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사운드 볼텍스)] [include(틀:사운드 볼텍스)] [목차] == 개요 == 이 문서는 [[사운드 볼텍스]]의 수록곡 중 특이한 기록을 가지고 있는 곡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사운드 볼텍스/수록곡|사운드 볼텍스의 모든 수록곡들]]을 기준으로, 각 항목별 상위 10개까지 목록을 만들어 표시하며, 수치가 같다면 공동으로 표시한다. * 아티스트는 리믹스 곡의 경우 리믹스한 사람, 그 외는 원 작곡가로 표기. * 정규 업데이트에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편의를 위해 최초 수록 버전은 직전의 정규 업데이트에 +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 기존에 1위를 한 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그렇지 않은 곡들은 목록 아래에 잔류 기간과 함께 따로 표시한다. == 체인 수 == === 전체 많은 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순위||제목||아티스트||난이도||레벨||체인수||최초 수록 버전||비고|| ||1||[[MAYHEM(BEMANI 시리즈)|MAYHEM]]||[[RoughSketch]] × CANVAS feat. Quimär||<:>{{{#696969 MXM}}}||<:>'''20'''||<:>'''{{{#red 5526}}}'''||<:>[[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39}}}]]||[[HEXA DIVER]]|| ||2||[[SuddeИDeath]]||[[xi]] vs. [[モリモリあつし]]||<:>{{{#696969 MXM}}}||<:>'''20'''||<:>'''{{{#red 4409}}}'''||<:>[[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63}}}]]||[[BEMANI PRO LEAGUE SEASON 2]] 사운드 볼텍스 부문 결승곡|| ||3||[[666(BEMANI 시리즈)|666]]||[[RoughSketch]]||<:>{{{#696969 MXM}}}||<:>'''20'''||<:>'''{{{#red 4092}}}'''||<:>[[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25}}}]]||[[The 9th KAC]] 최우수 당선곡[br][[HEXA DIVER]]|| ||4||[[Bl∞min']]||[[MisoilePunch♪]] -Forever-||<:>{{{#696969 MXM}}}||<:>'''20'''||<:>'''3905'''||<:>[[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38}}}]]||[[HEXA DIVER]]|| ||5||[[MAYHEM(BEMANI 시리즈)|MAYHEM]]||[[RoughSketch]] × CANVAS feat. Quimär||<:>{{{#red EXH}}}||<:>18||<:>'''3838'''||<:>[[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39}}}]]||[[HEXA DIVER]]|| ||6||[[Jack-the-Ripper◆]]||[[sasakure.UK]]||<:>{{{#696969 MXM}}}||<:>18||<:>'''3757'''||<:>[[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01}}}]]|| || ||7||[[777(RoughSketch)|777]]||[[RoughSketch]](Notebook Records)||<:>{{{#696969 MXM}}}||<:>19||<:>'''3669'''||<:>[[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01}}}]]|| || ||8||[[怒槌]]||[[미츠요시 타케노부|光吉猛修]]||<:>{{{#696969 MXM}}}||<:>18||<:>'''3628'''||<:>[[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28}}}]]||[[천하제일리겜축제]] 제4회|| ||9||[[I(BEMANI 시리즈)#s-2|I]]||[[黒魔]]||<:>{{{#696969 MXM}}}||<:>'''20'''||<:>'''3626'''||<:>[[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38}}}]]||[[ΩDimension]][br][[The 7th KAC]] 최우수 당선곡|| ||10||[[TENKAICHI ULTIMATE BOSSRUSH MEDLEY]]||TENKAICHI LEGENDS||<:>{{{#696969 MXM}}}||<:>'''19'''||<:>'''3607'''||<:>[[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02}}}]]||[[천하제일리겜축제]] 제5회|| ||<-8> 10위권 바깥으로 밀려난 역대 1위 || ||||[[冥(BEMANI 시리즈)|冥]][br]Rockin' SWING REMIX||[[164(프로듀서)|164]]||<:>{{{#f2f INF}}}||<:>18||<:>'''3398'''||<:>[[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white II 29}}}]]||2022-04-24까지|| ||||[[VALLIS-NERIA]]||[[DJ YOSHITAKA]]||<:>{{{#red EXH}}}||<:>18||<:>'''2586'''||<:>[[POLICY BREAK|{{{#000000 POLICY BREAK}}}]]||2016-02-05까지|| ||||[[冥(BEMANI 시리즈)|冥]][br]Rockin' SWING REMIX||[[164(프로듀서)|164]]||<:>{{{#red EXH}}}||<:>16||<:>'''2101'''||<:>[[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3}}}]]||2014-02-15까지|| ||||[[smooooch・∀・]][br] KN mix||KN||<:>{{{#red EXH}}}||<:>13||<:>'''1458'''||<:>[[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1}}}]]||2012-10-05까지|| }}} BPM이 255 이상이 되면 시스템 상으로 롱노트와 지속 노브의 체인 수를 절반으로 줄이는 보정이 들어간다. 하지만 [[MAYHEM(BEMANI 시리즈)|MAYHEM]] MXM은 BPM이 '''998'''이나 되기 때문에 보정을 받아도 499라 그런거 다 무시하고 1위를 차지했다. 5526은 [[BEMANI 시리즈]] 통틀어서 가장 많은 노트 수이다. BEMANI 시리즈뿐 아니라 [[리듬 게임]] 전체를 통틀어도 이 정도의 노트수를 가진 채보는 십중팔구 사람이 정상적으로 칠 수 없는 관상용 채보이거나, 곡 길이가 터무니없이 긴 경우이다.[* 굳이 두 가지 모두에 해당하지 않는 채보를 찾아보자면 롱노트 틱 장난을 거의 무제한으로 구사 가능한 [[펌프 잇 업]]의 미션 존 전용 채보가 있으나, 이마저도 정규 패턴으로 취급되지 않기에 상업용 리듬 게임의 정규 패턴 중에서는 MAYHEM이 가장 많은 노트수를 가지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고BPM의 틱 콤보+사운드 볼텍스의 노브 시스템에 따른 노트 수 증가라는 점을 감안해도 대단한 기록. ==== EXHAUST 많은 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순위||제목||아티스트||레벨||체인수||최초 수록 버전||비고|| ||1||[[MAYHEM(BEMANI 시리즈)|MAYHEM]]||[[RoughSketch]] × CANVAS feat. Quimär||<:>18||<:>'''3838'''||<:>[[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39}}}]]||[[HEXA DIVER]]|| ||2||[[Bl∞min']]||[[MisoilePunch♪]] -Forever-||<:>18||<:>'''3311'''||<:>[[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38}}}]]||[[HEXA DIVER]]|| ||3||[[777(RoughSketch)|777]]||[[RoughSketch]](Notebook Records)||<:>17||<:>'''3289'''||<:>[[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01}}}]]|| || ||4||[[666(BEMANI 시리즈)|666]]||[[RoughSketch]] ||<:>18||<:>'''3212'''||<:>[[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25}}}]]||[[HEXA DIVER]][br][[The 9th KAC]] 최우수 당선곡|| ||5||[[SuddeИDeath]]||[[xi]] vs. [[モリモリあつし]]||<:>18||<:>'''3199'''||<:>[[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63}}}]]||[[BEMANI