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chara_47.jpg|width=400]] '''早乙女レイ / 레이 / Blair Flannigan''' [목차] == 개요 == >사랑에 빠진 소녀는 강해! >"사랑에 빠진 소녀 덱"을 쓰는 소녀 듀얼리스트. >남자로 변장해서 듀얼 아카데미아에 잠입한 적도 있어! >쥬다이 님을 정말 좋아해! >—[[http://www.konami.jp/yugioh_dt/chara/index.html?series=gx#cha16|듀얼 터미널 공식 사이트, 캐릭터 소개]] 애니메이션 [[유희왕 GX]]의 등장인물.[[하루토 레이]]의사촌여동생으로. 국내명은 성을 뺀 레이. 북미판은 블레어 플래니건(Blair Flannigan). 성우는 [[센다이 에리]] / [[윤미나]][* [[텐죠인 아스카|안젤라 디어러브]]도 맡았다. 때문에 자문자답이 꽤 나오는 편이다.--근데 얘랑 남자하나를 두고 신경전 벌이니 본격 나vs나 다, 노린건가(...)--] / [[리사 오티즈]] [[마루후지 료]]에 푹 빠져 '''[[남장]]'''까지 하면서 [[듀얼 아카데미아]]에 왔을 만큼 사랑이라면 물불 안 가리는, 강단있는 말괄량이 소녀 캐릭터. 1인칭이 [[보쿠]]인 [[보쿠 소녀]]이지만 이게 좀 특이하다. 남장을 하고있을땐 당연히 보쿠를 쓰지만 남들이 듣지않는 혼잣말 같은걸 할 땐 여자아이 답게 [[아타시]]를 쓰는 걸로 봐서 남장 중에만 보쿠를 쓰는 것 같은데 어차피 여자인거 다 알려진 듀얼 아카데미아에 입학한 뒤에도 보쿠를 사용한다. 자신은 아직 남장을 하고있다고 생각하기라도 하는 걸까(...) 후반부에 쥬다이와 대화할 땐 여자라는걸 어필하고 싶은지 아타시를 쓴다.[* 쥬다이&아스카와 켄잔&레이의 페어의 태그듀얼 당시 파트너 체인지로 레이가 쥬다이랑 파트너가 되자 바로 '아타시'로 바꾸는데 그때 쇼와 켄잔, 만죠메의 반응이 은근히 압권, "왜 갑자기 자칭이 바뀐 거야?"라고 황당해했었다.] 가족는[[하루토 레이]]]가있다 이후에는 쥬다이에게 반하고, 주인공을 좋아하는 여자 캐릭터인만큼 GX의 서브 히로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근데 제1히로인인 [[텐죠인 아스카]]의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이름]]이랑 얘의 [[아야나미 레이|이름]]의 콤비네이션 때문에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오마쥬인 것 같기도 하다.[* 정작 캐릭터성이나 컬러로 치자면 사오토메 레이가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를 표면적으로 닮았고 (활달하고 적극적인 성격, 빨강, [[유우키 쥬다이|노골적인]] [[카지 료지|이성에의]] 관심 어필) 텐죠인 아스카가 아야나미 레이를 표면적으로 닮았다. (쿨한 성격, 파랑, 이성에게 적극적으로 어필하는 타입은 아님) 물론 표면적인 부분만 좀 닮았지 세세하게 뜯어보면 다르지만.] ~~남장여자+사오토메니 빼박 [[사오토메 란마|란마]]다~~ --한국판 성우도 노리고 중복시킨건가.-- == 작중 행적 == === 1기 === [[파일:Rei1season.png|width=500]] 1기에서는 [[오시리스 레드]]의 편입생으로 [[마루후지 료|카이저 료]]의 방에 침입하는 스토커 소년으로 나왔으나 알고보니 '''여자'''. 게다가 초등생이라는 사실까지 밝혀지면서 쥬다이는 내가 초딩을 상대로 고전했냐며 좌절.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이후 쥬다이의 팬으로 전향하면서 쥬다이 님이라고 부르며 그를 따르게 되나 나이가 맞지 않아 일단 귀향 조치. 