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아시아의 경제)] [include(틀:사우디아라비아 관련 문서)] ||||||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 정보[[http://en.wikipedia.org/wiki/Saudi_Arabia|#]] || |||||| [[파일:1280px-Riyadh_Skyline.jpg|width=400]] || ||인구 || 31,015,999명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and_dependencies_by_population|#]] ||[[2015년]], 세계44위 || ||경제 규모(명목 [[GDP]]) || 7,622.59 억달러 ||[[2019년]], 세계 18위[[http://knoema.com/nwnfkne/world-gdp-ranking-2014-data-and-charts|#]] || ||1인당 명목 [[GDP]] || 28,759달러 || 2019년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_per_capita|#]] || ||[[GDP(PPP)]] || 1조 9,240억 달러 || 2019년 IMF 추정치[* [[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IMF 사우디아라비아 경제 통계 2019년 추정치]]] || ||1인당 [[GDP(PPP)]] || 56,817 달러 ||2019년 IMF 추정치 || ||세입 || $ 1,930억 || 2015년 || ||세출 || $ 3,180억 || 2015년 || || GDP 대비 적자 || -18.3% || 2015년 ||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7.8% ||[[2015년]][[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sa.html|#]] || ||[[실업]]률 ||11.5% || || ||[[무디스/국가별 신용등급|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A1''' ||[[2011년]], '''4등급'''[[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credit_rating|#]]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리야드 사우디 3.png]] [[리야드]] 중심가 [[파일:제다 사우디.jpg]] [[제다]] 스카이라인 [[파일:사우디 우나이자 1.jpg]] [[우나이자]] 시가지 [[파일:주바일 사우디.jpg]] [[주바일]]의 야경 === [[석유]] === 국토 대부분이 [[사막]] 지역이라 농업은 열악한 편이지만 막대한 오일 달러를 투자해 경작지와 목축지를 유지해서인지 그나마 다른 국가에 비해서 나은 편이며 농가를 중심으로 양(羊), 닭, 계란, 우유, 밀, 보리, 토마토 등을 재배한다. 그 중 [[양고기]]는 사우디 국민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축산물이기도 하다. 경제면에 있어서도 [[노동조합]]이 존재하지 않으며 노동자들의 집회 및 시위도 금지하고 있다. 자국민들의 노동환경은 그래도 대체로 괜찮은 수준이나 수백만 [[외국인 노동자]]들의 처우는 열악하기 짝이 없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은 '''A1'''이다. 참고로 무디스는 'Aaa ~ C'까지 총 21단계의 등급을 가지고 있는데 'A1' 등급은 위에서 5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오일머니]]로 구축된 나라라고 해도 무방할 지경으로, 지나치게 석유 의존도가 높다.[* 덕택에 석유 매장량이 많거나 석유로 대박을 터뜨린 나라들을 사우디아라비아에 비유하기도 한다. 예시: 사우드 소비에트, 사우드 러시아, 사우드 베네수엘라, 사우디 아메리카.]''' 사우디 정부는 수혜에 가까운 에너지 [[보조금]] 정책을 통해 자국 소비자들에게 휘발유와 전기 등을 거의 무료에 가까운 가격으로 무상 제공하고 있다. 사우디에서 휘발유는 현재 1갤런 당 약 0.5달러에 구입할 수 있다. 원화로 계산하면 1리터 당 약 152원 정도인데, 한국의 휘발유 가격(1리터당 1,534원)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또한 전기세도 1킬로와트(㎾) 당 단돈 1센트(11원)만 부과하고 있다. 사우디가 값싼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었던 건 [[석유]] 수출을 통해 벌어들이는 막대한 [[외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사우디에서 수십 년 간 이어진 이 같은 에너지 정책은 자국민들의 에너지 소비구조를 방만하게 만들었다. 