주변 번화가]] * [[사상생활사박물관]] == 교육 == === 대학교 === * [[경남정보대학교]] (주례동 81) * [[동서대학교]] (주례동 산69-1) * [[부산디지털대학교]] (주례동 산58-1) * [[신라대학교]] (괘법동 산1-24) 사상구에 있는 네 개의 [[대학]] 중 부산디지털대와 동서대, 경남정보대 3개는 지역구 국회의원을 거쳐 국회부의장까지 역임한 [[장성만]]의 '''[[동서학원]]''' 소유다. 현재는 장남 [[장제국]]이 물려받았다. 지금도 사상구에는 이 동서학원이라는 사학재단의 영향력이 강하게 남아 있다. 차남 [[장제원]]이 부친이 닦아 놓은 [[지역구]]에서 '''[[NO:EL|아들]]의 [[NO:EL/논란 및 사건사고|숱한 범죄들]]에도 불구하고''' 3선이나 했으니 말이다. 한편 신라대학교는 장성만 일가와는 관련 없는 박영학원 소유로,[* 위치도 주례동에 있는 동서학원과 달리 괘법동이다.] 예전에는 사상구가 아닌 연제구 [[연산동(부산)|연산동]]에 있다가 이전해 왔다. 원래 위치는 현재의 이마트 연산점 인근이었으며, 병설 중학교인 신라중학교가 부일여자중학교였을 때 위치도 이마트 연산점 맞은편(현 경동메르빌아파트 부지)이었다. === 고등학교 === [include(틀:부산광역시 사상구의 고등학교)] '''[[면적]]이 상당히 넓은 구인 반면 [[고등학교]]는 여섯 곳 뿐이라 고등학교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그 와중에도 [[서부산공업고등학교]]는 [[특성화고]]이며 부산산업학교는 직업학교라 직업반들만 갈 수 있기 때문에[* 각 고등학교 직업반 학생들끼리 서로 모여서 직업훈련을 하는 학교이다. 이 때문에 자체 교복은 없으며 특수학교로 취급받는다.] 실질적인 [[일반계 고등학교]]는 넷 뿐이며 '''[[남녀공학]]은 하나도 없다.'''[* 구덕고랑 사상고는 [[남자고등학교]]이고 대덕여고랑 주례여고는 [[여자고등학교]]다.][* 그마저도 구덕고랑 사상고는 도로 주변에 학교가 있어 접근성이 좋으나 주례여고랑 대덕여고가 접근성이 몹시 좋지 않기때문에 부산진구나 서구, 사하구에 위치한 학교들로 많이 가는 편이다.] 때문에 [[주례동]]([[주례역]], [[냉정역]] 부근)에 사는 사람들은 [[부산진구]]의 고등학교로 통학하는 편이고 [[삼락동(부산)|삼락동]], [[모라동]]에 사는 사람들은 [[북구(부산)|북구]]의 고등학교로 통학하는 편이다.[* 이들 동네는 구포3동에 위치한 [[성도고등학교]]랑 [[삼정고등학교]]로 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낙동고등학교]]나 [[화명신도시]]에 위치한 [[화명고등학교]], [[금곡고등학교(부산)|금곡고등학교]]로 가기도 한다.] [[엄궁동]] 거주자는 [[사하구]] [[하단동]]에 위치한 [[건국고등학교]]나 [[부산여자고등학교]]로 가기도 하고 [[학장동]]의 경우 여고생들은 [[부산서여자고등학교]]로[* 주례여고로 갈 수 있으나 67번을 타면 환승없이 서여고로 바로 이어준다. 또한 주례여고는 환승을 해서 가야 하며 동서대 인근에 위치해서 접근성이 매우 병맛이다.], 남고생 중 [[구덕고등학교]]가 과밀 현상이 발생하면 [[구덕터널]]을 넘어서 [[학군]]을 넘나들며 [[서구(부산)|서구]]에 있는 [[경남고등학교]]나 남녀공학인 [[부경고등학교]], 특성화고인 [[경성전자고등학교]]나 [[부산관광고등학교]]로 올 정도이다. 거짓말이 아니라 실제로 [[학장동]]에서는 사상고로 가는 것보다 [[구덕터널]] 하나 넘어서 [[동대신동]]으로 가면 바로 경남고랑 부경고로 갈 수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로 학년당 130~160명대의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다. * [[구덕고등학교]](학장동 180-9) * [[대덕여자고등학교]](덕포동 8-41): 2004년 8월 1일 [[도전! 골든벨]]에서 최후의 1인이 이 학교 출신이다. 