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파일:サイバー・ドラゴン・ドライ.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사이버 드래곤 드라이, 일어판 명칭=サイバー・ドラゴン・ドライ, 영어판 명칭=Cyber Dragon Drei, 레벨=4,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1800, 수비력=800, 효과1=①: 이 카드의 카드명은\, 필드 / 묘지에 존재하는 한 "사이버 드래곤"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사이버 드래곤"의 레벨을 5로 한다.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기계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자신 필드의 "사이버 드래곤"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몬스터는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사이버 드래곤의 대용품 제3호. 이름의 드라이(Drei)는 [[독일어]]로 [[3]]을 뜻하며, 대놓고 [[사이버 드래곤 츠바이]]의 뒤를 잇는 카드임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1번 효과는 필드 / 묘지에서 사이버 드래곤으로 취급되는 효과. 2번 효과는 대놓고 [[사이버 드래곤 노바]]를 엑시즈 소환하기 위한 효과. 즉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가 비어 있다면 [[사이버 드래곤]]을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 사이버 드래곤 드라이를 일반 소환, 사이버 드래곤 드라이의 효과 발동으로 사이버 드래곤 노바-[[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를 꺼낼 수 있다. 또한 체인을 통해 사이버 드래곤 드라이를 꺼낸 후, [[사이버 드래곤 퓌어]]의 효과로 체인해서 퓌어를 꺼낸 후 5레벨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효과로 [[No.61 볼카사우루스]] 등의 깡패를 꺼내는 걸 막기 위해,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엔 기계족 외엔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다는 제약이 있다. 또 '''발동하는'''이란 텍스트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맹세 효과라 그 턴에 이미 기계족 이외의 몬스터를 꺼냈다면 이 효과를 발동할 수조차 없다. 일단 사이버 드래곤 노바 이외의 랭크 5 기계족 엑시즈 몬스터는 [[No.33 오파츠 마추 마크]], [[발조장공 태엽오]], [[중기왕 드보크 자크]], [[초량|초량기수 매그너 라이거]]인데, 넷 다 효과가 나쁘진 않지만 사이버 드래곤 노바 대신 부르기엔 좀 아쉬운 구석이 있는 카드들이다. 그러므로 사실상 사이버 드래곤 노바-[[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하나에 올인하는 카드라고 봐야 한다. 3번 효과는 제외됐을 경우 그 턴에만 사이버 드래곤에게 완전 파괴 내성을 주는 효과. 다만, [[사이버 드래곤 코어]]처럼 "사이버 드래곤" 몬스터가 아니라 그냥 "사이버 드래곤"만을 지정하고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사이버 드래곤 노바]]나 다른 사이버 드래곤 융합체 계열에게 효과를 주는 게 불가능하다. 다만 필드 / 묘지에 있을 땐 "사이버 드래곤"으로 취급되는 [[사이버 드래곤 지거]]에겐 파괴 내성을 줄 수 있다. 사이버 드래곤과 그 대용품들은 대개 이런저런 소재로 이미 쓰이는 경우가 많고, 사이버 드래곤 본체가 먼저 제외 카드를 맞아 버린다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자체 성능은 별로 안 좋다. 사이버 드래곤 대용품으로서의 우선도를 놓고 보자면, 능력치는 낮아도 덱 회전력을 높여주는 우수한 효과를 지닌 [[사이버 드래곤 코어]]보단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일반 소환 시 서치 효과와 묘지에 있을 때 덱에서 사이버 드래곤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코어에 비해 이 카드는 일반 소환 시 사이버 드래곤의 레벨을 조정하는 효과 빼곤 효과가 없는 거나 다름없기 때문. 그래도 기존의 [[사이버 드래곤 츠바이]]와 비교하면 나중에 나온 카드인 만큼 이 카드의 기능이 더 다양하고 쓰기 편하다. 공격시에만 1800이 되는 사이버 드래곤 츠바이와 달리 원래 공격력이 1800이라 상대 턴에 조금이라도 더 버티기 쉽고, 츠바이의 사이버 드래곤 대체 효과는 이 카드도 똑같이 갖고 있으며 패의 마법 카드를 보여줄 필요도 없는 데다, 제한적이지만 파괴 내성 부여 효과도 있고, [[사이버 드래곤 노바]] 소환에는 훨씬 좋다. 사이버 드래곤 넥스테아와 사이버 드래곤 헤르츠가 등장한 이후엔 그 둘에게 채용이 밀리는 편. 사실 드라이는 코어와의 일반 소환권 충돌 문제로 인해 사이버 드래곤 유저들의 불만이 은근 많은 카드였다. 이후 등장한 사이버 드래곤 대용품과 비교해서 벌어주는 어드밴티지가 전무하여 빠지게 된 것. 공격력이 대용품 치고는 높은 편이지만 오히려 [[기계 복제술]]에 대응하지 않아 채용할 가치가 더 떨어졌다. 참고로 이 카드의 머리는 오른쪽이 아니라 왼쪽에 있다. 많은 사람이 머리라고 착각하는 오른쪽 부분은 등 부분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SD26-KR00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 || DP20-KR020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機光竜襲雷]]- || SD26-JP002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3- || DP20-JP020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Cyber Dragon Revolution]] || SDCR-EN002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Legendary Dragon Decks || LEDD-ENB03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Duelists: White Dragon Abyss || LED3-EN020 || [[노멀]] || 미국 || || [[분류:유희왕/OCG/기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