북미판 더빙에서는 5학년이 아닌 '''초등학교 2학년'''으로 설정이 변경되었다. === 2기 === [[파일:Rei_2ndseason.png|width=500]] 2기의 최종화의 바로 전 화(104화 후반부)에서 재등장. 다른 변장을 하고 [[제넥스(유희왕 GX)|제넥스 대회]]에 참가한다. 승승장구를 하다가 헬 카이저와 듀얼 좀 하려고 하니 헬 카이저는 꿈을 위해 듀얼한다는 건 물러 빠졌고 자신은 승리를 위한 듀얼만 한다면서 포기, 그의 메달을 얻는다. 그 후 마지막 생존자로 남아서 [[만죠메 쥰]]과 결승전, 자신이 이기면 듀얼 아카데미아에 입학하여 오시리스 레드에 가겠다고 선언하지만 진다(…) 지고 나서 만죠메의 간지 대사에 분위기가 묘해지지만 그게 쥬다이의 대사인 걸 알게 되자 "역시 쥬다이 님~" 이라며 좋아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졌어도 준우승 특례로 아카데미에 입학, 만죠메가 레드 기숙사에 만들었던 호화로운 방을 뺏는다. '''[[니코니코 유희왕 사전|뭐야 이게]]'''[* 그리고 만죠메는 레이가 있는 줄도 모르고 목욕하러 알몸으로 욕실로 들어가자 레이에게 응징당했다(...)]. === 3기 === 3기에서부터 본격적인 레귤러로 합류했다. 106화에서 신입생 대표로 선서한 뒤 자리로 가던 중 쥬다이를 향해 윙크해서 쥬다이는 당황하고 아스카는 질투해서 쥬다이를 째려보고[* 마루후지 쇼는 이를보고 무서워했다.] 켄잔은 앞날이 기대된다며 웃었다. 신 캐릭인 [[카노 마르탄]]과 붙어다니며 [[듀얼 아카데미아]]가 다른 차원으로 떨어졌을 때 [[화장실|급한 신호가 와]](…) 마르탄과 함께 화장실로 가는 도중 유벨에게 습격당해 부상을 입었다.마르탄을 마릇치라는 애칭으로 부르며, 회복된 후에는 유벨에게 마르탄을 돌려달라고 따지는 등 연애 루트가 생길 거라고 기대하는 사람도 약간 있었지만 그런 일은 없었다. 게다가 3기 에필로그에서 마르탄은 아버지 [[나폴레옹(유희왕)|나폴레옹]]을 따라 부자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여행을 떠나면서 플래그 분쇄. 쥬다이 일행이 [[요한 안데르센]]을 구하기 위해 또 다시 이세계로 갈 때는 동행하지 않았다. 오벨리스크 블루 소속이 되었지만 4기까지도 오시리스 레드의 빨간 개조 교복을 입고 다닌다. 쇼는 잽싸게 파란 제복으로 갈아입었는데(...). === 4기 === 3기 때 일행이었을 때에는 쥬다이에게 반말을 했던 것과는 달리, 다시 쥬다이 님이라고 부르며 꼬박꼬박 존대를 한다. 졸업 앨범 위원회로써 [[티라노 켄잔]]과 같이 다니며 졸업 앨범을 찍으러 다니기도 하고, 듀얼 파티와 [[페어 듀얼 대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텐죠인 아스카]]는 자리를 피하려다 때마침 회장에 들어온 쥬다이와 마주치는 바람에 태그로 발탁되었으며, [[사메지마 교장]] & 토메 페어 및 엑스트라 페어를 가볍게 이기고 결승에 진출한다. 그 외 후술할 레이 & 켄잔 외에 모모에와 준코가 참가한 모습도 나왔다. 결승전은 후배 최강 페어인 레이 & 켄잔 태그와 선배 최강 페어인 쥬다이 & 아스카 태그가 맞붙게 된다. 여기서는 전과는 달리 [[길잃은 아기양]], [[희생양(유희왕)|희생양]] 등의 카드들로 토큰들을 전개하는 전술만을 보였다. 듀얼 도중에 두 사람의 호흡이 하나도 맞지 않다는 것을 알아채고 '파트너 체인지'라는 카드를 사용해 아스카의 동의하에 자신과 쥬다이의 태그가 되지만[* 이 때 방금까지 파트너였던 아스카와는 달리 쥬다이와 꽤나 화기애애한 모습을 연출하는 바람에 더욱 아스카의 속을 썩이게 했다.], 다시 마음을 돌린 아스카가 [[싸이크론]]을 발동해 그 카드가 파괴되고 결국 패배한다. 167화에서는 켄잔과 수업을 땡땡이치고 있는 쥬다이를 찾아서 크로노스 교수가 3학년들을 졸업시키지 않기 위해 수업 거부를 하고 있다는 걸 알린다. 