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UCR 선정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 ---- ||<-2>{{{#!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soundgardon_logo.png|height=60]] ||{{{#D22027 '''{{{+1 사운드가든}}}'''[br]{{{-2 Soundgarden}}}}}}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사운드가든|[[파일:Flashback to January 25, 1990_ Voivod join Soundgarden at The___.jpg|width=100%]]]]}}}|| |||| {{{-1 ▲왼쪽부터 벤 셰퍼드, 맷 캐머런, 크리스 코넬, 킴 타일}}} ||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3> '''결성''' || ||[[1984년]] ||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 || ||<|2> '''데뷔''' ||[[1987년]] [[6월 1일]] || ||데뷔 싱글 Hunted Down || || '''데뷔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m" '''[[Ultramega OK|{{{#FFFEE9 Ultramega}}} {{{#B6540D OK}}}]]'''}}} || || '''해체''' ||[[1997년]], [[2019년]] || || ''' 재결성''' ||[[2010년]] || ||<|5> '''멤버''' || ||[[크리스 코넬]]† ^^([[보컬]])^^ || ||벤 셰퍼드 ^^([[베이스 기타]])^^ || ||맷 캐머런 ^^([[드럼]])^^ || ||킴 타일 ^^([[기타]])^^ || || '''전 멤버''' ||히로 야마모토 ^^([[베이스 기타]])^^[br]제이슨 에버만 ^^([[베이스 기타]])^^[br]스콧 선드퀴스트 ^^([[드럼]])^^ || || '''장르''' ||[[그런지]], [[얼터너티브 메탈]] || || '''레이블''' ||[[파일:sub_pop.png|width=43]] · SST · A&M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인터스코프 레코드|[[파일:인터스코프 로고.svg|width=25]]]]}}} · Seven Four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유니버설 뮤직 그룹#리퍼블릭 레코드 (Republic Records)|[[파일:리퍼블릭 레코드 로고.svg|width=55]]]]}}} ·Vertigo || ||<|2> '''링크''' ||[[https://soundgardenworld.com/| [[파일:soundgardon_logo.png|width=60]]]] || ||[[https://www.instagram.com/soundgarden/?hl=k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1]]]]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oundgarden, 크기=24)] | [[https://www.facebook.com/Soundgarde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youtube.com/Soundgarde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undgarden.jpg|width=100%]]}}} || 미국 [[시애틀]]출신의 [[하드 록]] 밴드. [[너바나]], [[앨리스 인 체인스]], [[펄 잼]] 등과 함께 90년대 시애틀 [[그런지]]의 선두에 있었던 밴드로 평가되나, 결국은 시애틀이라는 테두리로 묶여있을 뿐 그런지와는 관계도 없고 심지어 펑크와도 서로 별 음악적 관련성은 없다. 사운드가든을 두고 혹자는 헤비메탈을 싫어하는 이들을 위한 헤비메탈 밴드라고 평했을 정도.[* 이후에 나타난 밴드들도 마찬가지다. 차라리 당시 등장한 다양한 장르의 [[록밴드]]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감성을 묶어서 그런지라 표현한 것일 뿐이라고 보는 것이 더 옳다.] 사운드가든은 정확하게 [[앨리스 인 체인스]]처럼 정통 헤비메탈이 아니라 얼터너티브 메탈이고, [[레드 제플린]]과 [[블랙 사바스(밴드)|블랙 사바스]]같은 70년대 메탈과 미국 언더그라운드의 [[펑크 록]]에 영향받고, 거기에 [[사이키델릭 록]]이 더해 기존의 메탈과 다른 독자적인 사운드를 보여주었다.