PRO LEAGUE SEASON 2]] 사운드 볼텍스 부문 결승곡|| ||6||[[Jack-the-Ripper◆]]||[[sasakure.UK]]||<:>16||<:>'''3171'''||<:>[[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01}}}]]|| || ||7||[[I(BEMANI 시리즈)#s-2|I]]||[[黒魔]]||<:>18||<:>'''3131'''||<:>[[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38}}}]]||[[ΩDimension]][br][[The 7th KAC]] 최우수 당선곡|| ||8||[[Chronomia]]||[[Lime(작곡가)|Lime]]||<:>17||<:>'''3087'''||<:>[[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01}}}]]|| || ||9||[[↓↓↓]]||[[庭師]]||<:>18||<:>'''3027'''||<:>[[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000000 III 76}}}]]|| || ||10||[[Ghost Family Living In Graveyard]]||[[RoughSketch]]||<:>17||<:>'''3010'''||<:>[[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13}}}]]||[[ΩDimension]]|| }}} 최고난도 채보로서의 EXH 패턴은 [[↓↓↓]] 하나뿐이다. 나머지는 모두 IV 이후의 난이도 체계에서 MXM의 하위 채보로 나온 패턴들이다. ==== ADVANCED 많은 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순위||제목||아티스트||레벨||체인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1||[[MAYHEM(BEMANI 시리즈)|MAYHEM]]||[[RoughSketch]] × CANVAS feat. Quimär||<:>'''15'''||<:>'''{{{#red 2868}}}'''||<:>[[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39}}}]]||[[HEXA DIVER]]|| ||2||[[666(BEMANI 시리즈)|666]]||[[RoughSketch]]||<:>'''15'''||<:>'''{{{#red 2264}}}'''||<:>[[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25}}}]]||[[The 9th KAC]] 최우수 당선곡[br][[HEXA DIVER]]|| ||3||[[I(BEMANI 시리즈)#s-2|I]]||[[黒魔]]||<:>'''15'''||<:>'''2156'''||<:>[[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38}}}]]||[[ΩDimension]][br][[The 7th KAC]] 최우수 당선곡|| ||4||[[777(RoughSketch)|777]]||[[RoughSketch]](Notebook Records)||<:>14||<:>'''2139'''||<:>[[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FFFFFF VI 01}}}]]|| || ||5||[[ΣgØ]]||かぼちゃ||<:>'''15'''||<:>'''2115'''||<:>[[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13}}}]]||[[ΩDimension]]|| ||6||[[Bl∞min']]||[[MisoilePunch♪]] -Forever-||<:>'''15'''||<:>'''2079'''||<:>[[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FFFFFF VI 38}}}]]||[[HEXA DIVER]]|| ||7||[[Ghost Family Living In Graveyard]]||[[RoughSketch]]||<:>14||<:>'''2025'''||<:>[[사운드 볼텍스 VIVID WAVE|{{{#white V 13}}}]]||[[ΩDimension]]|| ||8||[[mqlo]]||[[C-Show]]||<:>13||<:>'''2001'''||<:>[[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기간한정 해금|| ||9||[[Jack-the-Ripper◆]]||[[sasakure.UK]]||<:>13||<:>'''1911'''||<:>[[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01}}}]]|| || ||10||[[하츠네 미쿠의 소실|消失]]||[[cosMo@暴走P]]||<:>12||<:>'''1864'''||<:>[[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31}}}]]|| || ||<-7> 10위권 바깥으로 밀려난 역대 1위 || ||||[[KAC 2012 ULTIMATE MEDLEY -HISTORIA SOUND VOLTEX-|KAC 2012 ULTIMATE MEDLEY[br]-HISTORIA SOUND VOLTEX-]]||FLOOR LEGENDS[br]-KAC 2012-||<:>12||<:>'''1712'''||<:>[[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15}}}]]||[[The 4th KAC]] EXTRA MISSION[br]2020-11-19까지|| ||||[[はわわw!な展開っ!]]||[[かねこちはる]] feat. 紫崎 雪||<:>11||<:>'''1484'''||<:>[[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ffffff II 42}}}]]||2015-11-13까지|| ||||[[Idola]]||[[dj TAKA|icono]][[wac|clasm]] feat. [[GUMI]]||<:>12||<:>'''1480'''||<:>[[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ffffff II 37}}}]]||[[GUMI 5th Anniversary party Presented by BEMANI]][br]2015-10-08까지|| ||||[[最終鬼畜妹フランドール・S]]||[[비트마리오|ビートまりお]][br]([[COOL&CREATE]])||<:>12||<:>'''1455'''||<:>[[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ffffff II 13}}}]]||2015-08-28까지|| ||||[[VALLIS-NERIA]]||[[DJ YOSHITAKA]]||<:>11||<:>'''1451'''||<:>[[POLICY BREAK|{{{#000000 POLICY BREAK}}}]]||2015-08-13까지|| ||||[[Blue Rain]][br]Dustboxxxx RMX||Dustboxxxx||<:>10||<:>'''1288'''||<:>[[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14}}}]]||2014-08-06까지|| ||||[[FLOWER(BEMANI 시리즈)|FLOWER]][br]REDALiCE Remix ||[[REDALiCE]]||<:>11||<:>'''1244'''||<:>[[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4}}}]]||2014-02-06까지|| ||||[[冥(BEMANI 시리즈)|冥]][br]Rockin' SWING REMIX||[[164(프로듀서)|164]]||<:>12||<:>'''1212'''||<:>[[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3}}}]]||2013-12-13까지|| ||||[[smooooch・∀・]][br] KN mix||KN||<:>08||<:>'''1108'''||<:>[[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1}}}]]||2013-06-20까지|| }}} 최종귀축 여동생 플랑드르·S가 수록 이래 레벨 11 주제에 아주 오랫동안 ADVANCED 1위를 차지하였으나, 신곡 업데이트와 함께 순식간에 밀려났다. 