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Sasha Alex Sloan}}}[br]사샤 알렉스 슬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샤 슬론.jpg|width=100%]]}}} || || '''본명''' ||Alexandra Artourovna Yatchenko[br]알렉산드라 아르투로프나 야트첸코 || || '''출생''' ||[[1995년]] [[3월 11일]] ([age(1995-03-11)]세)[br][[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턴]] || || '''학력''' ||[[버클리 음악대학]] {{{-2 (음악 비즈니스 / 중퇴)}}} || || '''직업''' ||[[가수]], [[작곡가]]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종교''' ||[[무종교]] || || '''소속사''' ||워너 채펠[* 소속 작곡가] || || '''레이블''' ||[[소니 뮤직|RCA]] || || '''데뷔''' ||2015년 [[Kaskade]] 'Phoenix'[* 작곡 및 피처링] || || '''링크''' ||[[https://www.sadgirlsloa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sadgirlsloa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adgirlsloan, 크기=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Z2nKwA5u9zhtF9LfCjXJ9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facebook.com/sadgirlsloa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생애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5살 때 어머니가 구입한 피아노로 연주를 독학했고 [[카펜터즈]], [[에이미 와인하우스]], [[그린데이]] 등에 영향을 받아 10살 때부터 작곡을 시작했다. [[매사추세츠]] 홉킨턴의 하드 록 카페에서 [[재즈]] [[피아니스트]]로 활동했다. 이후 음악 사업 전공으로 보스턴의 명문 [[버클리 음악대학]]에 입학했다. [[SoundCloud]]에 올린 작업물이 유명해져 워너 채펠과 6개월 퍼블리싱 계약을 맺으며 작곡가 생활을 시작했다. 그리고 전문 작곡가가 되기 위해 19살에 대학을 중퇴하고 [[LA]]로 이사했다. 2015년 [[Kaskade]]의 곡 'Phoenix'에 피처링 및 공동작곡가로 데뷔했다. 2017년 [[Kygo]]의 곡 'This Town'에 피처링으로 참여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존 레전드]], [[이디나 멘젤]], [[스티브 아오키]], [[루이 톰린슨]], [[두아 리파]], [[카밀라 카베요]], [[앤 마리]], [[Charli XCX]], [[티나셰]], [[NF]], [[ODESZA]], [[LANY]], [[케이티 페리]] 등 여러 유명 아티스트와 함께 음악작업한 경력을 갖고 있다. 2018년 4월 18일, EP 'Sad Girl'로 솔로 데뷔했다. 2018년 11월에 발매한 곡 'Older'에서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가사로 많은 공감을 얻었다. 2019년 2월 6일, [[레이트 쇼|레이트 쇼 위드 스티븐 콜베어]]로 TV에 데뷔했다. 2020년 9월에 발매한 'Is It Just Me?'이란 곡에서는 자신이 가진 세상에 대한 생각을 풀어냈다. 2020년 10월 16일에는 자신의 첫 정규 앨범 'Only Child'를 발매했다. [youtube(VZiqY5CVNuY)] 2019년 미국 [[HBO]]의 드라마 [[유포리아(드라마)|유포리아]] [[OST]]에 'Dancing With Your Ghost'로 참여했다. == 디스코그래피 == === 정규 === ||<-2> ''{{{+1 {{{#fff '''Only Child'''}}}}}}'' || ||<-2> {{{#!wiki style="margin: -2px -6px" [[파일:sasha sloan_only child.jpg|width=100%]]}}} || ||<-2> '''{{{#fff 발매 : 2020. 10. 16.}}}''' || || '''트랙''' || '''곡명''' || || 1 || Matter to You || || 2 || Only Child || || 3 || House with No Mirrors || || 4 || Lie || || 5 || Hypochondriac || || 6 || Is It Just Me? || || 7 || Santa's Real || || 8 || Someone You Hate || || 9 || Until It Happens to You || || 10 || High School Me || ||<-2> ''{{{+1 {{{#fff '''I Blame the World'''}}}}}}'' || ||<-2> {{{#!wiki style="margin: -2px -6px" [[파일:sasha sloan i blame the world.png|width=100%]]}}} || ||<-2> '''{{{#fff 발매 : 2022. 05. 13.}}}''' || || '''트랙''' || '''곡명''' || || 1 || Intro || || 2 || I Blame the World || || 3 || Adult || || 4 || Live Laugh Love || || 5 || Thank You || || 6 || WTF || || 7 || New Normal || || 8 || Global Warming || || 9 || I h8 Myself || || 10 || One Trick Phony || || 11 || Hardest Thing || === EP === ||<-2> ''{{{+1 {{{#fff '''Sad Girl'''}}}}}}'' || ||<-2> {{{#!wiki style="margin: -2px -6px" [[파일:sasha sloan_sad girl.jpg|width=100%]]}}} || ||<-2> '''{{{#fff 발매 : 2018. 