이 학교는 생활경제 과목을 필수로 배운다. * [[서부산공업고등학교]](덕포동 45-6) * [[사상고등학교]](덕포동 150-1): 원래는 [[모라폐교]]가 있는 부지에 사립 고등학교로 개교하려 했으나 무산되는 바람에, 원래 덕포동에 위치했던 [[사상중학교]]의 부지와 시설을 그대로 2008년에 [[공립고등학교]]로 재개교하였다. [[고등학교]]가 매우 부족한 사상구였기때문에 부득이하게 [[사상중학교]]를 [[폐교]]시키고 고등학교로 재개교시켰다. 만약 사상고등학교가 재개교되지 않았다면 사상구에 위치한 인문계 남고는 구덕고등학교 단 하나만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통학하는데 상당히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 [[주례여자고등학교]](주례동 84-176): 박근혜 키즈로 유명하고 그 유명한 [[문재인]]을 상대로 무려 40%대를 득표한 [[손수조]]의 출신 고등학교이다. === 중학교 === [include(틀:부산광역시 사상구의 중학교)] * [[덕포여자중학교]](덕포동 136) * [[동주중학교]](주례동 543): 근처에 있을 듯한 동주여자중학교는 [[사하구]]에 있다. * [[모동중학교]](모라동 75-12) * [[모라중학교]](모라동 1348) * ~~[[삼락중학교]]~~(삼락동 380-17): 학교 부지가 위치한 곳이 [[모덕역]] 근처에 [[사상]][[공단]] 부근이라 주변환경이 별로 좋지 못하다. 학생 수 감소와 사상공단 한복판에 위치한 어이없는 위치[* 학교 안에서 굴뚝에서 연기나오는 모습이 심심찮게 보인다.]와 사상공단 특성상 공해[* 바로 옆에 페인트 공장이 있다.]로 인하여 2019년 3월에 폐교됐다. * [[신라중학교(부산)|신라중학교]](덕포동 66-2) * [[엄궁중학교]](엄궁동 2) * [[주감중학교]](주례동 995) * [[주례중학교]](주례동 55-33) * [[주례여자중학교]](주례동 95) * [[학장중학교]](학장동 574-116) === 초등학교 === [include(틀:부산광역시 사상구의 초등학교)] * 감전초등학교(감전동 119-6): 2011년 즈음부터 체육진흥공단의 지원으로 운동장이 모두 인조잔디로 교체되고 트랙이 설치되었다. 여자축구부가 창설되면서 지원이 들어온 것. 덕분에 모래운동장이 대부분인 인근 초등학교보다 인프라가 앞서는 편이다. 이때 담도 모두 헐어 개방형구조를 취하고 있다. * 괘법초등학교(괘법동 556-2): [[1998]]년 창진초등학교와 분리되었다. * 구학초등학교(학장동 168-15) * 덕상초등학교(덕포동 775-1) * 덕포초등학교(덕포동 406-1) * 동궁초등학교(엄궁동 680-4) * 동주초등학교(주례동 537) * 모덕초등학교(모라동 1364-1) * 모동초등학교(모라동 75-11) * 모라초등학교(모라동 655-3) * 모산초등학교(모라동 550) * 사상초등학교(덕포동 692-1) * 삼덕초등학교(삼락동 409-17) * 서감초등학교(감전동 122-1) * 엄궁초등학교(엄궁동 47) * 주감초등학교(주례동 319) * 주양초등학교(주례동 10-1) * 주학초등학교(주례동 84-192) * 창진초등학교(괘법동 519-2): [[1998년]] 괘법초등학교와 분리되었다. * 학장초등학교 (학장동 242-1): 학생수가 많지 않다. 사상공업단지 안에 위치해 있어서 학부모들이 인근의 학진초등학교나 모라초등학교로 보내는 일이 많은 편. * 학진초등학교 (엄궁동 25-21) === 특수학교 === * 부산산업학교(덕포동 775-1): 직업반 학생들이 주로 다니는 학교로 특수학교에 속한다. [[서부산공업고등학교]] 바로 옆에 붙어 있다. * 부산솔빛학교(삼락동 365-8) == 의료기관 == 종합병원으로 부산보훈병원(475병상)과 좋은삼선병원(375병상)이 모두 주례동에 있다. 모두 구 경계에 있다 보니 지역 주민들이 이용하기에는 편리하지 않은 편. == [[사상구/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상구/정치)] == 하위 행정구역 == [[파일:사상구의 행정구역.png]] === [[삼락동(부산)|{{{#417eb7 삼락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5,240명'''.[*P 2023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 면적 대부분은 삼락생태공원을 포함한 [[낙동강]] 둔치 지역이고, 나머지 지역의 대부분도 주거지라기 보다는 공단이 밀집한 곳이다. 