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치바 롯데 마린즈/간략(투수))] ---- ||
'''{{{#ffffff 사와다 케이스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오릭스 버팔로즈|{{{#ffffff 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49번}}}''' || || 시라니타 히로카즈[br](2015~2016) || {{{+1 →}}} || '''{{{#ffffff 사와다 케이스케[br](2017~2022)}}}''' || {{{+1 →}}} || 와타나베 유키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IMG_6710.jpg|width=100%]]}}} || ||<-2> '''치바 롯데 마린즈 No. 66''' || ||<-2> {{{#191919 '''{{{+2 사와다 케이스케}}} [br] 澤田圭佑 | Keisuke Sawada'''}}} || ||<:> '''생년월일''' ||[[1994년]] [[4월 27일]] ([age(1994-04-27)]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신지''' ||[[에히메현]] [[마츠야마시]]|| ||<:> '''출신교''' ||오사카토인고교 - [[릿쿄대학]]|| ||<:> '''신체''' ||178cm, 96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2016년 NPB 신인드래프트 8라운드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전체 78순위. 추첨으로 뽑는 1라운더 12명을 제외하면 66순위.] || ||<:> '''소속팀''' ||[[오릭스 버팔로즈]] (2017~2022) [br][[치바 롯데 마린즈]] (2023~) || ||<:> '''등장곡''' ||寿君 - 大どんでん返し|| ||<:> '''연봉''' ||2024 / ¥1,94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치바 롯데 마린즈]] 소속 [[야구선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초등학교 시절 리틀야구를 시작했고 중학교 때까지는 고향 에히메에서 지냈다. 이후 중학교 야구 팀에서 투구하는 모습을 본 야구 명문 고교인 오사카토인고교 감독이 러브콜을 보내며 고등학교는 오사카토인고교로 진학. 토인고교에서는 [[후지나미 신타로]]와 원투펀치를 이뤘고 1년 후배인 [[모리 토모야]]와 함께 2012년 열렸던 [[코시엔]]에서 봄, 여름 2연패를 기록하며 고시엔 역대 손꼽히는 강팀의 주축 일원으로 남았다.[* 이 기록은 [[일본]] [[고교야구]] 사상 7번째 봄/여름 연패였다.][* 당시 봄과 여름 고시엔의 결승 상대는 둘 다 [[사카모토 하야토]]를 배출한 것으로도 유명한 [[아오모리현]]의 코세이학원 고교과 맞붙었는데, 봄, 여름 고시엔 결승에서 같은 팀끼리 맞붙은 최초의 사례이다. 여담으로 코세이학원 고교는 2011년 여름 고시엔부터, 2012년 봄, 2012년 여름까지 3회 연속 고시엔 준우승을 기록하고 학교명에 마가 끼었다고 생각했는지 다음 해에 학교명을 하치노헤학원 코세이 고교로 개명했다.] 특히 여름 코시엔 본선 3회전에서는 아예 후지나미 대신 본인이 선발출장하여 타선에선 홈런을, 투수로는 2실점 완투승을 기록하기도. 다만 준결승과 결승 때는 후지나미가 혼자 다 던졌다. 고3 시절에는 프로를 아예 지망하지 않았고 명문대학 중 한 곳인 [[릿쿄대학]]으로 진학하였다. 대학 시절에는 1학년 때부터 마운드에 오르며 대학리그 통산 69경기 300이닝 22승 16패 ERA 2.24를 기록하였다. 이후 대학교 4학년 때 드래프트에서 [[오릭스 버팔로즈]]의 8라운드 지명을 받고 입단한다. 