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사천 선진리 신라비3.jpg]] [[파일:사천 선진리 신라비5.jpg]] [[https://blog.naver.com/zopp/220711609000|사진 출처]] [목차] == 개요 == 泗川船津里新羅碑. 8세기 경, [[통일신라]] 당시 사천 지역에서 만들어진 [[불교]] [[비석]]. 현재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사천 선진리 신라비2.jpg]] [[https://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406291844541&code=960201|사진 출처 : 경향신문 - ‘國王’ 명문 통일신라 비석 발굴]] 앞면의 크기 760mm×240mm, 뒷면 760mm×180~230mm, 두께 180mm. 2004년 6월 29일에 경남문화재연구원(원장 박동백)가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선진리 선진리성에서 주차장 부지 발굴조사를 벌이던 중 발견한 [[통일신라]] 시대의 비석으로, 출토 당시 이 신라비에는 앞뒤 면에 모두 46자의 글자가 새겨져 있었으며, 원래 비석의 1/4정도가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파일:사천 선진리 신라비1.jpg]]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01&aid=0000692759|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경남 사천 신라비 혜공왕 이름]] 남아있는 신라비의 앞면에는 (1열)경득나마□□□(更得乃末□□□)…/ (2열)국주천운대왕상대등□(國主天雲大王上大等□)…/ (3열)신술시주총관소간(神述時州總官蘇干)…이라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1열)향도상요언대덕현령(香徒上了言大德縣令)…/ (2열)나마체진상촌주파(乃末體眞上村主)…/ (3열)□□□□…이라 음각되어 있다. 비문에 새겨져 있는 글자에는 [[신라]]의 관등명(官等名)과 인명(人名)이 나오고 있는데, 특히, 이 비에는 제36대 [[혜공왕]](惠恭王, 재위 765~780년)의 생전 이름인 ‘천운(天雲)’과 신라 제38대 [[원성왕]](元聖王, 재위 785~798년)의 장인의 이름인 ‘신술(神述)’이 나오고 있다. 이들의 존재로 인해, 이 비의 제작 시기가 통일신라 혜공왕 대 전후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비문 가운데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의 문헌기록에서 그 존재가 명확히 확인되는 이름 외에 ‘향도’, ‘대덕(大德)’ 등 [[불교]]와 관련 있는 용어들이 확인되고 있어 관심을 끌었는데, 법력이 높은 고승을 뜻하는 ‘대덕’은 현재도 쓰이는 용어이나, 비문에서는 특정 승직을 의미할 수도 있다고 조사단은 분석했다. 또한 비문에는 총관(總官)이라는 관직이 나오는데 총관은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문무왕]] 원년(661년)에 사용되어 [[원성왕]] 원년(785년)에 도독(都督)으로 개칭되었다. [[파일:사천 선진리 신라비4.jpg]] 8세기 경 [[신라]] 국왕의 지방행차 및 지방행정관의 업무 등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 외부 링크 == *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125|경남일보 : 비문으로 통일신라시대 엿본다]]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60245|불교신문 : 경남 사천서 통일신라 금석문 발견]] * [[http://egloos.zum.com/dwban22/v/4982785|사천 신라비]] * [[https://blog.naver.com/pladase/120178759794|사천 신라비]] [[분류:신라의 금석문]][[분류:국립진주박물관 소장품]][[분류:사천시의 문화재]][[분류:진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