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파일:external/www.njpw.co.jp/SAKURA2017-199-188x264.jpg]] || ||<-5> {{{#white 신일본 사쿠라 제네시스[br]NJPW Sakura Genesis}}} || || {{{#white '''개최'''}}} ||<-5> [[신일본 프로레슬링|{{{#white 신일본 프로레슬링[br]New Japan Pro Wrestling}}}]] || || {{{#white '''일시'''}}} ||<-5> [[2017년|{{{#white 2017년}}}]] [[4월 9일|{{{#white 4월 9일}}}]] || || {{{#white '''중계'''}}} ||<-5> [[신일본 월드|[[파일:신일본 월드3.png|width=70]]]] [[테레비 아사히|[[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svg|width=70]]]] || || {{{#white '''장소'''}}} ||<-5>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white 도쿄 [[료고쿠 국기관|{{{#white 료고쿠 국기관}}}]][br]東京・両国国技館[br]Tokyo Ryogoku Kokugikan}}} || || {{{#white '''관중수'''}}} ||<-5> {{{#white 10,231명}}} || ||<-5> {{{#white 신일본 프로레슬링 PPV 순서}}} || || [[더 뉴 비기닝 2017|{{{#000000 더 뉴 비기닝 2017}}}]] || {{{#000000 ▶}}} || {{{#000000 '''사쿠라 제네시스 2017'''}}} || {{{#000000 ▶}}} || [[레슬링 돈타쿠 2017|{{{#000000 레슬링 돈타쿠 2017}}}]] || ||<-5> {{{#white 해당 PPV의 순서}}} || || {{{#000000 인베이전 어택 2016}}} || {{{#000000 ▶}}} || {{{#000000 '''사쿠라 제네시스 2017'''}}} || {{{#000000 ▶}}} || [[사쿠라 제네시스 2018|{{{#000000 사쿠라 제네시스 2018}}}]] || [목차] == 개요 ==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2017년 4월에 개최하는 PPV이며, 2017년 4월 9일 [[료고쿠 국기관]]에서 개최한다. [[뉴 재팬 컵 2017]] 우승자인 [[시바타 카츠요리]]가 [[오카다 카즈치카]]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하는 대회이기도 하다. == 대진표 == ||<-999>
{{{#white 제 0 경기 15분 단판 승부[br]6인 태그 매치}}} || || {{{#000000 데이비드 핀레이}}}[br][[수신 선더 라이거#s-2|{{{#000000 수신 선더 라이거}}}]][br]{{{#000000 나카니시 마나부}}} || {{{#000000 키타무라 카츠야}}}[br]{{{#000000 오카 토모유키}}}[br]{{{#000000 카와토 히라이}}} || ||<-999> {{{#white 승자: 데이비드 핀레이 & [[수신 선더 라이거#s-2|{{{#white 수신 선더 라이거}}}]] & 나카니시 마나부(7분 00초)}}} || ||<-999> {{{#white ※ 다크 매치로써 메인 대회 시작 20분 전에 열린다.}}}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3/4}}} || ||<-999>
{{{#white 제 1 경기 20분 단판 승부[br]8인 태그 매치}}} || || {{{#000000 타이거 마스크}}}[br][[이부시 코타|{{{#000000 타이거 마스크 W}}}]][br]{{{#000000 나가타 유지}}}[br][[마카베 토우기|{{{#000000 마카베 토우기}}}]] || {{{#000000 체이스 오웬스}}}[br]{{{#000000 타카하시 유지로}}}[br]{{{#000000 타마 통가}}}[br]{{{#000000 탕가 로아}}} || ||<-999> {{{#white 승자: 체이스 오웬스 & 타카하시 유지로 & 타마 통가 & 탕가 로아(8분 40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1/4}}} || ||<-999>