쥬다이가 다크니스를 물리치고 사라진 사람들을 구했을 때 다른 아카데미아 학생들과 함께 쥬다이를 환대하며 쥬다이에게 포옹을 한다. 최종화에서는 다른 일행들과 함께 쥬다이에게 줄 롤링 페이퍼를 작성했다. 본인은 자신의 그림과 함께 '레이예요!' 라고 적었다. == [[유희왕 태그 포스]] == 워낙 여성 레귤러 캐릭터가 드문 GX인지라 두고두고 계속 지겨울 정도로 등장하고 PSP 시리즈 태그포스에서는 대놓고 밀어준다. 1, 2, 3 모두 등장하며 '''스탠드 CG가 제일 많다'''. 그리고 왠지 애니에서보다 쭉빵하다. 우리는 이 시점에서 그녀의 실제 나이가 '''중학교 1학년'''임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또한 태그포스 2에서 갑자기 메인 파트너로 승격. === 태그포스 1 === [[파일:external/www.konami.jp/chara01.gif]] [[오시리스 레드]] 소속. 남장 모드와 소녀 모드의 2개가 존재하며, [[사랑에 빠진 소녀]] 덱을 사용하며 덱 파워는 거의 최약이라고 봐도 좋다. 태그포스 시스템 상 10승을 하면 카드를 주는데, 남장 모드에서는 [[무카무카]]를, 여자옷에서는 [[사랑에 빠진 소녀]] 3장을 준다. 작중에서 한번만 듀얼한 캐릭터이면서 20장 뿐인 [[사랑에 빠진 소녀|오리지널 카드]]도 주고,버전도 2개나 만들어 주었다. 사실 이때부터 [[로리콘|떡밥]]이 있었던 것일지도 모른다. === 태그포스 2 === > あ、プレーヤー先輩! > 아, 플레이어 선배! > 今度、ボクの料理を味見してよ > 다음에, 내 요리를 맛봐줘 > 最近、料理の勉強しててさ、結構おいしいんだよ! > 최근에, 요리 공부도 하고 있고 말이야, 꽤 맛있다구! 위의 문장은 게임 내의 소개문. 일단, 여기서는 3개의 버전이 존재한다. 기본적인 레드 버전, 오벨리스크 블루 제복을 입은 블루 버전, 마지막으로 1편의 로리 버전. 여기서 밝혀지는 바에 따르면, 기운이 없는 사람을 보면 자신이 직접 만든 「스테미너 도시락」을 주는 모양이다. 또 좋아하는 먹을 것은 단 것이지만, 매운것도 좋아한다고 한다. [[파일:external/shin-yaminokai.jp/ImageReiYobisute.jpg]] [[파일:maxresdefa12525ult.jpg]] 레드 버전 : 기본적인 상태. 필드에서 대화중일 때에는 1인칭으로 [[보쿠 소녀|보쿠]]를 쓰는데, 듀얼 중에서는 [[와타시]]를 쓴다. 좋아하는 카드는 [[사랑에 빠진 소녀]] 3장, [[사랑에 빠진 소녀|큐피드 키스]] 3장, [[사랑에 빠진 소녀|해피 메리지]], [[사랑에 빠진 소녀|디펜스 메이든]] 3장. 어떻게 하더라도 이 10장은 절대 뺄 수 없기 때문에 파트너로 하면 덱 구축이 많이 힘들다. [[파일:maxresd155efault.jpg]] [[파일:Blair-GX06-Blue.png]] 블루 버전 : [[오벨리스크 블루]]의 여자 제복을 입은 버전. 듀얼을 시작할 때, 끝날때의 대사가 레드 버전과 다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파트너로 할 수 없고, [[유희왕 태그 포스|전작]]을 UMD로 연동한 상태에서 레이와 싸워서 이긴 횟수가 15의 배수가 되는 시점에서 한해, 레이를 파트너로 한 후에 오벨리스크 블루 기숙사로 가서 이벤트를 보는 것으로 태그 듀얼의 파트너로 할 수 있다. 스토리 모드에서는 등장하지 않으며, 프리 모드에 한해서 대전 상대로 선택할 수 있다. [[파일:external/www.konami.jp/ss5_3.jpg]] [[파일:Blair-TFSP.png]] 로리 버전 : USB 케이블로 플레이스테이션 2로 발매되었던 [[유희왕 태그 포스|태그포스 에볼루션]]을 연동하면 등장한다. 태그포스 에볼루션을 연동하면 등장하는 듀얼리스트가 몇명 있기는 한데, 레이 [[편애|한정]]으로 남장모드(모자를 쓴 상태)와 로리모드의 2개가 등장한다. 