이전까지 소실과 KAC 2012 메들리는 둘 다 2분 20초가 넘는 매우 긴 곡으로, EXH/GRV에서도 상당한 체인 수를 자랑하였으나 2018년 2월 22일 [[I]] 출시로 ADV패턴이 무려 2000체인을 넘기면서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가 2020년 2월 27일 [[666(BEMANI 시리즈)|666]]이 나온 이후로 1위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으며 666은 MAYHEM이 등장하기 전까지 9개월간 1위를 지키고 있었다. ==== NOVICE 많은 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순위||제목||아티스트||레벨||체인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1||[[MAYHEM(BEMANI 시리즈)|MAYHEM]]||[[RoughSketch]] × CANVAS feat. Quimär||<:>'''08'''||<:>'''{{{#red 2547}}}'''||<:>[[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39}}}]]||[[HEXA DIVER]]|| ||2||[[いまきみに]]||[[Silentroom]]||<:>'''08'''||<:>'''{{{#red 1637}}}'''||<:>[[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ffffff VI 42}}}]]||[[HEXA DIVER]]|| ||3||[[666(BEMANI 시리즈)|666]]||[[RoughSketch]]||<:>'''08'''||<:>'''{{{#red 1555}}}'''||<:>[[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25}}}]]||[[The 9th KAC]] 최우수 당선곡[br][[HEXA DIVER]]|| ||4||[[CLAMARE]]||[[MAX MAXIMIZER]]||<:>'''07'''||<:>'''1357'''||<:>[[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리플렉 비트 악곡 스탬프 이벤트]]|| || ||5||[[Lachryma《Re:Queen’M》]]||[[かねこちはる]]||<:>'''08'''||<:>'''1348'''||<:>[[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47}}}]]||[[The 5th KAC]] 최우수 당선곡|| ||6||[[I(BEMANI 시리즈)#s-2|I]]||[[黒魔]]||<:>'''08'''||<:>'''1331'''||<:>[[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38}}}]]||[[ΩDimension]][br][[The 7th KAC]] 최우수 당선곡|| ||7||[[777(RoughSketch)|777]]||[[RoughSketch]](Notebook Records)||<:>'''07'''||<:>'''1292'''||<:>[[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ffffff VI 01}}}]]|| || ||8||[[VILE CAT]]||TAKU1175||<:>05||<:>'''1282'''||<:>[[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ffffff II 46}}}]]|| || ||9||[[Xronièr]]||[[かめりあ]] as "fluX Xroisé"||<:>'''07'''||<:>'''1267'''||<:>[[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51}}}]]||[[ΩDimension]]|| ||10||[[ΣgØ]]||かぼちゃ||<:>'''08'''||<:>'''1212'''||<:>[[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13}}}]]||[[ΩDimension]]|| ||<-7> 10위권 바깥으로 밀려난 역대 1위 || ||||[[最終鬼畜妹フランドール・S]]||[[비트마리오|ビートまりお]][br]([[COOL&CREATE]])||<:>05||<:>'''1079'''||<:>[[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ffffff II 13}}}]]||2020-11-19까지 || ||||[[카니발(VOCALOID 오리지널 곡)|カーニバル]]||[[otetsu]] feat.[[등유(우타이테)|灯油]]||<:>04||<:>'''1057'''||<:>[[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6}}}]]||2019-02-07까지|| ||||[[FLOWER(BEMANI 시리즈)|FLOWER]][br]REDALiCE Remix||[[REDALiCE]]||<:>06||<:>'''1052'''||<:>[[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4}}}]]||2018-09-06까지|| ||||[[smooooch・∀・]][br] KN mix||KN||<:>03||<:>'''0726'''||<:>[[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1}}}]]||2012-10-12까지|| }}} ADVANCED랑 비슷하게 오랫동안 1위를 차지하던 최종귀축 여동생 플랑드르·S가 [[VILE CAT]]한테 큰 차이로 1위를 빼앗겼다. 심지어 길이 하나로 모든 난이도에서 일단 순위권에 먹고 들어가는 KAC 2012 메들리조차 1위를 빼앗지 못했다. 그러다 The 5th KAC에서 공개된 [[Lachryma《Re:Queen’M》]]이 NOVICE 최대 레벨을 8로 갱신함과 동시에 체인 수 1위도 빼앗았다가 [[The 9th KAC]]에서 공개된 신곡 [[666(BEMANI 시리즈)|666]]에 1위를 넘겨주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666은 9개월 후에 등장한 MAYHEM에게 NOV 체인수 1위 자리를 넘겨주게 된다. === 기타 === ## 다른 문서에 지엽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기록들을 정리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 10위권까지 수록하기에는 업데이트가 용이하지 않고 큰 의미도 없어서 표를 쓰지 않습니다. * 전 패턴 최저 체인: [[メランコリック]] {{{#purple NOV}}} (0245) * NOV 패턴 최저 체인: [[メランコリック]] (0245) * ADV 패턴 최저 체인: [[春色ポートレート]] (0394) * EXH 패턴 최저 체인: [[春色ポートレート]] (0511) * MXM 패턴 최저 체인: [[からくりピエロ]] (0974) * 번외 패턴 최저 체인: [[Rebellious stage]] {{{#f2f INF}}} (1108) * 각 레벨별 최대 체인: * 20레벨: [[MAYHEM(BEMANI 시리즈)|MAYHEM]] (MXM, 5526) * 19레벨: [[777(RoughSketch)|777]] (MXM, 3669) * 18레벨: [[MAYHEM(BEMANI 시리즈)|MAYHEM]] (EXH, 3838) * 17레벨: [[キリカ]] (MXM, 3544) * 16레벨: [[Jack-the-Ripper◆]] (EXH, 3171) * 15레벨: [[MAYHEM(BEMANI 시리즈)|MAYHEM]] (ADV, 2868) * 14레벨: [[キリカ]] (EXH, 2882) * 13레벨: [[mqlo]] (ADV, 2005) * 12레벨: [[하츠네 미쿠의 소실|消失]] (ADV, 1864) * 11레벨: [[キリカ]] (ADV, 1700) * 10레벨: [[放課後ストライド]] (ADV, 1419) * 9레벨: [[SkyDrive!]] (ADV, 1306) * 8레벨: [[MAYHEM(BEMANI 시리즈)|MAYHEM]] (NOV, 2547) * 7레벨: [[Xronièr]] (NOV, 1267) * 6레벨: [[KAC 2012 ULTIMATE MEDLEY -HISTORIA SOUND VOLTEX-]] (NOV, 1185) * 5레벨: [[VILE CAT]] (NOV, 1282) * 4레벨: [[カーニバル]] (NOV, 1057) * 3레벨: [[嘘と接吻]] (NOV, 0966) * 2레벨: [[星屑ユートピア]] (NOV, 0838) * 1레벨: [[It's over]] (NOV, 0511) * 각 레벨별 최저 체인: * 20레벨: [[iLLness LiLin]] (MXM, 2151) * 19레벨: [[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 (MXM, 1323) * 18레벨: [[プナイプナイたいそう]] (MXM, 1440) * 17레벨: [[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 (EXH, 0977) * 16레벨: [[Two of Us]] (MXM, 0834) * 15레벨: [[Issen]] (EXH, 0853) * 14레벨: [[星の詩]] (EXH, 0739) * 13레벨: [[ぱあ]] (EXH, 0715) * 12레벨: [[Two of Us]] (EXH, 0640) * 11레벨: [[おどりましょうよ!ドラゴンさん ~転生したらゲーム曲でした~]] (ADV, 0551) * 10레벨: [[ハレ晴レユカイ]] (ADV, 0452) * 9레벨: [[Starlight Express]] (ADV, 0497) * 8레벨: [[からくりピエロ]] (ADV, 0424) * 7레벨: [[ハッピーシンセサイザ]] (ADV, 0439) * 6레벨: [[L9]] (NOV, 0423) * 5레벨: [[VERSUS!!]] (NOV, 0318) * 4레벨: [[星の詩]] (NOV, 0268) * 3레벨: [[Spice Road]] (NOV, 0249) * 2레벨: [[こちら、幸福安心委員会です。]] (NOV, 0252) * 1레벨: [[メランコリック]] (NOV, 0245) == BPM == 높은 순은 최고점을, 낮은 순은 최저점을 기준으로 한다. === 높은 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순위||제목||아티스트||BPM||최초 수록 버전||기타|| ||1||[[D.I.X.]]