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러시아제 소총, rd1=Saiga, other2=이 소총을 기반으로 한 탄창식 샷건, rd2=Saiga-12)] [목차] == [[영양(동물)|영양]]의 일종인 큰코영양 == ||<-2> '''{{{#white {{{+1 사이가영양}}}(큰코영양)[br]Saiga antelop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ongolia_Saiga_tatarica.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Saiga tatarica'' '''[br]([[Linnaeus]], 1766)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경우제류|경우제목]](Cetartiodactyl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소과(Bov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사이가영양속(''Saiga'')||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사이가영양'''(''S. tatarica'')||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급.svg|width=240px]]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iga.jpg|width=500]] [clearfix] 유라시아 북부에 서식하는 영양의 일종. [[플라이스토세]]에 나타나 현재까지 서식하는 영양이다. 다른 영양과는 달리 [[맥(동물)|맥]]을 연상케 하는 크고 긴 코가 특징적이다. 이 코는 몸에 들어가는 찬 공기를 데워주는 역할을 한다. 유럽인이나 [[네안데르탈인]]의 코가 다른 인종에 비해 큰 것과 비슷한 이유. 그래서 우리말로 큰코영양이라고도 부른다. 성질은 내성적이고 신경질적이지만, 질주력이 빨라 시속 60㎞ 정도로 달린다. 18세기까지만 해도 [[스텝(지리)|스텝]] 전역에 서식했으나, 초원 지역에 총기가 확산되면서 숫자가 줄기 시작하여 1930년대 초에는 수백 마리 수준까지 줄어들었으나, 구소련 시기 엄중하게 보호하면서 1960~70년대에는 250만 마리까지 늘어났었다. 하지만 구소련 붕괴 이후 보호조치가 허술해진데다, [[서각]]을 약으로 쓰던 중국인들이 [[코뿔소]]가 줄자 이 동물의 뿔을 대용으로 쓰게 되면서 다시 줄었다. --과연 그 다음은 어느 동물이 될까...-- 2021년 현재는 [[카자흐스탄]]에만 842,000마리가 서식하고 있을 정도로 숫자가 다시 회복되었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아시아 왕조에서 사냥 가능한 야생동물으로 추가되었으며, 히말라야에서 야생동물로도 나오며 중국의 큰코영양 카드로만 받아 토루 하나당 큰코영양을 4마리씩 받을 수 있다. 토루가 많을수록 유리하니 토루를 최대로 짓고 카드를 받자! == 일본의 성씨 == 2016년 3월 기준으로 일본 전역에서 雑賀의 경우는 840여 명 정도가 사용 중인 일본의 성씨다. === 실존 인물 === * [[사이가 미츠키]] - 일본의 성우 3국내보유현황 한국에서는 과거 서울대공원 개장초기에 사육중이었던 사이가는 세월이 흐르면서 어느날 갑자기 병에 걸려서 동물병원에서 치료를 하다가 회복을 하지도 못하고 안타깝게도 평균수명을 못채우고 결국엔 오래전에 단명으로 폐사하면서 국내에서는 아쉽게도 소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