[* 크리스 코넬과 맷 캐머런은 펄 잼 멤버들과 같이 Temple of the Dog이라는 밴드를 만들어서 활동하기도 했다.] == 바이오그래피 == 나이로 치면 1984년에 결성한 제법 고참 밴드이자 '''시애틀 출신 밴드로서는 최초로 메이저 레이블과 계약한 밴드'''이지만 90년대 초에 너바나가 떠서 그런지 밴드들의 전성기가 올때까지는 무명 밴드로서 활동을 이어나갔다. [[파일:gettyimages-685588878.jpg]] 사진은 리드 보컬/리듬 기타 [[크리스 코넬]].[* 오디오슬레이브의 프론트맨으로도 활동했던 그 사람 맞다. 원래는 드러머로 시작했다. 심지어 코넬이 드럼 치면서 노래 부르다가 힘들어서 보컬로 포지션을 완전히 변경하려 하자 멤버들이 말렸을 정도로 드럼 연주 실력도 좋다고 한다. 보컬을 맡으면서 기타도 연주하고 작곡도 하기 시작한다.] 1986년 맷 캐머런(Matt Cameron)이 드러머로 합류했다.[* 특유의 엇박자 그루브가 유명한 드러머로 사운드가든 해체 후에는 [[펄 잼]]에서 활동한다. [[스매싱 펌킨스]]의 드러머 지미 챔벌레인과 절친한 친구여서 지미의 추천으로 같은 회사의 5B 사이즈 드럼스틱을 사용하기도 하고 멧의 추천으로 지미는 데뷔 이래부터 쭉 드럼 엔도저였던 야마하에서 DW드럼으로 바꾸었다.] 1990년 베이시스트가 벤 셰퍼드(Ben Shepherd)로 교체되었다.[* 묵직한 사운드에 파워풀한 연주로 이상적인 그런지 베이시스트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벤 셰퍼드의 가장 눈에 띠는 특징은 무릎까지 내려올 정도로 스트랩을 길게 늘어트린채로 연주하는 모습이다. 어찌나 늘어트렸는지 연주가 가능한게 신기할정도...] 1997년에 음악적 견해의 차이 등으로 인해서 해산하였다. 프론트맨이었던 크리스 코넬은 구 [[RATM]] 멤버들과 함께 [[오디오슬레이브]]로 활동하기도 했지만 아무튼 사운드가든은 그냥저냥 과거의 레전드로 잊혀져가는가 했는데... '''2010년, 드디어 12년만에 사운드가든이 재결성되었다!''' 신보도 나왔지만 예전 곡들을 컴필레이션한 앨범이라 조금 김이 새는 감도 있는 듯. 2012년 4월 개봉했던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에 마지막 엔딩타이틀 Live to Rise로 참여했다. 2012년 12월 신곡들로 채워진 새 앨범 King Animal을 발매했다. 60~70년대의 유명한 락 밴드들이 롤링 스톤즈를 제외하면 멤버간 불화와 약물 문제로 무너져내리고 한동안 또는 영원히 회복하지 못했던 것과는 달리, 90년대 초반을 지배하던 이른바 시애틀 그런지 밴드들은 같은 문제를 겪고 나서도 20년이 채 지나기 전에 전부 제자리로 돌아왔다고 할 수 있다. 커트 코베인이 떠나간 후 돌이킬 수 없었던, 너바나 대신 푸 파이터즈가 성공했던 건 논외로 하더라도. 하지만 크리스 코넬이 코베인의 뒤를 따라가면서 이제 사운드가든도 영원히 완전체가 될 수 없는 그룹이 되었다. == 디스코그래피 == * Ultramega OK (1988년) * Louder Than Love(1989년) 이 앨범에 수록된 Big Dumb Sex는 [[건즈 앤 로지스|Guns N' Roses]]가 커버 앨범 The Spaghetti Incident? 에서 커버하기도 했다. 코러스 가사가 'I Know What to Do. I Wanna Fuck Fuck Fuck Fuck You'로 유명하다(...). * Badmotorfinger(1991년) 4집의 초대박에 묻힌 감이 있지만 상업적으로나 음악적으로나 크게 성공한 그런지 명반. 이 때부터 사운드가든은 얼터너티브 신의 대표주자 중 한명이 된다. 롤링 스톤은 그런지 명반 50선에 이 앨범을 2위로 선정하기도 했다. * [[Superunknown]](1994년) 자타 공인 사운드가든 커리어의 정점을 찍은 앨범. 거칠고 달리는 음악 스타일에 세련됨을 더하면서(크리스 코넬의 헤어스타일도 장발에서 짧은 머리로 정돈) 소위 '명인 삘'이 나는 음악 스타일을 확립했다. [[그래미 어워드]] Best Rock Album 후보에 올랐으며 수록곡인 Spoonman은 Best Metal Performance, Black Hole Sun은 Best Hard Rock Performance를 수상했다. (1995년 수상) * Down on the Upside(1996년) * King Animal(2012년) 16년만에 새로운 정규앨범이 발매되어 빌보드 5위에 까지 올랐다. == 미디어 == * [[Black Hole Sun]] [youtube(3mbBbFH9fAg)] == 외부 링크 == [[http://www.soundgardenworld.com|공식사이트]] [[http://www.facebook.com/Soundgarden|공식 페이스북]] [[http://twitter.com/soundgarden|공식 트위터]] [[분류:사운드가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