||日夜すずり feat. 凜々|| 70-'''{{{+1 {{{#red 1080}}}}}}'''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ffffff VI 69}}}]]||BEMANI 시리즈 전체 1위 || ||2||[[超☆超☆光☆速☆出☆前☆最☆速!!! スピード★スター★かなで]]||[[かめりあ]] feat. [[ななひら]]||<:>30-'''{{{#red 999}}}'''||<:>[[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08}}}]]|||| || ||3||[[MAYHEM(BEMANI 시리즈)|MAYHEM]]||[[RoughSketch]] × CANVAS feat. Quimär ||<:> __'''998'''__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39}}}]]||단일 BPM 한정 1위 || ||4||[[gigadelic]][br](m3rkAb4# Rem!x)||ikaruga_nex||<:>180-'''916'''||<:>[[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01}}}]]|||| || ||5||[[Gate of Atlantis]]||MasKaleido||<:>8-'''888'''||<:>[[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46}}}]]|| || ||6||[[ENDYMION]]||fallen shepherd ft. RabbiTon Strings||<:>110-'''880'''||<:>[[POLICY BREAK|{{{#000000 POLICY BREAK}}}]]||2020-03-16까지 || ||7||[[777(RoughSketch)|777]]||[[RoughSketch]](Notebook Records)||<:>'''777'''||<:>[[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ffffff VI 01}}}]]|| || ||8||[[666(BEMANI 시리즈)|666]]||[[RoughSketch]]||<:>'''666'''||<:>[[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25}}}]]||[[The 9th KAC]] 최우수 당선곡 || ||9||[[侍Annihilate!!]]||QURELESS||<:>'''500'''||<:>[[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64}}}]]|| || ||10||[[ULTiMATE INFLATiON]]||[[cosMo@暴走P|cosMo@暴走Genocider]]||<:>'''451'''||<:>[[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22}}}]]|||| || ||<-6> 10위권 바깥으로 밀려난 역대 1위 || ||||[[KiLLeR MeRMaiD]]||QURELESS||<:>'''440'''||<:>[[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ffffff II 32}}}]]||||2023-06-22까지|| ||||[[音楽]][BR]-壊音楽 mix-||[[LeaF]]||<:>270-'''420'''||<:><#ff00ec>[[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white II 03}}}]]||||2021-02-17까지|| ||||[[Starlight Express]]||[[ginkiha]]||<:>200-'''400'''||<:><#ff00ec>[[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white II 01}}}]]||2020-09-23까지|| ||||[[신님 태엽감기|カミサマネジマキ]]||[[kemu]][br]feat. GUMI||<:>'''284'''||<:>[[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18}}}]]||2014-11-20까지|| ||||[[썩은 외도와 초콜릿|腐れ外道とチョコレゐト]]||[[피노키오피|ピノキオP]]||<:>'''260'''||<:>[[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16}}}]]||2014-03-20까지|| ||||[[카니발(VOCALOID 오리지널 곡)|カーニバル]]||[[otetsu]] feat.[[등유(우타이테)|灯油]]||<:>'''254'''||<:>[[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6}}}]]||2014-01-10까지|| ||||[[나나이로|ナナイロ]]||[[otetsu]]||<:>'''230'''||<:>[[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2}}}]]||2013-08-02까지|| ||||[[LOVE♡SHINE]][br]わんだふるmix||ARM([[IOSYS(동인 서클)|IOSYS]])[br]feat. 一ノ瀬月琉||<:>'''177'''||<:>[[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1}}}]]||2012-04-26까지|| ||||[[smooooch・∀・]][br] KN mix||KN||<:>'''177'''||<:>[[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1}}}]]||2012-04-26까지|| }}} 순간 BPM 1위는 '''999'''이라는 경이로운 숫자와 함께 혜성같이 등장한 [[超☆超☆光☆速☆出☆前☆最☆速!!! スピード★スター★かなで]]가 오랫동안 순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전에 1위였던 기가델릭 리믹스도 초고속 파트에 치명적인 패턴이 없던 거와는 대조적으로, 이 곡은 999구간이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되고, 노트 패턴도 전혀 쉽게 나오지 않는다. 노브 주차에 실패하면 초초광속으로 게이지가 깎이는건 덤. 그러나 2023년 6월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익시드 기어]]에서 등장한 BPM '''1080'''의 [[D.I.X.]]에게 자리를 넘겨주었으며, 해당 곡은 현재 '''BEMANI 시리즈에서 가장 빠른 BPM의 악곡'''이다. 그 다음으로 가장 빠른 곡은 [[Tohoku EVOLVED]](1020)이며, 이에 따라 스피드 스타 카나데는 3위로 밀려나게 되었다. 고정 BPM 1위는 [[MAYHEM(BEMANI 시리즈)|MAYHEM]]으로 '''998'''이라는[* 4비트가 BPM 249.5의 16비트에 해당하는 속도로, [[Hz]]로 환산하면 16.63 Hz이다. 이 정도면 BPM만으로 인간의 [[소리|가청음역대]]에 육박한다.] 스피드스타와 거의 동급인 --어이가 안드로메다로 날아가는-- 속도를 자랑한다. 덕분에 이 곡은 BEMANI 시리즈 내에서 가장 빠른 고정 BPM 악곡이다. 2위는 777, 3위는 666이고 4위는 500인 [[侍Annihilate!!]], 5위는 BPM 451인 [[ULTiMATE INFLATiON]]이다. === 낮은 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순위||제목||아티스트||BPM||최초 수록 버전||기타|| ||1||[[恋愛=精度×認識力]]||立秋 vs. [[L.E.D.|L.E.D.-G]] feat.[[쵸코(동인 보컬)|ちょこ]]&[[ななひら]]||<:>'''3'''-333||<:>[[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X-Record}}}]]|| || ||2||[[竹(BMS)|竹]]||立秋 feat.[[쵸코(동인 보컬)|ちょこ]]||<:>'''5'''-315||<:>[[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21}}}]]|| || ||3||[[Gate of Atlantis]]||MasKaleido||<:>'''8'''-888||<:>[[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46}}}]]|| || ||4||[[HP:1]]||Verdammt||<:>'''11'''-193||<:>[[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30}}}]]|| || ||5||[[Xymatic Scope]]||MasKaleido feat. ぁゅ||<:>'''22'''-170||<:>[[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09}}}]]|| || ||<|3>6||[[Black Emperor]]||[[黒魔]]||<:>'''30'''-195||<:>[[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ffffff II 29}}}]]|| || ||[[KAC 2013 ULTIMATE MEDLEY -HISTORIA SOUND VOLTEX- Emperor Side|KAC 2013 ULTIMATE MEDLEY[br]-HISTORIA SOUND VOLTEX-[br]Emperor Side]]||FLOOR LEGENDS[br]-KAC 2013-||<:>'''30'''-234||<:>[[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51}}}]]|| || ||[[超☆超☆光☆速☆出☆前☆最☆速!!! スピード★スター★かなで]]||[[かめりあ]] feat. [[ななひら]]||<:>'''30'''-999||<:>[[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08}}}]]|| || ||9||[[混乱少女♥そふらんちゃん!!]]