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이버(유희왕))] [목차] == 설명 == === 원작 === || 한글판 명칭 ||<-4>'''사이버 다이너소어'''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サイバー・ダイナソー'''|| || 영어판 명칭 ||<-4>'''Cyber Dinosau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불명 || [[공룡족]] || 2500 || 1900 || ||<-5>상대 필드 위에 수비 표시 몬스터밖에 존재하지 않을 때, 제물을 1장 바쳐 상대 플레이어를 직접 공격할 수 있다.|| [[유희왕 GX(코믹스)|유희왕 GX 코믹스판]] 1화에서 교생실습생 류가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직접 공격 효과는 배틀 페이즈에도 릴리스해서 발동할 수 있었으며, 종족도 기계족이 아닌 공룡족이었다. 작중에서는 [[돈 터틀]]을 [[진화약(유희왕)#초진화약|초진화약]]으로 릴리스해 특수 소환되었으며, 쥬다이의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을 전투로 파괴해 큰 데미지를 주었다. 이후 쥬다이의 필드에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만 수비 표시로 남자 [[하이퍼 해머헤드]]를 제물로 바쳐 직접 공격하며 궁지로 몰았다. 그리고 다음 턴에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을 공격했으나, 쥬다이의 함정 카드 '유해의 늪'에 의해 공격력이 반감되고 또다른 함정 카드 '어나더 퓨전'에 의해 융합 소환된 [[엘리멘틀 히어로 디 어스]]에게 반격당하며 파괴되었다. 디자인 컨셉은 [[블랙 티라노]]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블랙 티라노와 이 카드는 레벨도 같고, 블랙 티라노의 공격력에서 100을 떼서 수비력에 붙이면 이 카드의 능력치가 된다. 실제로 이 카드는 당시 잡지 소개에서 "암흑 공수"라고 쓰는 블랙 티라노와 비슷하게 "전자 공수"라고 불리기도 했다.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96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사이버 다이너소어, 일어판명칭=サイバー・ダイナソー, 영어판명칭=Cyber Dinosaur, 몬스터=, 효과=, 레벨=7,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2500, 수비력=1900, 효과1=상대가 패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때\,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중국어 간체자판 번역 텍스트 >원문 | ①:对手从手牌将怪兽特殊召唤时可以发动。从手牌中将此卡特殊召唤。 >번역 | ①: 상대가 패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자신을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패 트랩|패 유발]] 형식의 [[유발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패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경우는 굉장히 많고, 따라서 이 카드가 특수 소환을 못 하고 패에서 썩을 일은 드물다. 2500이라는 공격력은 어쨌든 [[스타더스트 드래곤]] 정도의 몬스터의 공격은 일단 차단할 수 있다. 레벨이 7이기 때문에 레벨 1 튜너를 불러 [[싱크로 소환]]으로 연결하거나 랭크 7 [[엑시즈 소환]]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한 장점이다. 필드 위에선 효과가 의미 없으므로 [[스킬 드레인]]과도 궁합은 좋다. 마침 스드덱 두 번째 에이스인 [[가변기수 간나드래곤]]과 레벨도 같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빛 속성에 기계족인 만큼 조금만 방심하면 언제든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나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로 순식간에 공격력이 늘어날 수 있다. 그러나 드물다고는 해도 정말 패에서 썩게 될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이 카드는 모든 특수 소환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패에서 특수 소환되는 경우에만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크 싱크론]]을 일반 소환해 묘지에서 [[도플 워리어]]를 특수 소환하고, 그대로 싱크로 소환을 한 뒤 도플 워리어 효과로 토큰까지 특수 소환하면 특수 소환은 세 차례나 있었지만 어디까지나 묘지, 엑스트라 덱, 몬스터 효과에 의한 토큰 소환이기 때문에 이 카드는 절대로 패에서 나올 수 없다(…). 그리고 기껏 나와서 금방 터지기도 쉽다. [[카오스 소서러(유희왕)|카오스 소서러]]라면 효과로 제외할 수 있고, 개벽이나 [[다크 암드 드래곤]]도 효과로 없에거나 공격력으로 밀어버릴 수 있다. 하지만 효과를 사용한다면 그 턴 공격 불가나 파괴 횟수 상실을 감수해야 하고, 공격하자니 속성과 종족 때문에 역공을 당할 수 있어 고민을 하게 만들 수는 있다. 사실 특수 소환이 쉬운 녀석이 효과 내성까지 있는 경우는 없다. 링크를 필두로 엑스트라 덱 몬스터만으로도 대부분의 전개가 가능한 환경에서, 발동이 수동적인 것에 더해 굳이 '패'라는 조건을 달아놓고 부가효과도 따로 없는 이런 카드를 채용할 일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 카드의 등장 당시 V점프에서는 이 카드를 안티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카드라고 소개했다. 하지만 사이버 드래곤 덱 유저를 상대로 이 카드를 꺼냈다가는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에 먹혔었기에 실제로는 안티 카드로서 영 좋지 못했다(…). 이 카드가 최초로 등장한 '얼티밋 세븐 팩'에서는 이 카드처럼 각기 다른 상황에서 특수 소환이 가능한 레벨 7 몬스터들이 등장했다. 다른 몬스터로는 [[퍼핏 킹]], [[용의 기사(유희왕)|용의 기사]], [[젠타 레티큘렌트]]가 있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리미엄 팩]] Vol.4 || PP04-KR010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SD26-KR009 || [[노멀]] || 한국 || || || [[리미티드 에디션|얼티밋 세븐 팩]] || LE09-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br]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기광룡 습뢰]]- || SD26-JP009 || [[노멀]] || 일본 || || || Shonen Jump Promotional Card[br](2008년 5월) || JUMP-EN024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br]절판 || || Collectible Tin 2010 Wave 1 || CT07-EN008 || [[슈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Cyber Dragon Revolution]] || SDCR-EN009 || [[노멀]] || 미국 || || == 관련 카드 == === 효과 관련 카드 === ==== [[팬텀 드래곤]] ==== ==== [[드래곤 아이스]] ==== ==== [[카오스 헌터]] ==== === 기타 관련 카드 === ==== [[블랙 티라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