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템플릿: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등장인물/인게임 정보]] 문서를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신규 문서 생성 및 기존 문서 수정 시 해당 템플릿의 양식을 지켜주시고, 수정이 필요할 경우 템플릿 문서도 동일하게 수정해주시길 바립니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include(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include(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의 인게임 정보 모음)] [목차] == 개요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사토노 크라운]]의 인게임 정보를 정리한 문서. == 육성 우마무스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KuRi10a5klQ)]}}} || || 트레센 학원 학생 소개 Vol.88 「사토노 크라운」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육성 목표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
'''주니어급 데뷔전에 출전'''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주니어급 6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없음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90EE90;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데뷔}}}}}} 도쿄 / 잔디 / 1800m(마일) / 좌 || ||<-2> '''도쿄 스포츠배 주니어S에서 5착 이내'''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주니어급 11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35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32CD32;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II}}}}}} 도쿄 / 잔디 / 1800m(마일) / 좌 || ||<-2> '''야요이상에서 5착 이내'''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클래식급 3월 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175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FF1493;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I}}}}}} 나카야마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 ||<-2> '''사츠키상에서 5착 이내'''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클래식급 4월 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45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나카야마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 ||<-2> '''일본 더비에서 5착 이내'''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클래식급 5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6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도쿄 / 잔디 / 2400m(중거리) / 좌 || ||<-2> '''교토 기념에서 1착'''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시니어급 2월 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19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FF1493;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I}}}}}} 교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외측 || ||<-2> '''오사카배에서 3착 이내'''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시니어급 3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한신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 ||<-2>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1착'''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시니어급 6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한신 / 잔디 / 2200m(중거리) / 우, 내측 || ||<-2> '''텐노상(가을)에서 1착'''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시니어급 10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도쿄 / 잔디 / 2000m(중거리) / 좌 || ||<-2> '''재팬컵에서 1착'''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시기)] ||시니어급 11월 후반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출전 조건)] ||팬 수 25000명 이상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비고)]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FF; padding: 0px; margin: 1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10px; color :#ffffff; font-style: normal; width:30px; text-align: center"> {{{-1 G I}}}}}} 도쿄 / 잔디 / 2400m(중거리) / 좌 ||}}}}}}}}} || * 고유 칭호는 '''매직 크라운'''(マジッククラウン). 