{{{#white 제 2 경기 20분 단판 승부[br]6인 태그 매치}}} || || [[바레타|{{{#000000 바레타}}}]][br][[록키 로메로|{{{#000000 록키 로메로}}}]][br][[YOSHI-HASHI|{{{#000000 YOSHI-HASHI}}}]] || [[타카 미치노쿠|{{{#000000 타카 미치노쿠}}}]][br]{{{#000000 엘 데스페라도}}}[br][[스즈키 미노루|{{{#000000 스즈키 미노루}}}]] || ||<-999> {{{#white 승자: [[바레타|{{{#white 바레타}}}]] & [[록키 로메로|{{{#white 록키 로메로}}}]] & [[YOSHI-HASHI|{{{#white YOSHI-HASHI}}}]](6분 50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 || ||<-999>
{{{#white 제 3 경기 60분 단판 승부[br]'''[[IWGP 주니어 태그팀 챔피언십|{{{#white IWGP 주니어 태그팀 챔피언십}}}]]'''[br]1차 방어전}}} || || {{{#000000 '''제50대 챔피언팀'''}}} || {{{#000000 '''도전자 팀'''}}} || || {{{#000000 타이치}}}[br]{{{#000000 카네마루 요시노부}}} || {{{#000000 자도}}}[br]{{{#000000 게도}}} || ||<-999> {{{#white 승자: 타이치 & 카네마루 요시노부(10분 26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 || ||<-999>
{{{#white 제 4 경기 30분 단판 승부[br]태그 매치}}} || || [[야노 토루|{{{#000000 야노 토루}}}]][br][[이시이 토모히로|{{{#000000 이시이 토모히로}}}]] || {{{#000000 배드 럭 파레}}}[br][[케니 오메가|{{{#000000 케니 오메가}}}]] || ||<-999> {{{#white 승자 : 배드 럭 파레 & [[케니 오메가|{{{#white 케니 오메가}}}]](10분 15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 || ||<-999>
{{{#white 제 5 경기 30분 단판 승부[br]8인 태그 매치}}} || || [[리코셰(프로레슬러)|{{{#000000 리코셰}}}]][br][[타구치 류스케|{{{#000000 타구치 류스케}}}]][br][[쥬스 로빈슨|{{{#000000 쥬스 로빈슨}}}]][br][[타나하시 히로시|{{{#000000 타나하시 히로시}}}]] || {{{#000000 BUSHI}}}[br]{{{#000000 SANADA}}}[br]{{{#000000 EVIL}}}[br][[나이토 테츠야|{{{#000000 나이토 테츠야}}}]] || ||<-999> {{{#white 승자: [[리코셰(프로레슬러)|{{{#white 리코셰}}}]] & [[타구치 류스케|{{{#white 타구치 류스케}}}]] & [[쥬스 로빈슨|{{{#white 쥬스 로빈슨}}}]] & [[타나하시 히로시|{{{#white 타나하시 히로시}}}]](11분 30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3/4}}} || ||<-999>
{{{#white 제 6 경기 60분 단판 승부[br]'''[[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white IWGP 태그팀 챔피언십}}}]]'''[br]1차 방어전}}} || || {{{#000000 '''제74대 챔피언팀'''}}} || {{{#000000 '''도전자 팀'''}}} || || {{{#000000 코지마 사토시}}}[br]{{{#000000 텐잔 히로요시}}} || {{{#000000 핸슨}}}[br]{{{#000000 레이먼드 로우}}} || ||<-999> {{{#white 승자: 핸슨 & 레이먼드 로우(14분 06초) }}}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3/4}}} || ||<-999>
{{{#white 제 7 경기 60분 단판 승부}}}[br]'''[[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십|{{{#white 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십}}}]]'''[br]{{{#white 3차 방어전}}} || || {{{#000000 '''제15대 챔피언'''}}} || {{{#000000 '''도전자'''}}} || || [[고토 히로오키|{{{#000000 고토 히로오키}}}]] || [[잭 세이버 주니어|{{{#000000 잭 세이버 주니어}}}]] || ||<-999> {{{#white 승자: [[고토 히로오키|{{{#white 고토 히로오키}}}]](16분 16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1/2}}} || ||<-999>