||[[かめりあ]] feat. [[ななひら]]||<:>'''32'''-259||<:>[[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16}}}]]|||| || ||10||[[Halcyon]]||[[xi]]||<:>'''40'''-191||<:>[[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73}}}]]|||| || ||<-6> 10위권 바깥으로 밀려난 역대 1위 || ||||[[赤より紅い夢-Aya2g Tech Dance Remix-|赤より紅い夢[br]-Aya2g Tech Dance Remix-]]||Ayatsugu_Otowa ||<:>'''71'''-143||<:>[[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ffffff II 14}}}]]||||2016-12-21까지|| ||||[[봄빛 포트레이트|春色ポートレート]]||しゃむおん||<:>'''80'''||<:>[[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6}}}]]||2016-10-06까지[* 2020-10-06까지 고정 BPM 1위]|| ||||[[jet coaster☆girl]][br]sasakure.UK tRickStAr Remix||[[sasakure.UK]] feat. mirto||<:>'''120'''||<:>[[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2}}}]]||2013-10-18까지|| ||||[[Love♡sicK]]||8#Prince(八王子P)||<:>'''132'''||<:>[[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1}}}]]||2012-08-30까지|| }}} 고정 BPM 기준으로 1위는 [[星の詩]](67)인데 정작 원래 빠른 곡에 변속 장난을 친 경우가 너무 많아 아예 순위권에 들어가있지도 않다. [[超☆超☆光☆速☆出☆前☆最☆速!!! スピード★スター★かなで]]와 [[Gate of Atlantis]]는 특이하게도 최고, 최저 랭킹에 모두 들어가 있다. [[APØCALYPSE RAY]]의 경우 BPM은 212로 평범하지만 BPM 표시와 상관 없이 순간적으로 레인스피드가 0이 되는 기믹이 존재한다. === 변속이 많은 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순위||제목||아티스트||변속 횟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1||[[ØƵ]]||[[Hommarju]] ft. [[모리나가 마유미|Mayumi morinaga]] ||<:>{{{#red '''111'''}}}||<:>[[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45 }}}]]||||사운드 볼텍스 수록곡 중 유일하게 변속이 '''100회 이상'''인 곡 || ||2||[[ピアノ独奏無言歌 "灰燼"]]||[[wac|Virkato Wakhmaninov]]||<:>'''81'''||<:>[[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 }}}]]||||BEMANI SYMPHONY Concert 2022 || ||3||[[音楽#s-2.3]][br]-resolve-||Yu_Asahina||<:>'''77'''||<:>[[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ffffff II 06}}}]]|||| || ||4||[[Redshift 2nd Ignition]]||technoplanet||<:>'''76'''||<:>[[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33}}}]]||[[HEXA DIVER]]|| ||5||[[* Erm, could it be a Spatiotemporal ShockWAVE Syndrome...? ]]||[[かめりあ]]||<:>'''53'''||<:>[[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17}}}]]||[[ΩDimension]]|| ||6||[[Яe:son D'être]]||SCHOOL CASTE(石見&とおる)||<:> '''47'''||<:>[[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33}}}]]||[[HEXA DIVER]]|| ||7||[[恋愛=精度×認識力]]||立秋 vs. BEMANI Sound Team "[[L.E.D.|L.E.D.-G]]" feat.[[쵸코(동인 보컬)|ちょこ]]&[[나나히라|ななひら]]||<:> '''42'''||<:>[[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 }}}]]||||X-Record 3탄 || ||8||[[竹(BMS)|竹]]||立秋 feat.ちょこ||<:>'''40'''||<:>[[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21}}}]]|| || ||9||[[gigadelic]][br](m3rkAb4# Rem!x)||ikaruga_nex||<:>'''38'''||<:>[[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01}}}]]|||| || ||10||[[混乱少女♥そふらんちゃん!!]]||[[かめりあ]] feat.[[나나히라|ななひら]]||<:>'''32'''||<:>[[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16}}}]]|||| || ||<-6> 10위권 바깥으로 밀려난 역대 1위 || ||||[[croiX]]||[[Team Grimoire|TeamGrimoire]]+あま猫||<:>'''18'''||<:>[[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20}}}]]||2019-02-07까지|| ||||[[천성의 약함|天ノ弱]]||[[164(아티스트)|164]][br]feat. [[GUMI]]||<:>'''5'''||<:>[[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8}}}]]||2014-01-10까지|| ||||[[neu]][br]BSP style||[[cosMo@暴走P]]||<:>'''1'''||<:>[[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5}}}]]||2013-06-05까지[br]최초의 변속곡|| }}} [[音楽]] -resolve-가 압도적인 BPM 미분으로 1위를 탈환하기 전까지는 [[croiX]]가 줄곧 1위에 위치해 있었다. 그 후 가속 구간에 모든 변속을 집어넣은 [[gigadelic]] (m3rkAb4# Rem!x)이 해음악의 아성을 위협했으나 무너뜨리지는 못했고, 작곡가가 직접 100회 이상의 변속 및 변박이 있다고 언급한 [[混乱少女♥そふらんちゃん!!]] 역시 수록 기준으로 3위에 그쳤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그런데 진짜 100회 이상 변속을 가진 곡이 등장했다]]-- 7년 후, 드디어 [[ピアノ独奏無言歌 "灰燼"]]이 '''81번의 변속으로 변속 부문 1위를 달성했다!''' 재미있는 점으로 두 곡 다 [[wac]]과 관련이 깊은 곡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4달도 안되어서 [[ØƵ]]가 '''무려 111회의 변속으로 다시 변속 부문 1위를 차지했다.''' [[*Feels Seasickness...*]]는 난이도에 따라 BPM 변화가 다른[* MXM/EXH: 28회, ADV: 24회, NOV: 21회] 덕분에 10위 안에 세 번이나 적혀있'''었'''다. IV 이후로 BPM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증가 혹은 감소하는 형태의 변속이 많아졌는데, 이런 연출이 있는 곡은 실제 변속 횟수가 체감 변속 정도에 비해 크게 불어나게 된다. [[technoplanet]]의 곡에서 이런 BPM 연출이 자주 보이는 편인데, [[Turn the story]][* 24번의 변속이 있는 곡이지만 그 중 20번은 BPM 240에서 220으로 1틱당 1씩 떨어지면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20틱에 걸쳐 BPM 20이 감소하는 것으로 체감되어, 실질적인 변속은 5번으로 느껴지게 된다.]와 [[Redshift 2nd Ignition]][* 연속적인 변속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변속 횟수를 29번이나 늘린 결과 해음악보다 하나 적은 76회의 변속 횟수를 가지게 되었다.]