4. 18.}}}''' || || '''트랙''' || '''곡명''' || || 1 || Normal || || 2 || Fall || || 3 || Ready Yet || || 4 || Hurt || || 5 || Runaway || || 6 || Here || ||<-2> ''{{{+1 {{{#fff '''Loser'''}}}}}}'' || ||<-2> {{{#!wiki style="margin: -2px -6px" [[파일:sasha sloan_loser.jpg|width=100%]]}}} || ||<-2> '''{{{#fff 발매 : 2018. 11. 29.}}}''' || || '''트랙''' || '''곡명''' || || 1 || The Only || || 2 || Faking It || || 3 || Older || || 4 || Version of Me || || 5 || Chasing Parties || || 6 || Again || ||<-2> ''{{{+1 {{{#fff '''Self Portrait'''}}}}}}'' || ||<-2> {{{#!wiki style="margin: -2px -6px" [[파일:sasha sloan_self portrait.jpg|width=100%]]}}} || ||<-2> '''{{{#fff 발매 : 2019. 10. 18.}}}''' || || '''트랙''' || '''곡명''' || || 1 || Thoughts || || 2 || Thank God || || 3 || Keep On || || 4 || Dancing with Your Ghost || || 5 || At Least I Look Cool || || 6 || Too Sad to Cry || || 7 || Smiling When I Die || === 싱글 === ||
'''{{{#white 발매년도}}}''' || '''{{{#white 곡명}}}''' || '''{{{#white 수록 앨범}}}''' || '''{{{#white 비고}}}''' || || 2017 || Runaway ||<|3> Sad Girl || || ||<|9> 2018 || Normal || || || Fall || || || Ready Yet (San Holo Remix) || - || || || Hurt ||<|6> Loser || || || Here || || || The Only || || || Faking It || || || Chasing Parties || || || Older || || ||<|4> 2019 || Thoughts ||<|4> Self Portrait || || || Dancing with Your Ghost || || || At Least I Look Cool || || || Smiling When I Die || || ||<|5> 2020 || I'll Wait || Golden Hour || (with [[Kygo]]) || || Lie ||<|4> Only Child || || || House with No Mirrors || || || Is It Just Me? || || || Hypochondriac || || || 2021 || When Was It Over? || - || || ||<|4> 2022 || WTF ||<|4> I Blame the World || || || I Blame the World || || || New Normal || || || Adult || || || 2024 || Highlights || - || || == 여담 == * [[러시아계 미국인]]으로 아버지는 [[시베리아]] 출신이며 어머니가 임신하자 미국으로 이사했다. * 어머니는 미국에서 군인으로 복무했다. * 유년 시절에 여름마다 7일 동안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조부모님이 사는 [[시베리아]] 농장에 갔다고 한다. * 어릴 때부터 부모님이 이혼과 재혼을 반복하면서 가족과 불화가 많았다. * 장난치다 찍은 [[https://imgur.com/4q0ymnz|사진]]이 [[레딧]] 메인에 오르는 등 인터넷에 퍼진적 있다.[[https://www.reddit.com/r/funny/comments/1uab00/my_parents_painted_the_house_while_i_was_away/?utm_source=share&utm_medium=ios_app&utm_name=iossmf|#]] * 14살 때부터 [[메간 트레이너]]와 알고 지냈다고 한다. 2019년에는 메간 트레이너의 곡 'Workin' on it'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 과거에는 [[재즈]]에 [[스노비즘]]이 있어서 [[대중음악|팝]]을 허접하며 쉬운 음악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현재는 팝을 좋아한다. * [[버클리 음대]]를 중퇴한 뒤 [[LA]]에서 생활비를 벌기위해 [[카페|커피숍]]과 [[체육관]]에서 일한 경력이 있다. * 25살전까지 아무것도 이루지 못하면 대학에 돌아가기로 마음을 먹었다. * [[타투]]를 좋아하며 몸에 타투가 아주 많다. * 좋아하는 가수 중 하나가 [[렉스 오렌지 카운티]]. * [[2019년]]에 가장 좋았던 노래는 [[포스트 말론]]의 [[Hollywood's Bleeding|Circles]]이며 시대를 초월한 곡이라고 말했다. *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을 두고 [[버락 오바마]]의 트윗을 리트윗했으며 [[2020년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를 찍는 팔로워들에게 자신을 언팔해달라는 [[https://twitter.com/sadgirlsloan/status/1266777742730833921?s=20|트윗]]을 올렸다. [[분류:미국 여가수]][[분류:미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1995년 출생]][[분류:러시아계 미국인]][[분류:우크라이나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분류:버클리 음악대학 출신]][[분류:보스턴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