{{{#white 제 8 경기 60분 단판 승부}}}[br]'''[[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hite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white 3차 방어전}}} || || {{{#000000 '''제76대 챔피언'''}}} || {{{#000000 '''도전자'''}}} || || {{{#000000 타카하시 히로무}}} || [[KUSHIDA|{{{#000000 KUSHIDA}}}]] || ||<-999> {{{#white 승자: 타카하시 히로무(1분 56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1/2}}} || ||<-999>
{{{#white 제 9 경기 60분 단판 승부}}}[br]'''[[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hite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r]{{{#white 4차 방어전}}} || || {{{#000000 '''제65대 챔피언'''}}} || {{{#000000 '''도전자'''}}} {{{#000000 /}}} [[뉴 재팬 컵 2017|{{{#000000 '''뉴 재팬 컵 2017 우승자'''}}}]] || || [[오카다 카즈치카|{{{#000000 오카다 키츠치카}}}]] || [[시바타 카츠요리|{{{#000000 시바타 카츠요리}}}]] || ||<-999> {{{#white 승자: [[오카다 카즈치카|{{{#white 오카다 키츠치카}}}]](38분 09초)}}} || ||<-999> {{{#white [[데이브 멜처|{{{#white 별점:}}}]] *****}}} || == 평가 == 먼저 그동안의 사전 대회에서 [[나이토 테츠야]]에게 경기를 끝날 때마다 구타를 당했던 [[쥬스 로빈슨]]은 이번 대회에서 [[나이토 테츠야]]를 무려 클린 핀으로 잡으며 현장에 있던 팬들과 시청자들을 경악케 만들었다. ~~본인도 승리를 하고 어리둥절해 하는 것이 관전 포인트~~ 물론 [[쥬스 로빈슨]]이 [[NEVER 오픈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하는데 이어서 [[뉴 재팬 컵 2017]]도 출전하고 신일본에서의 최근 행보가 좋다고는 하지만 [[나이토 테츠야]]는 언제라도 메인 전선에 합류할 수 있는 단체 최고 선수라는 점에 빗대어 볼 때에는 매우 놀라운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이후 세그먼트로 [[쥬스 로빈슨]]은 [[나이토 테츠야]]의 [[IWGP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에 도전하겠다고 선언하기에 이른다. 이어서 나온 이변은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서 타카하시 히로무가 [[KUSHIDA]]를 '''1분 56초'''만에 꺾으며 타이틀을 방어했다는 것이다. 물론 타카하시 히로무의 승리를 예상한 팬들도 있었지만, [[KUSHIDA]]는 한국 커뮤니티에서 별명이 쿠나쎄로 불릴 정도로 주니어 디비전에서 강세를 보이는 선수였음에도 이렇게 2분도 채 안되는 시간만에 타카하시 히로무가 이런 식으로 초살을 했다는 점에 있어서는 매우 이례적인 결과라고 평가를 받고 있다. 메인이벤트였던 [[오카다 카즈치카]]와 [[시바타 카츠요리]]의 경기는 38분이 넘는 시간동안 서로의 자존심을 건드리며 치열하게 싸운 결과 팬들의 좋은 호응을 이끌어 낼 수 있었고, [[데이브 멜처]]는 이 경기에 '''5성'''을 매기며 올해들어 세번째 [[신일본 프로레슬링]] 5성 이상 경기로 기록되었다. 또한 [[오카다 카즈치카]]는 2017년에만 두경기째 5성 이상 경기를 만들어냈다.[* 또 다른 경기는 [[레슬킹덤 11]]의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케니 오메가]]와의 대결로 무려 6성을 받았다. 또한 이후에도 [[도미니언 2017]]과 [[G1 클라이맥스 27]] 등 대회에서 6.25성과 6성 경기 등을 또 만들어내며 대단한 활약을 이어간다.] 특히나 [[시바타 카츠요리]]는 [[레인메이커]]라는 마스크에 가려져있던 오카다를 깨워보겠다는 매우 호기로운 선전포고를 한 바가 있는데, 평소 오카다답지 않게 감정 통제에 어려움을 보이는 모습을 상당히 많이 보여준 모습을 볼 때에는 이 작전이 꽤나 먹힌 듯.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을 뛰어넘은 최대의 사건은 '''시바타 카츠요리의 경막하혈종 부상'''이였다. 경기 후 마비 증상으로 병원에 실려간 후 진단을 받고 대규모 수술을 받아야 했을 정도로 중상이였다고 한다. 시바타는 이 부상으로 사실상 은퇴수순을 밟게 됐으며, 이전에 [[혼마 토모아키]]가 복귀 불가능급 중상을 입은 사건과 함께 신일본 팬들에게 큰 충격을 준 사건이 됐다. [[분류:신일본 프로레슬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