칭호 획득 조건은 '''"무패, 1번 인기인 상태로 야요이상에서 우승하고, 사츠키상, 일본 더비, 오사카배, 타카라즈카 기념, 텐노상(가을), 재팬컵에서 우승하고, 기초 능력 [파워]를 1200 이상으로 만든다."''' 우승 조건에 포함되는 7개 레이스 모두 육성 목표에 포함되어 있는데, 세세히 따져보면 실제론 10개 육성 목표 모두에서 우승해야만 한다. 야요이상(목표3)에선 '무패 우승'을 해야하니 이때까지의 목표 레이스(목표1~3)를 모두 우승해야 하고, 이후의 목표 레이스들(목표4~10)도 교토 기념(목표6)을 제외하고는 모두 조건에 포함되어 있으니 죄다 우승해야 하며, 교토 기념은 칭호 조건에선 빠져있지만 클리어 조건이 '1착'이라 어차피 우승해야 한다. 스펙이 충분한 유저라면 전승 우승이 어렵진 않겠으나, 클래식 시즌부터 강력한 고정 라이벌들이 꾸준히 등장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삐끗할 수 있단 점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야요이상에서의 1번 인기 조건과 파워 1200 이상 조건도 잊지 않고 챙겨줘야 한다. 참고로 칭호 조건은 [[사토노 크라운|원본마]]의 행적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데, 2015년도 야요이상에서 무패 우승을 달성한 것, 2017년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우승한 것만이 조건과 일치한다. 원본마가 1번 인기를 받아본 건 2015년도 사츠키상 한 번 뿐이었고, 우승 조건에 포함되는 G1 레이스들 중 타카라즈카 기념을 제외한 나머지 레이스들에선 모두 우승하지 못했었다. 현실에선 강력한 라이벌들에 밀려 이루지 못했지만, 인게임에서라도 사토노 크라운이라는 이름처럼 왕관을 손에 넣어보라는 IF 조건이라 할 수 있다. * 고유 아나운스는 '''시니어급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우승'''하면 들을 수 있는데, [[https://youtu.be/wBO4RJ350Is|#]] 2017년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우승했을 당시의 아나운스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https://youtu.be/ujXfegfGXIw&t=195|#]][* 아쉽게도 남아있는 영상들에선 당시 아나운스의 앞부분만을 들어볼 수 있다.] >なんとなんとサトノクラウン! 強敵たちを従えて宝塚記念を制しました! >---- >이럴 수가 사토노 크라운! 강적들을 굴복시키고 타카라즈카 기념을 제패했습니다! ## ## * 클라이맥스 시나리오에서의 고유 해설은 @@해설 내용에 관련된 서술@@ ## >아나운스 일본어 원문 ## >---- ## >한글 번역문 === ★★★ - [검은 비취는 천 리를 간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토노 크라운 1차 아이콘.png|width=90%]]}}} ||{{{+1 {{{#!html ★★★}}}{{{#!html ★★}}}}}} || ||[검은 비취는 천 리를 간다][br]{{{+1 사토노 크라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50%, rgba(255, 255, 255, 0) 50%, #fafac0 50%, #fafac0 65%, #275d38 65%, #275d38 73%, rgba(255, 255, 255, 0) 73%, rgba(255, 255, 255, 0) 74%, #275d38 74%, #275d38 82%, rgba(255, 255, 255, 0) 82%, rgba(255, 255, 255, 0) 83%, rgba(255, 255, 255, 0) 90%, #fafac0 90%, #fafac0 92%, rgba(255, 255, 255, 0) 92%)" '''窮地?逆境?いいじゃない!''' '''燃えてきたわ!''' '''궁지? 역경? 좋잖아!''' '''불타오르기 시작했어!'''}}}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토노 크라운 스킬 모션.gif|width=100%]]}}} || {{{-1 [검은 비취는 천 리를 간다] 스킬 모션}}} || ||<|1>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margin: 0px; padding: 0px;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0px; font-style: normal; width:100%; height:32px; text-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ccffff, #ffccff, #ffcccc, transparent 150%)" '''{{{+2 {{{#!html Reversal Illusion}}}}}}'''}}}}}}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 ||<|1> '''The Crown's Show! [ruby(보고 계신 건, ruby=ご覧いただくのは)] [ruby(최고의 스펙터클!, ruby=最高のスペクタクル!)][br][ruby(내가 왕관을, ruby=私が王冠を)] [ruby(손에 넣는, ruby=手にする)] [ruby(순간이야!, ruby=瞬間よ!)]'''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 ||<|1> '''[ruby(매직을, ruby=マジックを)] [ruby(보여 줄게!, ruby=見せてあげる!)]''' || ||
<|2> 출시 일자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23년 12월 11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5년 3월 31일 {{{-2 {{{#f00 (예상)}}}}}} || ||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width=20&align=left]]{{{-2 스피드}}} ||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width=20&align=left]]{{{-2 스태미나}}} ||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width=20&align=left]]{{{-2 파워}}} ||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width=20&align=left]]{{{-2 