그래픽이나 듀얼 중 대사만 차이날 뿐, 쓰는 덱 등의 기본적인 특징은 동일하다. |||| 필드 위에서의 회화|| || 듀얼 신청 || デュエル? いいよー!(듀얼? 좋아!) || || 레이의 승리 || やったねー!どう? 恋する乙女は強いのよ!(이겼다! 어때? 사랑에 빠진 소녀의 강함이야!) || || 레이의 패배 || くっ…ボクの負けだ でも、次はこう簡単にはいかないよ!(큿...내 패배네 하지만, 다음에는 그렇게 간단히는 되지 않을 거야!) || || 레이와 무승부 || うっ…恋する乙女は強いんだ! 次は絶対に勝つからね!(으읏...사랑에 빠진 소녀는 강하다구! 다음엔 반드시 이길 테니까 말이야!) || || 레이의 승리(파트너) || やったー!やったね、プレイヤー先輩! この調子で、次も行こう!(이겼다! 이겼다구, 플레이어 선배! 이 기세로, 다음도 가보자! || || 레이의 패배(파트너) || 負けー!? 次は、こう上手くいかないよ!(패배!? 다음엔, 그렇게 잘 되지 않을 거라구!) || || 레이와 무승부(파트너) || 引き分け!? 次は、絶対に勝つからね!(무승부!? 다음엔 반드시 이길 테니까 말이야!) || === 태그포스 3 === [[파일:attachment/TF2_event_07.jpg|align=center]] [[파일:attachment/TF3_event_05a.jpg|align=center]] [[파일:attachment/TF3_event_05b.jpg|align=center]] [[파일:attachment/TF3_event_05c.jpg|align=center]] [[파일:attachment/TF3_event_05d.jpg|align=center]] 개인 시나리오가 4개나 되는 기염을 토해 사실상 태그포스의 주인공은 레이임을 선포.[* 다른 캐릭터는 많아봐야 두 개. 심지어 레이를 제외하면 가장 많은 개인 시나리오를 가지고 있는 쥬다이도 1개 적은 3개다.] 게다가 [[오벨리스크 블루]] 버전에서의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30/read?articleId=17433901&bbsId=G005&itemId=75&pageIndex=1|레이 시나리오]]는 '''카드 게임이 가능한 미연시'''라고 불릴 정도(...).--그러나 개조 교복 시나리오는 쥬다이의 파트너가 되는 충격적인 [[NTR]]엔딩-- 그냥으로는 미연시를 플레이 할 수 없다. 기본으로 나오는 버전이 애니메이션 설정인 개조 교복을 입은 오벨리스크 블루 시나리오인데, 여기서 [[유희왕 태그 포스|전작들]]과 연동을 해서 뚫어줄 필요가 있다. 태그포스 1과 UMD 연동을 하면 1기때의 오시리스 레드 소속 로리 모드와 남장 모드가 해금되며, 태그포스 2와 UMD연동을 하게 되면 그 미연시로 유명한 오벨리스크 블루 루트가 해금되는 식이다. 오벨리스크 블루 레이의 별명은 '''[[블루레이]]'''. 그리고 굳이 상술한 연동만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기본 개조교복 버전에 대해 듀얼 10승을 땀으로서 전부 해금된다. 프리듀얼을 사용하면 찾아다니거나 할 필요도 없고 수준낮은 덱을 지정해줄수도 있어서 상당히 따내기 편하다. TF 1과 연동하여 해금할 수 있는 1~2기 설정의 레이(남장, 로리 버전)는 애니에서 사용했던 [[사랑에 빠진 소녀]] 덱을 사용한다. 덱의 성능은 최약. 메인이라 할수 있는 사랑의 빠진 소녀의 공격력이 400밖에 안되는 데다가 공격 표시로 있어야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그 약한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내놓는 만행을 저지르며, [[사일런트 매지션|사일런트 매지션 LV 8]]을 제외하고는 상급 몬스터가 없기 때문에 태그 듀얼을 할때 플레이어가 고생하게 만든다. 