사우디 시민들은 싼 휘발유 값 탓에 경차를 타는 대신 연료를 많이 소비하는 중형이나 대형차 위주로 구입했고, 집에서는 시원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24시간 에어컨을 틀어놓는 게 생활화됐다. 사우디의 수도 리야드에 들어선 고층건물들에는 내부 냉방을 유지하기 위한 외벽 절연시설이 전혀 설치되어있지 않았다. 절연 시설이 없어도 건물 내부의 냉방시설을 유지하는데 비용 면에서 아무런 부담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석유 가격이 낮다 보니 사우디는 현재 전력도 석유를 태워서 생산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고비용[* 1970년대 초까지는 유가가 배럴당 2달러 선에서 유지되었기 때문에 그럭저럭 채산성이 있었지만 1970년대 중반에 오일쇼크가 터진 이후로는 채산성이 맞지 않아 석탄을 태워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한국도 두차례의 오일쇼크를 거치면서 비용문제 때문에 1980년대에 이미 석유화력발전소를 전부 폐쇄하였다.]과 환경오염을 이유로 오래전에 포기한 방식이다. 이들 국가에서 전력 생산은 주로 [[원자력]]과 석탄화력을 사용하며 21세기 들어서는 [[태양광]]과 [[풍력발전]] 같은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있지만, 사우디는 아랑곳하지 않고 기존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이처럼 낭비가 극심한 에너지 소비구조는 석유왕국 사우디조차도 점차 감내하기 힘들어지고 있다. 사우디는 자국의 총 석유생산량 중 약 20%를 전력 생산과 차량 휘발유 공급 등을 위한 국내 소비용으로 돌리고 있는데, 인구가 나날히 증가함에 따라 국내 소비량이 매년 약 7%씩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업과 가정용 냉방시설에 의한 에너지 사용량은 살인적인 수준이다. 단적으로 2013년 한 해 동안 사우디가 소비한 총 전력량 중 약 70%가 에어컨에 소모됐다.[* 단순히 더워서 에어컨을 많이 쓴다고 해도 말이 되지 않는다. 습한 기후 때문에 체감온도가 더 높은 [[싱가포르]]도 30% 수준이다.] 인구 3500만명에 제조업이 전무한 사우디가 세계적인 제조업 대국인 한국보다 훨씬 많은 석유를 쓰고 있으며, 인구 1억의 일본에 거의 육박하는 수준으로 전세계 국가 중 6위를 차지하고 있다. [[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19/07/GSC_MH_column-68th-BP-energy-statistics_review_201907_4.png|2018년 국가별 석유소비량]] 그만큼 사우디의 에너지 구조는 비정상적이다. 수많은 국제 연구보고서들은 사우디에 끊임없이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2011년 영국 싱크탱크인 채텀 하우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사우디가 지금과 같은 에너지 소비구조를 유지할 경우, 사우디의 국내 석유 소비량은 2021년에는 사우디의 석유 수출량과 맞먹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2014년도 이후로 국제 유가가 급락함에 따라서 사우디는 큰 위기에 처했다. 2015년 사우디의 재정적자는 980억 달러로 무려 GDP의 15%에 달한다. 그에따라 휘발유 가격은 67%가 인상되었고 다른 연료값도 크게 증가하였으며 국가 보조금은 대폭 축소되었다. === 포스트 석유시대를 위한 대체산업과 한계 === 그래서 사우디는 신재생 에너지 개발, [[태양광 발전]]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정부 재정의 90%를 석유 수출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미국의 셰일가스 등의 영향으로 전세계적인 석유 수요가 줄자 사우디는 지금과 같은 경제 구조를 유지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위기감에 직면하고 있다. 사실 [[사막]]이 가득한 영토가 워낙 많아서 태양 에너지 개발로도 세계 1, 2위를 다툴 수준이라는 인식도 있다. 때문에 미래 태양광 에너지 개발이 이뤄진다면 석유 대신 이 태양 에너지로도 자원부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 있다. 이렇게 된다면 전기 수출 외에도 이를 통해 벌어들인 외화와 생산한 전기 등을 활용해 위의 농업과 낙농업을 유지 혹은 성장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우디가 태양광 발전에 천혜의 조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는 없다. 오히려 사막의 혹독한 기후, 특히 심각한 모래 폭풍은 사막에 설치해 놓을 태양광 발전설비인 수많은 태양 패널들을 손쉽게 손상시키고 고열로 인해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물론 날씨가 주구장창 흐린 곳보다야 낫지만 사막이 태양광 발전의 최적의 조건은 아니라는 것.