근성}}} ||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width=20&align=left]]{{{-2 지능}}} || || [[파일:우마무스메 Gp.png|width=28&align=left]],,94,, || [[파일:우마무스메 Gp.png|width=28&align=left]],,84,,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06,, || [[파일:우마무스메 Gp.png|width=28&align=left]],,83,, || [[파일:우마무스메 Gp.png|width=28&align=left]],,83,, ||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 0%)]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 0%)]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 15%)]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 15%)] || [include(틀:텍스트 배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내용=+ 0%)] || ||<-5><^|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15,,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03,,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29,,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01,, || [[파일:우마무스메 F.png|width=28&align=left]],,102,, ||}}}}}}}}} || ||
경기장 적성 ||[include(틀:잔디 A)] [include(틀:더트 G)] || || 거리 적성 ||[include(틀:단거리 G)] [include(틀:마일 B)] [include(틀:중거리 A)] [include(틀:장거리 E)] || || 각질 적성 ||[include(틀:도주 G)] [include(틀:선행 B)] [include(틀:선입 A)] [include(틀:추입 D)] || ||
✦ 고유 스킬 || ||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Reversal Illusion)] || ||✦ 초기 스킬 || ||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위치 선정 밀어붙이기)]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중거리 코너○)]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원 찬스)] || ||✦ 각성 스킬 || || * 각성 Lv.2에 해방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진창길○)] * 각성 Lv.3에 해방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신속 과감)] * 각성 Lv.4에 해방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근자감)] * 각성 Lv.5에 해방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기사회생)] || ||✦ 진화 스킬 || || * '신속 과감' 스킬 (각성 Lv.3) 진화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앰비셔스 카드)] * '기사회생' 스킬 (각성 Lv.5) 진화 [include(틀:우마무스메 스킬 밀리언 카드)] || 태생 3성의 '''마일/중거리 선입마.''' 공교롭게도 출시 예고(일본 서버 기준)가 이뤄졌던 날짜인 12월 10일은 [[사토노 크라운|원본마]]가 [[홍콩 바즈]]에서 우승한 날짜이기도 하다. 선행 적성이 높은 편(B)이지만 굳이 선행마로 육성할 필요는 없는데, 스킬의 발동 조건이나 성장률 배치 등을 보면 죄다 선입 각질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일/중거리 적성이 모두 높지만 '''중거리 레이스에 굉장히 특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중거리에서 발동하는 소지 스킬이 많은데다 진화 스킬이나 후술할 고유 스킬의 추가 효과도 중거리에서만 발동한다. 그리고 먼저 출시된 클래식 동기들과는 달리 장거리 적성이 낮은 편(E)인 것도 특징.[*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s-2.1|키타산 블랙]]과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s-2.1|사토노 다이아몬드]]는 중장거리 특화였지만 크라운은 그렇지 않은데, 이는 [[사토노 크라운|원본마]]가 유일하게 출전한 장거리 레이스였던 2017년도 아리마 기념에서 13착으로 대패했던 것을 고증한 것이다.] 고유 스킬은 '''최종 코너에서 중위권 그룹(상위 40~70% 이내)에 있었다면 남은 거리 400m 이내 지점에서 발동'''하는 스킬로, 스펙이 좋아 너무 일찍 순위를 올려버린 경우가 아니라면 무난한 발동률을 보여주는 스킬이다. 그리고 '''중거리 레이스에서 중반에 추월한 경우에는 속도 상승량이 증가하는 추가 효과'''가 있는데, 속도 상승량이 한 단계 증가하여 '많이(すごく)' 수준(0.45)을 보여준다. 중반에 엎치락뒤치락 하는 과정에서 단 한번이라도 추월했다면 조건을 만족할 수 있으니, 사실상 중거리 레이스에선 항상 높은 속도 상승량이 보장되는 셈. 원본마에 대한 고증과 중거리 특화라는 구성을 반영하여, 데뷔전(목표1)과 도쿄 스포츠배 주니어S(목표2)를 제외한 모든 육성 목표는 중거리 레이스로 구성돼있다. 이때 낮은 장거리 적성(E) 탓에 장거리 G1 레이스가 몽땅 빠져있어서 그렇지, 육성 목표를 살펴보면 클래식 3관, 봄/가을 시니어 3관에 포함되는 중거리 G1 레이스들은 모두 포함돼있다. 그래서 적성을 보완하여 장거리 G1 레이스도 출전해준다면 굵직한 타이틀들을 모두 노려볼 수 있는 것이 특징. 특히 시니어급 아리마 기념에서도 우승하여 가을 시니어 3관을 달성할 경우엔 '우리들은 사토노의 우마무스메들이니까(私たちはサトノのウマ娘だから)'라는 히든 이벤트가 발생하는데, "스피드 +15 / 스태미나 +15 / 지능 +15 / '공세', '진출 개시', '초반 달인'의 힌트 Lv +2"라는 푸짐한 보상도 얻을 수 있다. [[분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등장인물/인게임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