거기에 사랑에 빠진 소녀는 페이버릿 카드라 뺄 수도 없다. 덱 수정이 가능해지면 소녀가 빛 속성이라는 점을 이용해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와 [[화목의 사자]]를 넣어주는 게 좋다. 물론 교체불가 카드가 사랑에 빠진 소녀x3, 해피 메리지x1, 4장뿐이기 때문에 호감도1000 이벤트는 별 수 없이 고전하더라도 호감도2000을 찍고 날을 '''2번 넘겨서'''[* 덱 수정 로그보다 이벤트를 우선하기 때문에 호감도 2000 후 첫 아침은 이벤트 로그만 뜬다. 바로 메뉴에서 그 날을 끝내 다음 아침을 맞으면 덱 수정을 부탁하는 로그를 볼 수 있다.] 덱 수정 가능하게 해주면 4장은 그냥두고 나머지 36장으로 덱을 짜서 써먹을 수 있다. 그런데 개조 교복과 블루레이 버전의 레이는 엄청나게 강하다. 실용성이 좋은 '''[[라이트로드]]''' 덱을 들고 오는데, OCG로 출시되지 않은 미스틱 드래곤 덱을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 게임 내에 미스틱 드래곤에 관련된 음성이 있는 것을 보면 원래는 미스틱 드래곤을 사용할 예정이었지만 엎어진 듯.][* 라이트로드의 설정을 대입시켜 보면, 라이트로드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소녀를 레이로 대입할 수 있다.] TF 3 출시 당시 라로덱은 탑티어 급 성능이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아무리 못해도 혼자서 상대 팀을 쓸어버리는 패기를 자랑한다. 사실상 치트키 수준. 심지어 패왕까지 쓰러뜨린다! 거기에 레이를 파트너로 정하면 라이트로드 팩이 해금되기 때문에 플레이어도 같이 라로덱을 짜서 라이트로드 듀오 팀을 만들면 질래야 질 수가 없는 무적함대가 된다. 덧붙여 다른 캐릭터와의 태그를 한 상태에서 오벨리스크 블루 기숙사에서 딱 1번만 가능하다고 하는 오벨리스크 블루 버전 레이와 듀얼을 할 경우 그녀의 덱에 '''[[삼환신]]이 들어있다!!''' [[연쇄 파괴]]로 확인한 결과,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이 확인되었다.--[[어둠의 유우기|그걸 이리로 내놔!]]-- 절대 덱에서 빼지 못하는 좋아하는 카드는 [[저지먼트 드래곤]] 1장과 [[라이트로드|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 2장,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 3장, [[라이트로드|솔라 익스체인지]] 1장. 사실 라이트로드 덱을 짠다고 하면 무난하게 넣을만한 카드들이라서 마음 편하게 덱을 짤 수 있다. 굳이 수정해주지 않아도 충분히 덱이 강하기도 하고. 상술했지만 사랑에 빠진 소녀를 사용하는 덱의 빼지 못하는 카드는 [[사랑에 빠진 소녀]] 3장과 [[사랑에 빠진 소녀|해피 메리지]] 1장뿐. 36장으로 라이트로드를 짜면 덱 갈리는 와중에 떠내려가기도 하니까 이또한 나쁘지 않다.~~첫 패에 2장씩 들어오면 상당히 스트레스~~ |||| 필드 위에서의 회화 || || 듀얼 신청 || デュエル?いいよー!(듀얼? 좋아!) || || 레이의 승리 || へへぇ~、どう?恋する乙女は強いのよ!(헤헷~, 어때? 사랑에 빠진 소녀는 강하다구!) || || 레이의 패배 || くっ・・・ボクの負けだ。でも、次はこう簡単にはいかないよ!(큿...내 패배야. 하지만, 다음에는 그렇게 간단히는 되지 않을 거야!) || || 레이와 무승부 || ???? || || 레이의 승리(파트너) || ???? || || 레이의 패배(파트너) || ボク達の負け!?次はこんなにうまくいかないよ!(우리들의 패배라고!? 