당시 대학 동기 중 [[타나카 카즈키]]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 3라운드 지명을 받았고, 타무라 이치로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에 6라운드로 지명을 받은 후에 릿쿄대 동기중 세 번째로 프로에 지명받았다. === [[오릭스 버팔로즈]] 시절 === 1년차부터 1군 스프링캠프에 참가하고 [[1군]] 개막전 엔트리에도 포함되었다. 개막전 연장 11회에 등판하면서 프로 데뷔를 했지만 [[카를로스 페게로]]에게 결승 투런 [[홈런]]을 맞고 그대로 패전투수행. 이후 2년차인 2018년에는 2년 연속 개막전 엔트리에 든 후 주로 추격조로 나와 47경기 49.2이닝 5승 무패 8홀드 ERA 2.54로 성공적인 [[1군]] 안착을 하며 연봉도 950만엔에서 2600만엔으로 파격적으로 올랐다. 2019년에는 시즌 초에는 [[셋업맨]]으로 기용되었으나 28경기 26이닝 2승 2패 17홀드 ERA 4.85로 부진했다. 얻어맞기도 자주 얻어맞았으나 중수골 골절로 3달간 결장해서 표본도 얼마 없었다. 이후 2020과 2021년에는 [[팔꿈치]] 염증으로 인하여 각각 24경기와 14경기에 등판한 것이 끝이었다. 결국 2021년 시즌을 끝으로 팔꿈치 클리닝 수술을 받고 2022년은 [[2군]] 1경기 등판에 그쳤다. 그나마도 0.2 이닝 2실점(2피홈런)으로 개판이었고 이 경기를 끝으로 6월에는 [[토미 존 서저리]]까지 받았다. 보통 [[토미 존 서저리]]는 빨라도 1년 재활에 길면 2년을 재활하는 선수도 있는데 구단에서는 기대를 접었는지 수술한지 4개월이 좀 안 된 10월 5일 육성 재계약도 아니고 아예 방출 통보를 해버렸다. === [[치바 롯데 마린즈]] 시절 === 이후 2023년 1월 [[타이론 게레로]]의 이탈로 1군에서 실적이 있는 강속구 [[불펜투수]]를 찾던 롯데에서 육성선수 계약으로 영입하였다. ==== 2023 시즌 ==== [[토미 존 서저리]]를 받았기 때문에 빨라도 시즌 초는 어려워보이고, 늦으면 아예 2024년 복귀가 예상된다. 시즌 중 복귀하였고 불펜으로 16경기에 등판하여 ERA 5.28로 성적은 나빴지만 7월 27일 지배 등록되었다. 8월 이후 1군에 올라와 1점대로 호투하며 필승조에 합류했다. 10월 3일 기준 16경기 15.2이닝 2승 무패 1세이브 6홀드 ERA 1.15라는 호성적을 기록중. 시즌 최종 성적은 17경기 16.2이닝 2승 무패 2세이브 6홀드 ERA 1.08로 후반기 두 달 간 팀의 필승조로 활약해주었다. == 플레이 스타일 == 평균구속은 146~147km/h 정도에 최고구속은 155km/h가 나오는 우완 강속구 불펜투수. 변화구는 [[커터]], [[체인지업]]을 주로 던지고 가끔 [[슬라이더]]와 [[포크볼]]을 섞는다. 특이하게도 강속구 투수 답지 않게 제구력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강속구 불펜인데 BB/9는 1군 통산 3.1, K/9는 1군 통산 7.8이다.[* 2022년 롯데에서 뛰었던 중간계투 [[타이론 게레로]]의 NPB BB/9는 3.9, K/9는 12.3, 현재 롯데의 다른 중간계투 [[토죠 타이키]]의 NPB BB/9는 3.8, K/9는 8.7이다.] 대신 삼진은 살짝 적은 편. == 연도별 성적 == == 기타 == * 고교 시절 감독의 애제자였다고 한다. 에이스는 [[후지나미 신타로]]였지만 사와다도 최고의 2번째 투수라는 말을 들었을 정도로 고교 시절엔 잘나가는 투수였으니 감독이 아낄만했다.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마츠야마시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좌타]][[분류:오릭스 버팔로즈/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