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후궁]] [include(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문종의 후궁[br]{{{+1 사칙 양씨 | 司則 楊氏}}}'''}}} || || '''{{{#gold 출생}}}''' ||[[1414년]] || || '''{{{#gold 사망}}}''' ||[[1453년]] 이후 (향년 39세 이상) || || '''{{{#gold 배우자}}}''' ||[[문종(조선)|문종]] || || '''{{{#gold 자녀}}}''' ||'''슬하 2녀''' 장녀 - [[경숙옹주(문종)|경숙옹주]](敬淑翁主, {{{-3 1439 ~ ?}}}) 차녀 - 왕녀({{{-3 1450 ~ 1451}}}) (조졸)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문종(조선)|문종]]의 [[후궁]]. 문종의 유일한 [[서출]] 소생인 [[경숙옹주(문종)|경숙옹주]]의 어머니다.[* 문종은 여러 후궁이 있어서 그들로부터 자식을 얻었지만 모두 요절하였다. 그나마 성년까지 살아서 책봉까지 된 서출 소생은 경숙옹주 하나 뿐이다. ] == 생애 == 현재까지 전해지는 기록이 없어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 다만, 사칙(司則)은 동궁에 소속된 종6품의 궁인을 뜻하므로 본래 동궁전에서 일하는 [[궁녀]]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청룡사사지》에 의하면 양씨는 문종과 동갑이며, 신분은 미천하였다고 한다. 13세 때 궁인으로 들어왔는데, 자색이 아름다웠다고 한다. 당시 세자빈([[순빈 봉씨]])은 부덕하여 세자(문종)와 사이가 좋지 않았는데, 그런 와중에 양씨가 세자의 눈에 들어 딸([[경숙옹주(문종)|경숙옹주]])을 낳았다고 한다. 이에 봉씨는 자신은 세자의 사랑도 받지 못 하고 아이도 낳지 못 하는데 양씨가 아이를 낳자, 질투심에 양씨를 죽이려다가 도리어 폐출당했다고 한다. 한편 조선의 모든 후궁 중 사칙이라는 호칭을 받은 것은 양씨가 유일하다. 사칙은 왕세자궁에 딸린 내명부의 벼슬 중 하나이며, 1405년([[태종(조선)|태종]] 5년)에 설치되었다. 예의와 알현에 관한 일을 담당하며, 품계는 종6품이다. 《경국대전》 제정 후 수칙(守則)으로 호칭이 바뀌었다. 문종과의 사이에서 두 딸을 낳았다. 장녀 경숙옹주는 강자순과 혼인하였으나 일찍 요절하여 후사를 남기지 못했고[* 강자순은 경숙옹주가 죽고 현감 이길상의 딸과 재혼하였다. 그 바람에 강자순의 재혼을 재취(계실)로 보느냐, 첩으로 보느냐의 논쟁이 일어나게 된다. ], 차녀는 2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문종실록 9권, 문종 1년 8월 12일 정축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ea_10108012_001|#]] ] == 매체에서의 등장 == * [[대체역사물]] 《[[내가 바로 세종대왕의 아들이다]]》에서는 [[고려]] 시절 정착한 [[위구르]]계 [[무슬림]]의 후손이라는 설정을 넣어서, 큰 가슴과 갈색머리에 평범한 조선 남자들보다 키가 큰 서구적 외모의 미인으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