다음엔 그렇게 잘 되지 않을 거라구!) || || 레이와 무승부(파트너) || ??? || === 태그 포스 스페셜 === 스페셜에서는 --그 미사와한테까지 우선순위가 밀려나서-- 아쉽게도 파트너로 등장하지 못했지만 다른 GX 파트너 스토리에 자주 등장하는 편. 첫 등장 당시의 꼬맹이 버전으로 [[마루후지 료|료]] 일편단심. 그러나 플레이어와 듀얼할 때도 "왜 내 마음을 알아주질 않는거야?"같은 대사를 하는걸 보면 또 미묘하다(...). [[종언의 카운트 다운]]을 걸고 사랑하는 소녀와 리크루트 몬스터로 버티는 덱을 쓰는데, 금지카드를 안 넣으면 덱 레벨이 3, 금제 무시한 최대 덱 레벨이 4(...). 싸워도 DP는 거의 못 버니까 다른 사람과 듀얼을 하는 게 좋다. [[사이오 타쿠마]]라던가. == 기타 게임 == === 유희왕 GX Spirit Summoner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lairSpiritCaller.png]] 2장에서 상대를 하게 된다. [[라 옐로|옐로 기숙사]]에서 [[미사와 다이치|미사와]]와 듀얼을 한 이후, 다음날에 전학을 오게 되며, 애니메이션 내용 대로 가는 게임 답게 [[오벨리스크 블루|블루 기숙사]]에 잠입한다. [[플레이어]]는 당연히 레이를 쫓아 가게 되고, 섬의 북쪽에서 레이와 듀얼을 하게 된다.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캐릭터들에게 카드를 받을 수 있는데, 레이에게 받을 수 있는 카드들은 아래와 같다. || 카드 명 || 레어도 || || [[해피의 깃털]] || 초 레어 || || [[불행한 소녀|불행한 걸]] || 레어 || || [[불행한 소녀|불행한 소녀]] || 레어 || || [[악마의 키스#s-2]] || 노멀 || || [[신의 은총#s-2]] || 노멀 || || [[유혹의 섀도우]] || 노멀 || 하피의 깃털이라는 유용한 카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되며, 그밖에 주는 카드들의 경우, 캐릭터 성격이나 컨셉에 걸맞는 카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유희왕 듀얼 몬스터즈 GX : 노려라 듀얼 킹!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lair-DuelAcademy.png]] [[오시리스 레드]]에서 90일 이상 머물고, 자신의 소속이 [[오시리스 레드]]인 경우 출연한다. 레이가 등장하고 1개월이 지난 이후에는 "히어로 부재"이벤트가 발생하고 그 후, "사랑하는 소녀는 강하다고! 덱" 이벤트의 주역으로 등장. 이 이벤트를 클리어해야만 토요일날 듀얼 시설에서 등장하는 7번째 덱 이벤트가 등장한다. ~~근데 보수가 [[융합 소환|융합 실패]]따위란 말이지.~~ 또, 레이가 있어야만 ''수상한 동급생" 이벤트가 발생한다. "수상한 사람" 이벤트 클리어 이후, [[아유카와 에미|양호선생]]과 함께 2월 14일날 "학원 초코 쟁탈전"이벤트에도 등장한다. === Yu-Gi-Oh! Legacy of the Duelist === [[파일:BlairFlannigan-LOD.png]] 2015년 6월 31일 발매된 YU-GI-OH! LEGACY OF THE DUELIST에서는 GX쪽 스토리에서 출연한다. Future Changes 챕터에서 [[만죠메 쥰]]과 듀얼한다. === Yu-Gi-Oh! Millennium Duels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lairFlanniganMD.png]] 태그 듀얼의 파트너로 선택 가능하다. 듀얼 상대로도 가능. 노멀 모드, 익스퍼트 모드 2개의 모드에 따라 다른 덱을 사용한다. 노멀 모드에서는 [[마법나라 왕녀]] 덱을, 익스퍼트 모드에서는 [[미스틱 스워드맨]]덱을 사용한다. 