이 그 예이다. 이 분야의 끝판왕은 [[ØƵ]]로, 이런 연출을 순간 감속과 함께 수시로 깔아둬서 실질적인 변속이 67번임에도 표기상으로는 그 1.6배인 111번의 변속 횟수를 갖게 되었다. == 첫 PUC까지 걸린 시간 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8> '''2020년 11월 21일 기준''' || ||순위||제목||난이도||레벨||<:>수록 일자[br]PUC일자||소요 일수||최초 수록 버전||기타|| ||1||[[Lachryma《Re:Queen’M》]]||<:>{{{#e28712 GRV}}}||<:>20||<:>2016-02-05[br]2018-02-20 ||<:>'''{{{#red 747}}}'''||<:>[[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373a3c III 47}}}]]||[[The 5th KAC]] 최우수 당선곡|| ||2||[[FIN4LE ~終止線の彼方へ~]]||<:>{{{#696969 MXM}}}||<:>20||<:>2017-08-10[br]2018-07-12 ||<:>'''337'''||<:>[[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22}}}]]||[[ΩDimension]]|| ||3||[[Xronièr]]||<:>{{{#696969 MXM}}}||<:>20||<:>2018-08-09[br]2019-03-01 ||<:>'''205'''||<:>[[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51}}}]]||[[ΩDimension]]|| ||4||[[TENKAICHI ULTIMATE BOSSRUSH MEDLEY]]||<:>{{{#696969 MXM}}}||<:>19||<:>2019-03-15[br]2019-08-10 ||<:>'''149'''||<:>[[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02}}}]]||[[천하제일리겜축제]] 제5회|| ||5||[[Xroniàl Xéro]]||<:>{{{#696969 MXM}}}||<:>19||<:>2020-08-06[br]2020-11-21||<:>'''106'''||<:>[[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white V 32}}}]]|| || ||6||[[Dyscontrolled Galaxy]]||<:>{{{#696969 MXM}}}||<:>19||<:>2017-08-10[br]2017-11-09 ||<:>'''92'''||<:>[[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22}}}]]||[[ΩDimension]]|| ||7||[[Bad Elixir#s-4|Bad Elixir]]||<:>{{{#696969 MXM}}}||<:>19||<:>2021-02-17[br]2021-04-14 ||<:>'''57'''||<:>[[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white VI 01}}}]]|| || ||8||[[冥(BEMANI 시리즈)|冥]][br]Rockin' SWING REMIX||<:>{{{#red EXH}}}||<:>16||<:>2012-03-12[br]2012-05-06||<:>'''56'''||<:>[[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3}}}]]|| || ||9||[[FLOWER(BEMANI 시리즈)|FLOWER]][br]REDALiCE Remix||<:>{{{#red EXH}}}||<:>16||<:>2012-03-28[br]2012-05-20||<:>'''54'''||<:>[[사운드 볼텍스 부스|{{{#white BOOTH 04}}}]]|| || ||10||[[Last Resort]]||<:>{{{#696969 MXM}}}||<:>19||<:>2018-02-22[br]2018-04-15||<:>'''53'''||<:>[[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white IV 38}}}]]||[[The 7th KAC]] 우수 당선곡[br][[ΩDimension]]|| }}} PUC가 미확인인 상태에서 10위권 내로 진입했을 경우 '''>경과일-1'''의 형태로 표기하며 PUC가 미확인인 패턴의 편집 당시 시점에서의 경과 기간과 PUC가 나온 패턴의 소요 일수가 일치할 경우 PUC가 확인된 패턴 쪽을 우선으로 둔다. 기록을 측정하기 이전의 BOOTH 및 II의 구 15레벨 이상 곡 및 특수 해금곡은 모두 조사 대상에 포함되었다. BOOTH 01 당시 최초 전곡 퍼펙자는 14일째(2012-01-31)에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난이도 인플레이션이 격해지는 환경 속에서도 여전히 부스 시절 기록이 이 자리에 남아있다. 부스 시절에는 유저 수가 적었고 게임이 아직 연구가 덜 되었던 시점이라 상대적으로 최상위권 곡 공략이 더디게 이루어졌기 때문. 이제는 20레벨 곡이라도 PUC가 하루는 커녕 몇 시간 만에 나올 정도로 유저들의 실력도 높아졌고 그걸 하는 유저들도 많아졌다. [[Lachryma《Re:Queen’M》]]의 수록 이후 [[FIN4LE ~終止線の彼方へ~]]의 PUC 달성까지 무려 '''889일'''만에 다시 전곡 PUC를 맞이하였다가 다시 [[Xronièr]]의 등장으로 전곡 PUC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었으나, 2019년 3월 1일 GGD가 [[Xronièr]]의 첫번째 PUC를 성공시켰으며, 이후 [[TENKAICHI ULTIMATE BOSSRUSH MEDLEY]]가 149일동안 PUC가 나오지 않다가 19년 8월 10일에 PUC가 보고되었다. 1년이 지난 2020년 8월 6일 [[Xroniàl Xéro]]의 등장으로 다시 전곡 PUC 상태에서 벗어났다가, 108일만에 MINI가 첫 번째 PUC를 보고하여 다시 전곡 PUC 상태에 진입했다. 익시드 기어에서는 [[Bad Elixir]]가 57일간 퍼펙트가 나오지 않다가 2021년 4월 14일에 달성되었고, 2년이 지난 2023년 3월 30일 [[SuddeИDeath]]가 수록되면서 전곡 PUC가 아닌 상태가 되었다가 31일 후 MINI에 의해 PUC가 나오며 다시 전곡 PUC 상태에 복구되었다. S-PUC같은 경우, 20레벨은 하나도 없고, 19레벨에서도 단 7개 채보만 보고되었다. S-PUC가 뚫린 19레벨 패턴 기록은 2022년 1월 8일 [[Daisycutter]] MXM, 2023년 4월 14일 [[大宇宙ステージ]] GRV, 2023년 7월 15일 [[LegenD.]], [[End to end]] XCD, [[BLACK or WHITE?]] GRV, 2023년 7월 30일 [[月光乱舞]] GRV, 2023년 9월 22일 [[Lisa-RICCIA]] MXM이다. == 최초 == * '''굵은 글씨'''는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기준으로 최초이자 유일한 기록이다. * ''이텔릭체''는 시스템이나 표기 난이도의 변경 등으로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기준 기록의 유효성이 사라졌음을 의미한다. * 패턴 관련 최초 기록의 경우 겉보기로도 정확하게 원리를 파악할 수 있는 기록만 기재한다. === 사운드 볼텍스 부스 === * [[冥(BEMANI 시리즈)|冥]] Rockin' SWING REMIX * ''난이도별 최고 레벨(15) 달성 (EXH)'' * 2000체인 달성 (EXH) * [[U&M]] - 하위 패턴이 상위 패턴보다 더 많은 체인수 달성 (NOV 431 > ADV 397)[* 이후 사례로 [[世界はネコのもの]](NOV > ADV), [[Tomato Leaf Breaks]](NOV > ADV), [[恋する☆宇宙戦争っ!!]] あばばばみっくす(EXH > INF), [[Find the Answer]](NOV > ADV), [[The setting sun]](NOV > ADV), [[CODE -CRiMSON-]](EXH > GRV), [[FLOWER(BEMANI 시리즈)/BEMANI 시리즈 수록#s-4.2|FLOWER]](EXH > HVN), [[Ghost Family Living In Graveyard]](EXH > MXM)가 있다.] * [[neu]] BSP style - 최초 변속곡 * [[君にエールを…!]] DJ UTO REMIX - 아티스트와 [[사볼 이펙터|이펙터]]가 동일 인물 * [[freaky freak]] - 0점 가능 (EXH)[* 노브가 전부 직각 노브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직각 노브 개수는 8개이다.] * [[GAMBOL]](dfk SLC rmx) - 자켓 4개[* 부스 난이도 체계는 NOV/ADV/EXH 3개 뿐이라 자켓의 수도 최대 3개까지만 있었다. 