[[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69&aid=0000066923|관련기사]]. 태양광을 개발하기 위한 부품을 국산화하는 데에도 오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태양광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부품은 대부분 유럽에서 만들어지며,[* 실제로 [[태양광 발전]] 문서에도 나오지만 현대 태양광발전에 있어서 가장 큰 성과를 보고있는 국가들은 유럽쪽이다.] 태양 전지의 원료가 되는 폴리실리콘은 대만에서 구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위 사례들이 결합한 예가 있는데 실제로 유럽으로부터 태양 패널을 선박을 통해 수입하여 사우디 공항에서 수 개월 동안 보관됐다가 사우디의 높은 열기에 모두 녹아버리는 낭패를 겪은 적이 있다. 결국 이런 문제의 해결과 국산화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태양광 에너지 수출국으로의 패권을 갖겠다는 사우디의 꿈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래봐야 사우디는 사실상 부도수표가 된다. 사우디는 여태껏 석유 하나만으로 국제사회에서 갑질을 했는데, 그것은 석유가 가진 특성 때문이다. 석유는 단순히 연료로 사용해 에너지를 얻을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현대 고분자 화학 및 산업의 근간이기 때문에 사우디가 하는 갑질이 짜증나도 국제사회차원에서 사우디를 어르고 달래줄 수밖에 없던 것이다. 그러나 에너지는 문제가 좀 다르다. [[원자력]], [[수력발전]], [[풍력발전]] 등 다양한 대체재는 물론 명백한 기술력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고효율 채취 방법인 원자력은 물론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다른 대체 에너지도 점차 효율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그 태양광 발전이 원자력의 효율을 따라잡은 독일의 사례와 같이 동일 환경에서도 기술력에 따라 발전 효율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상황에서 사우디가 갑질을 부리거나 패권국이 되고 싶다고 해 봐야 의미가 없다. 원자력 기술 강국을 통해 [[원자력 발전소]]를 사거나 첨단 기술을 국산화 하지 못한 사우디에게 기술 지원을 끊어버리겠다고 엄포를 놓으면 되기 때문이다. [[오일 쇼크]]니 뭐니 해서 세계 사람들은 사우디, 더 나아가 중동 산유국의 갑질을 당해왔고, 거기에 중동발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때문에 '사막 구석에 박혀있는 야만인 신세였을 것들이 [[졸부|석유 하나 가지고 갑질 쩐다.]]' 라고 비아냥거리기에 이르렀다.[* 실제 사우디 왕가의 행동은 [[졸부]]의 그것과 아주 흡사하다.] 문제는 사우디의 산업에서 제조업의 비중과 기술이 절망적일 정도로 낙후된 상태라는 것. 당장 밑에서 보이는 사우디 경제에서 차지하는 일반 제조업의 비율을 봐도 답이 나온다. 2007년 기준으로 사우디 제조업은 전체 산업의 9.6% 정도를 차지하는데 이마저도 석유와 관련된 석유화학 분야가 제조업 투자의 53%, 제조업 종업원 수의 22%, 제조업 수출의 64%를 차지하는데다가 대부분의 민간산업이 사실상 외국인의 손에 운영되고 있다. [[사우디인]]들은 과학이나 공학 같은 어렵고 고된 일을 기피하는데다가 다들 비실용적인 학문에 매달려 있으며, 해외로 유학을 가는 학생들도 사실상 다들 사우디 왕족 위치다보니 그다지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할 상황도 아니라 대부분은 그냥 해외여행에 가까운 수준이다. 고된 일들은 그냥 돈을 주며 외국에 맡기는 지경이다. 사우디와 사우디 사람들은 오일머니에 기대며, 공학과 과학기술을 발전시킬 사람이 없다. 농업과 낙농업 발전에도 현재로써는 한계가 있다. 사우디의 농업은 수입하는 농산물에 비해 3배 이상의 유지비를 투입해야하며 이런 원가상승요소를 엄청난 오일머니로 땜빵하는 기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석유가 펑펑 솟아나고 유가가 높은 시절이라면 모를까, 석유가 고갈되거나 유가하락 등의 요인으로 이전만큼의 효력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면 이를 단순히 태양광 발전을 통해 보충한다는 것 역시 엄청난 비효율이 될 수 있다. 즉, 간신히 유지하는 수준, 혹은 이전보다 못한 수준으로 전락할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미국의 [[셰일가스]]에 대항하기 위해 OPEC, 특히 사우디에서 폭발적인 석유증산으로 대항한 탓에 2010년대 후반의 석유 값은 말 그대로 똥값이 되어가고 있다. 