익스퍼트 모드에서는 엑시즈 소환도 사용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유희왕 듀얼링크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레이(유희왕 듀얼링크스))] 본디 레이가 사용한 카드들이 대부분 OCG화가 되지않아 등장하지 않을거라고 여겨졌으나, 2019년 12월 중순에 [[유희왕 듀얼링크스]]에 참전하게 되었다. 전용 보이스는 원작에서 사용하던 [[사랑에 빠진 소녀]] 관련 카드에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를 포함한 일부 [[라이트로드]] 카드, 그리고 쌩뚱맞게도 [[령사]] 카드들에 적용되어있다. 에이스 카드는 [[사랑에 빠진 소녀]]다만 아쉽게도 소환 애니메이션은 없는듯하다. 그리고 GX 완결 때까지 아예 효과가 공개 안되거나 다 안나온 미스틱 시리즈에도 보이스가 적용되어 있어서 미스틱 시리즈들이 모든 효과가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OCG화된다면 최초로 듀얼링크스에서 선행공개 후 발매된 카드 시리즈라는 타이틀을 달게 될 것이었으나 이 타이틀은 [[아머드 화이트베어]]가 가져가 버렸다. == 덱 == 애니메이션에서 사용하는 덱은 두 종류. '''1기''' - '[[사랑에 빠진 소녀]]' 덱. 예쁘장한 여캐를 이용해 남캐 몬스터들을 낚아채오는 전법을 사용한다. 여캐 몬스터들에게는 안 통하는 듯하며 이 때문에 해당 듀얼에서 나온 페더맨과 스파크맨의 만담이 '제작진이 로리콘'이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그중 압권은 엘리멘틀 히어로 페'''도'''맨 (...) 직접 찾아서 보자. '''2기 최후반~4기''' - '[[미스틱(유희왕)|미스틱 드래곤]]' 덱. 미스틱 드래곤 에그를 미스틱 드래곤으로 진화시키면서 싸우는 덱. 미스틱 에그 → 미스틱 베이비 드래곤 → 미스틱 드래곤의 순서로 진화한다. 중간 단계인 미스틱 베이비 드래곤도 소환 조건이 따로 없기 때문에 처음부터 이 녀석을 꺼내 바로 미스틱 드래곤으로 진화시키는 것도 가능 비슷한 방식으로 운용되는 다른 레벨 몬스터들이 최종형태는 강력해도 중간 과정이 번거롭고 까다롭기 때문에 버려지는데 반해 이 녀석은 그런 거 없이 바로 최종 형태로 진화할 수 있으며 그것도 다른 레벨 몬스터 최종형태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강하다(...)[* 단, [[미스틱 드래곤]]의 인지도는 [[사랑에 빠진 소녀]]에 비해서 여러모로 밀리는 편이다. 태그 포스에서도 사랑에 빠진 소녀와 달리 구현화되지않았을 정도. GX 2차 창작 팬픽에서도 차라리 사랑에 빠진 소녀 덱을 강화하지 미스틱 드래곤은 잘 나오지않는다.]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들이 거의 다 OCG에 나오고 있지 않은 탓에 실제 게임에서는 전혀 다른 덱을 사용한다. [[컬렉터즈 팩]] 등으로 구작 애니메이션 등장 카드들이 활발하게 OCG화되고 있음에도 레이의 카드는 아직 소식이 없다. 자세한 것은 [[사오토메 레이/덱]] 항목 참조. == 기타 == * 유희왕 캐릭터들 중에서 모에 요소가 가장 많은 캐릭터다. 남장을 하고 듀얼 아카데미아에 잠입했을 떄는 [[남장]]+[[쇼타]], 정체가 들통난 후에는[[보쿠 소녀]]+[[로리]], 편입학후 성장한 뒤에는 [[장발|검은 장발]]에, [[핫 팬츠]], 거기다 [[사이하이 삭스|검은 사이하이 삭스]]까지 착용해 [[절대영역]]을 보유한 [[미소녀]] 컨셉이다. == 관련 문서 == * [[유희왕 GX/등장인물]] [[분류:유희왕 GX/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