매우 빠른 속도로 난이도를 변경하면 숨겨진 4번째의 자켓이 나타나며, 이 자켓은 II에서 INF에 배당됐다.] * [[AA]] BlackY mix - ADV 레벨 12 달성 (ADV)[* 冥의 경우 가동 도중에 승격한 것이라 최초에 해당되지 않는다.] * [[Max Burning!!]] - NOV 레벨 7 달성 (NOV) * [[セツナトリップ]], [[croiX]] - 체인 수 변경 (EXH)[* 2012년 11월에서 2013년 3월 사이로 추정된다.] * [[春色ポートレート]] * '''난이도별 최저 레벨(4) 달성''' (ADV) * '''난이도별 최저 레벨(7) 달성 → 레벨에 의한 SAFE 보정을 받는 EXH 패턴''' (EXH) === 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 === * [[VALLIS-NERIA]] * [[POLICY BREAK|비마니 타 기종의 곡을 리믹스 없이 원곡 그대로 수록]] * 네메시스 회전 도중 칩 노트가 출현 (EXH) * [[つぶやき魔法少女りむる]] - 반회전 사용 (ADV) * [[ごりらがいるんだ]] - 난이도에 따라 다른 음원 사용 (INF) * [[Fairy dancing in lake|#Fairy_dancing_in_lake]] - 유지 노브가 아님에도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은 노브 등장 (EXH) * [[恋する☆宇宙戦争っ!!]] あばばばみっくす - 하위 패턴과 상위 패턴이 같은 레벨 달성 (EXH 14 = INF 14) * [[夢の空、約束の場所]] - 일본 외 거주자가 작곡 * [[Bangin' Burst]], [[For UltraPlayers]] * ''난이도별 최고 레벨(16) 달성 (EXH)'' * 난이도별 최고 레벨(13) 달성 (ADV) * [[Profession]] - BT와 FX가 전혀 나오지 않음 → (S-)PUC 아닌 UC 불가 (NOV)[* 칩 노트가 없어서 NEAR 판정이 나올 수 없기 때문. UC를 내려고 하면 무조건 PUC가 나오게 된다.] * [[冥(BEMANI 시리즈)|冥]] Rockin' SWING REMIX - 3000체인 달성 (INF) * [[Pure Evil]], [[Virtual Sunrise]] - 원곡과 리믹스 곡이 같이 수록됨[* 두 곡의 수록시점이 동일하므로 같이 등재. 원곡 수록후 리믹스 콘테스트를 통해 이 두곡의 리믹스곡이 수록되었다.] * [[ボルテ体操第一]] - ''최저 난이도와 최고 난이도를 동시에 달성 (NOV, EXH)''[* 구 레벨 판정 기준 NOV가 1레벨인 곡 중에서 EXH가 당시 최고 레벨이었던 15레벨 곡으로 유일. 16레벨이 뚫린 이후로도 NOV 1레벨곡들 중 EXH 15레벨 이상 난이도를 가진 곡으로는 유일했고, 결국 난이도 개편 전에는 모든 곡들 중 유일했다.] * [[KHAMEN BREAK]] * ''정규 패턴이 번외 패턴보다 높은 레벨 달성 (EXH 15 > INF 14)''[* IV에서는 둘 다 16을 받았다.] * 다른 곡의 음원이 매시업되는 이펙트 사용 (INF) * [[GAMBOL|GAMBOL (dfk SLC rmx)]] - ''번외 패턴이 배리어 트랙으로 선정''[*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에서 [[BLASTER GATE]] 해금법이 해당 패턴 1회 클리어/20회 플레이로 바뀌면서 배리어 트랙도 자연스레 사라졌다.]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 * [[西日暮里の踊り]] - '''전 패턴 난이도 조정''' * [[Iterator]] - 동일 패턴 2연속 난이도 조정 (ADV) * [[PANIC HOLIC]] - 노브와 상관없이 트랙이 기울어짐 (GRV) * [[KAC 2012 ULTIMATE MEDLEY -HISTORIA SOUND VOLTEX-]] - 기본 트랙 배경 이외의 레이어 연출 * [[Twin Rocket]] - 조작이 필요없는 일직선 노브 등장 (EXH) [* [[페어리댄싱|이전에도]] [[Booths of Fighters|조작이 필요없는 노브]]는 등장했으나, 노브가 처음부터 끝까지 '''일직선으로 나오는 경우'''는 이 곡이 처음. 여담으로 이 채보에는 전자와 후자의 경우가 모두 등장한다.] * [[信仰は儚き人間の為に ~ Arr.Demetori]] - [[TOXIC VIBRATION|버그로 인한 더미 채보 출현]] (INF) * [[freaky freak]] - 노브가 전혀 나오지 않음 (GRV) * [[FLOWER(BEMANI 시리즈)|FLOWER]] * 직각 노브 1회 조작으로 레인이 2바퀴 이상 회전하는 연출 사용[* ADV와 EXH에는 FX 롱노트가 같이 있다.] * 사볼 오리지널 이외의 곡 중에서 원곡과 리믹스곡이 같이 수록됨 * [[Lachryma《Re:Queen’M》]] * 최초의 20레벨 악곡 * 난이도별 최고 레벨(8) 달성 → 레벨에 의한 SAFE 보정을 받지 못하는 NOV 보면 (NOV) * 난이도마다 트랙 연출이 달라짐 * 일부 난이도에서 레인이 사라지는 연출 등장 (EXH/GRV) * KAC 결승전 전용 연출 존재[* UI창 소멸 효과][* 엄밀히 따지면 뱅잉 버스트와 포울플의 트랙도 KAC때와 통상이랑 다르지만, 이는 단순 트랙 배경 교체에 해당되니 열외] * '''번외 패턴 최고 레벨(20) 달성''' * [[팝픈뮤직 peace|다른]] [[DanceDanceRevolution A20|기종]]에 이식된 20레벨 악곡 * 20레벨 RANDOM PUC 달성[* 곡 공개 이후 '''2630일(약 7년)'''만에 달성] * [[For UltraPlayers]] - 사운드 볼텍스의 이펙트음을 씌운 상태로 아케이드 타 기종에 이식됨 (EXH)[* CS를 포함한다면 이 이전에 [[KHAMEN BREAK]]([[유비트 플러스]], [[리플렉 비트 플러스]])도 있지만, 이것이 아케이드에 수록되는 건 포울플보다 한참 후에 이루어졌다.] * [[Help me, ERINNNNNN!!#s-4.2|Help me, ERINNNNNN!! -SH Style-]](Help me, CODYYYYYY!!) - '''난이도에 따라 곡명이 변경'''[* [[ごりらがいるんだ]] INF는 부제만 더 붙은 것이므로 제외] (GRV) * [[She is my wife]] - 연동 이벤트를 거치지 않은 이식곡 * [[グレイスちゃんの超~絶!!グラビティ講座w]] * 기간 한정 수록곡 (매년 4월 1일에만 플레이 가능) * 정규 패턴이 존재하지 않음 * 해금 없이 곧바로 플레이할 수 있는 번외 패턴 * 번외 패턴 최저 레벨(1) 달성 * 비정상적인 트랙 연출 * [[サイバーサンダーサイダー]] - 저작권 만료로 인한 통상 수록곡 삭제 * [[Bangin' Burst]] - ''레벨 16이 배리어 트랙으로 선정'' * [[I'm so Happy#s-8.2|I'm so Happy(Happy Hoppin Remix)]] - 타 기종 원곡 수록 후 리믹스 곡 수록 * [[FLügeL《Λrp:ΣggyØ》]] * '''모든 난이도에서 레인이 사라지는 연출 등장''' * 양 노브 동시 손 교차를 요구하는 패턴 등장 * [[月光乱舞]] - 특정 난이도에만 다른 음원 사용 (GRV) * [[弾幕注意報2014]] - '''BPM 변화 범위가 1 미만'''[* 표기가 155-155라고 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중간에 변속이 미세하게 하나 있다. ([[http://www.nicovideo.jp/watch/sm31750375|니코동 검증 영상]],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이후로는 [[https://youtu.be/POGbyASvkAQ?t=139|영상처럼 BPM이 늘어난다는 표기까지 나온다.]]) 실 수치는 155.0-155.275. 표시가 안 되어 있는 소숫점 아래 BPM은 영상에서 알 수 있듯이 제법 존재하지만(영상에서의 예: [[VERSUS!!]], [[PUPA]]) 겉보기에 변속이 아예 없는 것처럼 보임에도 이런 표기를 쓰는 곡은 IV 시점에서도 이 곡이 유일.] * [[ANTI THE∞HOLiC]] - 작곡가와 일러스트레이터, 이펙터가 모두 동일인물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 * --[[선향불꽃(VOCALOID 오리지널 곡)|線香花火 SDVX edit]]-- - ''난이도별 최저 레벨(15) 달성 (GRV)''[* 곡이 삭제되어 의미가 없게 되었다.] * [[Fin.ArcDeaR]] - 난이도별 최고 레벨(14) 달성 (ADV) * [[infinite:youniverse]], [[Make Magic]], [[Immortal saga]], [[Fin.ArcDeaR]], [[HE4VEN ~天国へようこそ~]] - '''[[BLASTER GATE]]에서 해금해야되는 통상 패턴 (MXM)''' * [[iLLness LiLin]] - '''[[かねこちはる|특정 작곡가]]의 2연속 KAC 오리지널 콘테스트 최우수상 수상'''[* 2회 수상 자체는 [[Bangin' Burst]], [[*Feels Seasickness...*]]를 작곡한 [[かめりあ]]도 달성하였다. 그러나 2연속 수상은 かねこちはる가 유일하다.] * [[HE4VEN ~天国へようこそ~]] - 난이도별 최고 레벨(15) 달성 (ADV) * [[8 -eight-]] - [[POLICY BREAK]] 대상곡이 다른 형태의 해금으로 전환 * [[Doppelganger]] - 트랙 정지 연출 사용 * [[WHITEOUT]] - [[かねこちはる|특정 작곡가]]가 작곡한 20레벨 패턴을 가진 3번째 곡[* [[かめりあ]]가 [[* Erm, could it be a Spatiotemporal ShockWAVE Syndrome...?]]을, [[MisoilePunch♪]]가 [[Bl∞min']]을 투고하기 전까지는 유일했다.]