면적은 사상구 내 행정동 중에서도 가장 넓은데 인구는 1만 명도 되지 않는다. 다른 지역에는 '''삼락생태공원'''으로 그나마 알려져 있다. [[부산사상소방서]]가 있다. 학교는 삼덕초, [[부산조리고]]와 특수학교인 부산솔빛학교가 있다. === [[모라동|{{{#b8bf35 모라1동, 모라3동}}}]] === 관할 법정동은 모라동이다. * '''모라1동''': 인구는 '''26,390명'''.[*P] '''신모라'''라고 불리며 인접한 [[북구(부산)|북구]]와 생활권을 공유한다. [[경부선]]을 중심으로 서쪽은 공단과 주거지가 혼재되어 있고 동쪽에 우신모라아파트(1,620세대), 동원아파트(1,110세대), 모라1차 우성아파트(796세대), 모라벽산아파트(780세대) 등 주거지역과 상업시설이 있다. 학교는 모덕초, 모라초, [[모라중]]이 있다. * '''모라3동''': 인구는 '''9,327명'''.[*P] [[백양산]] 안쪽 골짜기에 주거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백양그린 근처 빌라들을 제외하면 모라주공1,3단지(4,913세대), 백양그린아파트(1,080세대), 백양푸른숲아파트(900세대) 등 모두 아파트이다. [[백양터널]]을 통해 [[부산진구]] 및 도심으로 넘어갈 수 있다. 학교는 모동초, 모산초, [[모동중학교|모동중]]이 있다. === [[덕포동(부산)|{{{#7872a9 덕포1동, 덕포2동}}}]] === 관할 법정동은 덕포동이다. 1동과 2동 모두 [[경부선]]에 의해 동이 동서로 나뉜다. * '''덕포1동''': 인구는 '''11,518명'''.[*P] 평범한 주거지역이다. 경부선 서쪽으로 재개발을 통해 [[사상 중흥S-클래스 그랜드센트럴]](1,572세대)이 건설되었다. 학교는 사상초, 덕포여중, [[신라중학교(부산)|신라중]], [[사상고]]가 있다. * '''덕포2동''': 인구는 '''12,155명'''.[*P] 경부선 서쪽은 [[덕포역]] 부근을 제외하곤 거의 공단지역이며 그 와중에 [[부산도서관]], 사상도서관, [[부산지방고용노동청 부산북부지청]]이 있다. 경부선 동쪽에는 1동처럼 평범한 주거지역이다. [[백양산]]에서 가장 경치가 좋은 지역으로 손꼽힌다. 학교는 덕상초, 덕포초, 대덕여고, [[서부산공고]]와 일반계고 직업위탁교육기관인 부산산업학교가 있다. === [[괘법동|{{{#4bb48f 괘법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4,359명'''.[*P] [[김해경전철]], [[부산 2호선]]이 정차한다.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이 서부산의 관문 역할을 한다. 서부산 전체를 통틀어 교통이 가장 편리한 동네라 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부산권에서 상권이 가장 발달한 곳이다. [[괘법르네시떼역]]이라는 눈에 띄는 역명으로 회자되기도 한다. [[경부선]] 동쪽에도 주택과 소규모 공장 등이 있는데, 이어주는 길은 왕복 1차로 좁은 굴다리 하나 뿐이다. 그 외 부산산업용품유통단지, [[이마트 사상점]], [[홈플러스]] 사상점, 애플아울렛, 르네시떼 등이 있다. [[낙동대로(부산)|낙동대로]] 근처로는 괘법2차 한신아파트(1,094세대), 사상강변 동원아파트(600세대) 등의 아파트단지가 몰려 있다. [[신라대학교]]가 있지만 진입로는 덕포동으로 연결된다. 학교는 괘법초, 창진초가 있다. === [[감전동|{{{#218d94 감전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2,193명'''.[*P] [[사상구청]], [[부산사상경찰서]], [[북부산세무서]]가 있어 구의 행정중심지 역할을 한다. 대부분이 산지 없는 평탄한 땅이라 공장과 주택이 혼란하게 들어서 주거환경은 썩 좋지 않다. 학교는 감전초, 서감초가 있다. === [[주례동|{{{#106cc5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 관할 법정동은 주례동이다. 