문제는 이러면 대체 에너지, 특히 태양광 발전 산업도 같이 죽는다는 것. 왜냐하면 대체에너지 산업이라는 게 유가가 오를 때 빛을 발하는데 유가가 이렇게 낮으면 누가 돈 들여가면서 태양광 발전을 개발하고 사용하려고 들겠는가? 문제는 북미의 셰일가스 산업은 앞으로도 한창 발전될 여지가 충분하고 그 매장량도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당장 사우디의 2015년 재정을 지탱하기 위한 적정 유가가 106달러인데 2015년 12월 기준으로 국제유가는 30달러선이고 2016년에는 20달러선까지 무너질 수도 있다고 하는 판이다. 셰일가스라는 새로운 대체에너지가 기존 산유국들의 헤게모니 및 석유 대체에너지 산업마저 무너뜨리고 있는 것이다. 지금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태양광이고 뭐고 2020년대가 도래하기 전에 사우디가 먼저 GG치고 헬게이트에 돌입할 수도 있다. 여기에 높은 실업률로 골치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2013년에 대대적인 니따까(사우디아라비아에 사업하는 기업에 반드시 사우디아라비아 현지인을 고용하는 법안)를 제정하고 어기는 기업은 문을 닫게 강제하여 많은 논란을 낳고 [[http://blog.daum.net/dullahbank/15708396|있다.]] 급기야 외국인 노동자 추방 과정에서 [[에티오피아]] 노동자들이 폭동까지 일으켰고 이 과정에서 에티오피아인 3명이 죽었다. 자세한 건 [[http://blog.daum.net/dullahbank/15708833|둘라 블로그 참고]].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곡물 수입상 SAGO가 국부펀드 산하 농업 전문투자사 SALIC이 투자한 우크라이나의 밀밭에서 수확한 밀을 처음 구매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1577820|#]] 2020년에 사우디는 2분기의 저유가와 [[코로나19]]로 인한 손실로 1,092억리얄(290억달러·약 34조 8,337억원) 규모 재정 적자를 기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3&aid=0009992719|#]] 아랍에미리트와 함께 수소에너지와 관련된 산업을 육성할려고 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491034?sid=104|#]] 사우디의 국부펀드인 국영 [[공공투자기금]]이 8억달러 규모의 걸프 인프라 펀드의 핵심 투자국이 될 예정이라고 PIF 전략 관계자들이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5406017|#]] 사우디가 홍해 연안의 아세르 지역을 2030년까지 1,00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할 관광 중심지로 개발하기 위해 500억리얄(약 15조 4,206억원)을 투자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421&aid=0005627037|#]] === 기타 산업 === [[성지]] [[메카]]가 있다는 점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무슬림들이 성지순례를 오며 그로 인한 관광수익 또한 쏠쏠하다. 매해 200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인다고 한다. == 비전 203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 [include(틀:사우디아라비아 비전 2030)] == [[GDP]] 구조 == == [[무역]] 구조 == || [[파일:2021년 사우디 수출 HS17_4 OEC.png|width=100%]] || || '''OEC(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에 따른 2021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출구조'''.[[https://oec.world/en/visualize/tree_map/hs17/export/bhr/all/show/2021/|#]] 위 트리맵은 2021년 사우디아라비아 수출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는 {{{#A53200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FF73FF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ED40F2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AA7329 금속류(Metals)}}}, {{{#69C8ED 수송수단(Transportation)}}}, {{{#2E97FF 기계류(Machines)}}}, {{{#892EFF 귀금속류(Precious