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스킬 애널라이저#s-7|Skill Lv. 00]] [[BEMANI MASTER KOREA]] 2017 코스(코스명 '''BMK2017''') - 완주 칭호에 한자가 들어가지 않음 * [[TWO-TORIAL]] * 정규 채보의 트랙 뒤가 아닌 앞에서 연출[* 튜토리얼과 [[グレイスちゃんの超~絶!!グラビティ講座w|가짜 튜토리얼]]을 제외하면 출시 당시 정규 채보 중에서는 유일하다. Listen!, Go!, ONE MORE SET! 구간을 보면 문구가 트랙 뒤가 아닌, 트랙 앞에 연출이 되어있다. 이후 I의 암전 연출을 일종의 레이어 연출로 보면, 2018년 2월 11일 이후로는 유일하지는 않다.] * 사운드 볼텍스 오리지널 곡으로서 [[BEMANI 좋아요 랭킹]] 1위 달성 * [[BEAST BASS BOMB]] - 인게임 수록 후 음원 변경 * [[I(BEMANI 시리즈)#s-2|I]] - 플레이 도중 암전 연출 * [[業焔繚乱]], [[スピーカーガール!]], [[Royal Judgement]]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에 동시 업데이트 * 가동 중인 시리즈 이전의 번외 난이도(GRV)로 업데이트[* 가정판은 3시즌이기 때문에 MXM이나 HVN이 아닌 GRV로 나왔다.] * [[Nexta]]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 전용곡을 아케이드로 이식* * 가동 중인 시리즈 이전의 번외 난이도(GRV)가 블래스터 게이트에 출현 * [[Made In Love]] * BPM과 연동되지 않는 지속 오브젝트 틱 스피드 *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최우수 당선곡의 후속곡임에도 불구하고 MXM 17레벨''' * [[Xronièr]] * ADV 난이도에서 최초로 노브 손 교차를 요구하는 패턴 등장 *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우수 당선곡의 후속곡임에도 불구하고 MXM 20레벨''' * 풀버전 음원이 존재하는 20레벨 악곡 * [[*Feels Seasickness...*]] - '''난이도에 따라 다른 BPM 변화'''[* EXH 난이도와 MXM 난이도의 변속 횟수는 총 28회인데 비해, ADV 난이도의 변속 횟수는 총 24회이고, NOV 난이도의 변속 횟수는 총 20회이다.] * [[V(BEMANI 시리즈)|V]] - [[클래식 리믹스]] 수록 * [[マキシマ先生の満開!!ヘヴンリー講座♥]] - 양 노브와 버튼을 동시에 조작하는 패턴 등장 ===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 * [[夏色DIARY]] -Summer Dazzlin' Vacation miX- - '''정규 채보가 번외 채보보다 높은 난이도 달성''' (20레벨제 개편 이후) * [[50th Memorial Songs -Beginning Story-#s-8]]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이후의 수록곡이지만 MXM 난이도가 존재하지 않음[* 대신 VVD 난이도가 존재한다.] * 동일 채보에 대해 아케이드와 코나스테 버전의 난이도명 표기가 다름[* 아케이드의 VVD 채보 = 코나스테의 GRV 채보] * [[おーとめーしょんぱらだいす]] * '''작곡가가 공란''' * 이펙터가 공란 * '''플레이할 때마다 음원이 달라짐'''[* 총 4가지이며, 노래 길이와 체인수도 역시 각자 다르다.] * 4000체인 달성 * 5000체인 달성 * [[Dogeza Stairs]] - '''정식 채보에서 양 노브와 버튼을 동시에 조작하는 패턴 등장''' * [[Teufel]] - 트랙이 기울어진 채로 게임 시작 * [[* Erm, could it be a Spatiotemporal ShockWAVE Syndrome...?]] - [[SKILL ANALYZER]]에 포함되지 않은 20레벨 패턴 * [[666(BEMANI 시리즈)|666]] * 배경에 Live 2D 사용 * 레인이 반으로 갈라지는 연출 등장 * 정식 채보 4000체인 달성(MXM) * 모든 난이도(NOV, ADV, EXH, MXM)에서 각 난이도별 최다 체인 수 갱신 * '''[[BEMANI 좋아요 랭킹]]에서 1위를 달성한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KAC]] 사운드 볼텍스 결승곡''' * [[VVelcome!!]] -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우수 당선곡임에도 불구하고 MXM 20레벨''' * [[MAYHEM(BEMANI 시리즈)|MAYHEM]] - '''정식 채보 5000체인 달성(MXM)''' ===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 * 최장 기간 가동 (발키리 모델 선행가동 기준 >2년 7개월) * [[\#Namescapes]] * '''곡명, 아티스트 명의, 일러스트 명의, 이펙트 명의가 모두 동일''' * [[エクシード仮面ちゃんのちょっと一線をえくしーどしたEXCEED講座]] * 설정과 관계 없이 게임 중 콘솔 네메시스를 강제로 변경하는 연출 * [[《Re:miniscence》]] * 20레벨 패턴을 가진 KAC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와 관련이 없는 곡 * 20레벨 패턴을 가진 기간 한정 해금곡 * '''20레벨 패턴을 가진 코나스테 오리지널 곡''' * '''[[かねこちはる|특정 작곡가]]가 작곡한 20레벨 패턴을 가진 4번째 곡''' * [[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 * 노브와 롱노트 없이 칩 노트만 나오는 패턴(MXM)[* 이는 곧 [[https://twitter.com/sdmseven/status/1528373002228088837?t=KCWF-0a4S_K1uidWKp_8CA&s=19|5000000점 UC가 가능]]하다는 소리다.] * 정규 채보 중 이펙터 공란(MXM) * [[Daisycutter]] * 19레벨 S-PUC * [[XHRONOXAPSULΞ]] * 흑백 화면 필터 연출[* [[I(BEMANI 시리즈)#s-2|I]]의 암전연출과는 다르다.] * '''20레벨 패턴을 가진 비마니 시리즈 데뷔곡'''[* [[Silentroom]]은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에 BMS 악곡으로 이식된 [[Nhelv]]를 제외하면 이전까지 비마니 시리즈에 악곡을 제공한 적이 없다.] * [[MixxioN]] * '''화면이 실시간으로 파괴되는 연출''' * '''KAC 결승전 중계화면과 연동된 연출''' * [[ハレ トキドキ メランコリック]] * '''인게임 수록 후 작곡가 명의 변경''' * [[ピアノ独奏無言歌 "灰燼"]] * '''정규 채보 중 모든 난이도에 이펙터 없음''' * '''전 난이도에서 노브와 롱노트 없이 칩 노트만 나오는 곡''' * [[Invitation from Mr.C]] * '''두 난이도의 체인 수가 동일한 곡(EXH, XCD)''' * [[Bonetrousle]], [[Spear of Justice]], [[Death by Glamour]], [[Finale(언더테일)|Finale]], [[ASGORE]] * 게이지 이외에 플레이어 조작에 따라 변경되는 배경 연출 * [[You Are My Best RivaL!!]] * '''외주 대회[* [[레드불|Red Bull]] 5G 2022]에서 공개된 20레벨 패턴''' * [[굿바이 선언|グッバイ宣言]] * '''트랙이 기울어진 채로 게임 종료(MXM)''' * [[veRtrageS]] * '''번외 패턴 전용 연출 존재(XCD)''' * [[D.I.X.]] * '''최고 BPM 1000 이상 달성''' * [[APØCALYPSE RAY]] * '''BPM 표시와 상관 없이 레인 스피드 변화(MXM)''' ##바로 아래서 서술하는 부분에서 레인스피드'''만''' 99.99에서 0.00으로 급감속 및 원래 레인 스피드로 복귀 * '''레인 스피드 0.00 구간 존재(MXM)'''[* 레인 스피드가 순간적으로 0으로 표시되므로 정지 기믹과 다르다.] * [[HeaveИ's Rain]] * '''UI 뒤가 아닌 앞에서 연출''' * '''곡 로딩 화면과 매칭 화면에서 연출 존재''' *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최우수 당선곡의 2번째 후속곡''' == 개근 == 인피니트 인펙션에서 [[스킬 애널라이저]] 출시 이후 시리즈 내 스킬 애널라이저 코스중 하나에 반드시 출현한 곡들이다. 사운드볼텍스의 스킬 애널라이저의 코스 특성상 현행 버전에 출현이 확인되었을 경우 굵게 강조하며, 아직 확인이 되지 않았더라도 차기작이 되기 전까진 유지한다. * '''[[.59 -BOOTH BOOST REMIX-]] - EXH 채보, LV.05''' * '''[[孤独の番人]] - EXH 채보, LV.08''' * '''[[Booths of Fighters]] - EXH 채보, LV.10''' * [[Quietus Ray]] - EXH 채보, LV.10 == 관련 문서 == * [[유비트 시리즈/기네스]] * [[리플렉 비트 시리즈/기네스]] * [[팝픈뮤직/기네스]] * [[beatmania IIDX/기네스]] [[분류:사운드 볼텍스]][[분류:기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