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사이토크롬]]의 일종으로 고등식물, 녹조, 규조, 홍조, 시아노박테리아 등의 산소발생형 광합성 생물의 엽록체 내 단백질 복합체 [[광계 II]]의 반응중심 단백질 서브유닛 D2단백질 부근에 있는 [[사이토크롬]] 단백질 복합체다. 이름은 559 nm의 흡수 스펙트럼을 가진 b형 사이토크롬이라는 뜻이다.''psbE'', ''psbF'' 유전자로 코드 되어있다. 1951년 R. Hill 연구그룹에 의해 식물의 잎 추출액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David B. Knaff 연구그룹에 의해 식물 세포 중 [[엽록체]] 안에 있는 단백질 복합체 [[광계 II]]과 관계가 있으며 저온에서 광산화 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을 밝혔다. 이후 William R. Widger 연구그룹에 의해 시금치 [[틸라코이드막]]에서 정제하는 방법이 확립되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광계 II]] 안에서의 정확한 구조에 대해서는 [[광계 II]]자체가 거대하고 불안정한 단백질이었기 때문에 X선 결정 구조 해석이 이루어지기 어려워, [[EPR]] 스펙트럼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호열성 시아노박테리아를 이용한 [[광계 II]]의 정제와 결정화가 성공한 뒤 2003년 3.8 Å 해상도의 결정 구조가 밝혀진 이후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있게 되었다. == 산화환원 특성 == 생물과 샘플, 그 처리 방법에 따라 산화환원 포텐셜이 다르나[* 망간 클러스터의 유무에 따라서도 변할 정도로 민감하다.], 하이 포텐셜, 인터미디어트 포텐셜, 로우 포텐셜 세 상태를 가지고 있다. 하이 포텐셜의 경우 약 +400 mV, 인터미디어트 포텐셜의 경우 약 +280 mV, 로우 포텐셜의 경우 -150 - 0 mV의 값을 나타낸다. == 기능 == 사이토크롬 b559은 황화 수소를 황과 수소로 분해하는 [[홍색 유황 세균]]에는 없는, 산소발생형 광합성 생물만의 독특한 단백질 복합체이다. == 그 외 == 아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갱신될 수 있다. [[분류:생리학]][[분류:광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