Metals)}}}, {{{#F2AA86 축·수산물(Animal Products)}}}, {{{#EFDC81 종이류(Paper Goods)}}}, {{{#02A347 의류·섬유류(Textiles)}}}, {{{#F46D2A 석재·유리(Stone and Glass)}}}, {{{#9C9FB2 기타(Miscellaneous)}}}, {{{#F4CE0F 농산물(Vegetable Products)}}}, {{{#EDB73E 동·식물성 농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9E0071 계기류(Instruments)}}}, {{{#DD0E31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6DF2B0 천연피혁류(Animal Hides)}}}, {{{#2CBA0F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847290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9CF2CF 무기류(Weapons)}}} 순으로 많이 수출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021년 2,620억 달러를 수출했다. || || [[파일:2021년 사우디 수입 HS17_4 OEC.png|width=100%]] || || '''OEC(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에 따른 2021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입구조'''.[[https://oec.world/en/visualize/tree_map/hs17/export/bhr/all/show/2021/|#]] 위 트리맵은 2021년 사우디아라비아 수입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E97FF 기계류(Machines)}}}, {{{#69C8ED 수송수단(Transportation)}}}, {{{#ED40F2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AA7329 금속류(Metals)}}}, {{{#A53200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F4CE0F 농산물(Vegetable Products)}}}, {{{#02A347 의류·섬유류(Textiles)}}}, {{{#A0D447 식품류(Foodstuffs)}}}, {{{#FF73FF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9C9FB2 기타(Miscellaneous)}}}, {{{#892EFF 귀금속류(Precious Metals)}}}, {{{#F2AA86 축·수산물(Animal Products)}}}, {{{#9E0071 계기류(Instruments)}}}, {{{#F46D2A 석재·유리(Stone and Glass)}}}, {{{#EFDC81 종이류(Paper Goods)}}}, {{{#DD0E31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EDB73E 동·식물성 농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2CBA0F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9CF2CF 무기류(Weapons)}}}, {{{#6DF2B0 천연피혁류(Animal Hides)}}}, {{{#847290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순으로 많이 수입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021년 1,550억 달러를 수입했다. || OEC에 따르면 2021년 사우디아라비아는 2,620억 달러를 수출하고 1,550억 달러를 수입, 1,070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가장 많이 수출한 것은 광물제품류로 이 상품군은 전체 수출의 70.6%를 차지했다. 특히 원유(Crude Petroleum)와 정제유(Refined Petroleum)이 각각 53%, 14.7%를 차지하여 석유 부문에 극심히 의존하고 있다. 가장 많이 수입한 것은 기계류, 수송수단, 화학제품류, 금속류이며 이 상품군들은 전체 수입의 52.5%를 차지했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중국]], [[UAE]], [[인도]], [[일본]], [[미국]], [[한국]]이다. === 주요 무역 지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2006SaudiArabian_exports.png|width=600]] ※ [[2006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무역 지역 == 관련 문서 == * [[경제학]] * [[국력]] [[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