1동과 2동은 [[경부선]]과 [[동서고가로]]로 동이 남북으로 분절된 상태이다. * '''주례1동''': 인구는 '''16,590명'''.[*P] 경부선 북쪽은 백양산자락에 있는 주거지역으로 주례 경동리인(839세대), 주례청구아파트(831세대) 등 아파트가 많고, 반대로 남쪽은 공장들이 많다. 경부선 남쪽으로 [[주례 롯데캐슬 골드스마트]](998세대)가 준공되면서 인구가 증가하였다. 학교는 주감초, [[주감중]]이 있다. * '''주례2동''': 인구는 '''21,774명'''.[*P] 1동과 마찬가지로 경부선으로 분절되어 있으며 북쪽은 백양대로를 따라 엘지 신주례1~2단지(1,827세대), 반도 보라매 머드타운(1,206세대), 주례 한일유앤아이(988세대) 등 대형 아파트단지가 들어서 있고 그 옆에 부산보훈병원이 있다. 남쪽은 대부분 주택과 빌라이며 산 위에 [[동서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가 있다. 학교는 주양초, 주학초, [[주례중학교|주례중]], 주례여고가 있다. 과거 [[형제복지원]]이 있던 자리이다. * '''주례3동''': 인구는 '''12,284명'''.[*P] 주례럭키아파트(1,963세대), 현대무지개타운(977세대)이 동 한가운데에 큰 규모로 자리하고 있다. 그 외 아파트단지와 빌라들이 많은 주거지역이지만, 서쪽 끝에는 사상공단 공장들과 [[부산구치소]]가 있다. 학교는 동주초, [[동주중학교|동주중]], 주례여중이 있다. === [[학장동|{{{#de7979 학장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6,579명'''[*P]으로 사상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학장천을 기준으로 북쪽은 공단, 남쪽은 주거지역이며 구학마을아파트(1,110세대)를 필두로 목화아파트(999세대), 학장 반도보라타운(998세대), 학장삼성1~2차(965세대), 학장무학아파트(893세대), 구덕대림아파트(825세대), 신구덕 우성아파트(763세대), 금강아파트(730세대), BMC 학장1지구(720세대), 학장벽산아파트(526세대), 학장동 삼정그린코아(511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많이 있다. [[구덕터널]]이 [[서구(부산)|서구]] [[서대신동]]과 이어주며 [[사상하단선]](부산 5호선)이 개통되면 여기도 역세권의 수혜를 입게 될 전망이다. 또 그만큼 RH 시간대에 [[교통 체증]]이 가장 극심한 지역이다. 학교는 구학초, 학장초, [[학장중학교|학장중]], [[구덕고]]가 있다. === [[엄궁동|{{{#5a7e27 엄궁동}}}]] ===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4,523명'''.[*P] 동쪽은 승학산, 서쪽은 [[낙동강]]이 가로막아 그야말로 [[배산임수]]의 지형이다. 공단이 인접하고 엄궁농산물도매시장, [[롯데마트]] 사상점이 있다. 주거지로는 승학산 안쪽으로 엄궁로를 따라 [[엄궁 롯데캐슬 리버]](1,852세대), [[엄궁 코오롱아파트]](1,158세대), 엄궁 한신2차(1,016세대), 엄궁대림아파트(741세대), 엄궁동 쌍용스윗닷홈(607세대) 등 '''엄궁아파트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사상하단선]]이 개통되면 이곳도 역세권의 수혜를 입게 된다. 학교는 동궁초, 엄궁초, 학진초, [[엄궁중]]이 있다. ==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 * [[샤오(업텐션)]] * [[손수조]]: 前 정치인 * [[유니스]]: [[DIA(아이돌)|DIA]] 소속 멤버 * [[이시언]]: 배우[* 학교는 [[북구(부산)|북구]] [[만덕동(부산)|만덕동]] 일대에서 다녔다.] * [[임시완]]: [[제국의아이들]] 소속 가수, 배우 * [[하재익]]: 배우, 방송인 * [[현철]]: 트로트 가수 * [[NO:EL]]: 래퍼 * [[윤도영]]: 학원강사 * [[제이티스트]]: 가수, 작곡가 겸 음악 프로듀서 * [[한동희]]: 롯데 자이언츠 야구선수 [[분류:사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