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9대 부산시의원/지역구)] ||<-4> '''[[부산광역시|[[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height=20]]]] {{{#fff {{{#fff 부산광역시}}}의 [[부산광역시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부산광역시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사하구 제3선거구}}}}}}'''[br]{{{-1 {{{#fff 신평동, 구평동, 감천동[br]沙下區 第三選擧區[br]Saha District 3}}}}}}}}}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하구_제3선거구8재.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62,909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부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사하구 일부'''[br]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성창용]] ,,(초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사하구 을]]의 북부 지역에 해당하는 [[신평동(부산)|신평동]], [[구평동(부산)|구평동]], [[감천동]] 일대를 관할한다. [[낙동강 벨트]]라 불리는 [[서부산]] 답게 [[국민의힘]] 지지세가 부산 안에서 아주 약한 편에 속한다. 3당 합당 이후 부산 최초의 [[민주당계 정당]] 소속 국회의원이 당선된 곳도 이 곳이 포함된 [[사하구 을]]이다.[* 그 주인공이 바로 전국에서 손꼽히는 지역 기반을 자랑하는 [[조경태]] 의원으로, 민주당 당적만으로 무려 3번 연속 당선되었다. [[문재인]] 당시 대표와의 갈등으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후에는 기존 보수층과 유동층의 몰표를 받으며 아예 압승을 거두고 있다.] 비록 그 국회의원이 진영을 갈아탔지만 여전히 민주당세는 강한 편이다. 다만 낙후되어 있고 [[원도심(부산)|원도심]]과 인접한 감천동의 경우 보수세가 막강하다보니 같이 사하구 을을 구성하는 [[사하구 제4선거구|옆 지역구]]보다는 보수세가 강하다. [[더불어민주당]]이 전국을 거의 휩쓸다시피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을 제외하면 민주당계 후보가 승리한 적은 없다. 다만 역시 전국적으로 [[민주당(2008년)|민주당]]이 승리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5회 지선]]때는 1%p 이내로 승부가 갈리는 등 꽤나 보수정당 입장에서도 쉽게 생각할 곳이 아니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사하구 제3선거구''' || || 제2대 ||<|2> 김옥수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8> [*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 제3대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제4대 || 김청일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5대 || 허동찬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제6대 ||<|2> [[김흥남]]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제7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8대 || [[김재영(1949)|김재영]]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제9대 || [[성창용]]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사하구 제3선거구'''}}}}}}[br]{{{#ffffff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옥수(金玉洙)''' || '''27,594'''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64.77%''' || '''당선''' || ||<|2> {{{#FFFFFF {{{+5 '''2'''}}}}}} || 박희동(朴熙東) || 15,007 || 2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35.2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2,855 ||<|3> '''투표율'''[br]61.36% || || '''투표 수''' || 44,708 || || '''무효표 수''' || 2,107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사하구 제3선거구'''}}}}}}[br]{{{#ffffff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옥수(金玉洙)''' || '''14,69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7.20%''' || '''당선''' || ||<|2> {{{#FFFFFF {{{+5 '''2'''}}}}}} || 배명순(裵明順) || 7,958 || 3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25.56% || 낙선 || ||<|2> {{{#FFFFFF {{{+5 '''4'''}}}}}} || 최진두(崔震斗) || 8,479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7.2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0,271 ||<|3> '''투표율'''[br]45.88% || || '''투표 수''' || 32,241 || || '''무효표 수''' || 1,108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사하구 제3선거구'''}}}}}}[br]{{{#ffffff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청일(金淸一)''' || '''16,29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9.71%''' || '''당선''' || ||<|2> {{{#ffffff {{{+5 '''3'''}}}}}} || 박규호(朴奎浩) || 6,737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4.73% || 낙선 || ||<|2> {{{#ffffff {{{+5 '''4'''}}}}}} || [[배진탁]](裵鎭卓) || 4,27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5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1,587 ||<|3> '''투표율'''[br]39.50% || || '''투표 수''' || 28,279 || || '''무효표 수''' || 1,037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사하구 제3선거구'''}}}}}}[br]{{{#ffffff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박규호(朴奎浩) || 8,203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6.46% || 낙선 || ||<|2> {{{#FFFFFF {{{+5 '''2'''}}}}}} || '''허동찬(許東贊)''' || '''18,51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9.74%''' || '''당선''' || ||<|2> {{{#FFFFFF {{{+5 '''6'''}}}}}} || [[배진탁]](裵鎭卓) || 4,27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3.7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9,794 ||<|3> '''투표율'''[br]45.30% || || '''투표 수''' || 31,621 || || '''무효표 수''' || 627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사하구 제3선거구'''}}}}}}[br]{{{#ffffff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흥남]](金興男)''' || '''12,21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0.78%''' || '''당선''' || ||<|2> {{{#FFFFFF {{{+5 '''2'''}}}}}} || [[김재영(1949)|김재영]](金在榮) || 11,956 || 2위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39.91% || 낙선 || ||<|2> {{{#FFFFFF {{{+5 '''7'''}}}}}} || [[배진탁]](裵鎭卓) || 5,779 || 3위 || || [include(틀:미래연합)] || 19.2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5,166 ||<|3> '''투표율'''[br]47.18% || || '''투표 수''' || 30,747 || || '''무효표 수''' || 796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사하구 제3선거구'''}}}}}}[br]{{{#ffffff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흥남]](金興男)''' || '''18,485'''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6.77%''' || '''당선''' || ||<|2> {{{#FFFFFF {{{+5 '''2'''}}}}}} || [[김재영(1949)|김재영]](金在榮) || 14,074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43.2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3,901 ||<|3> '''투표율'''[br]52.28% || || '''투표 수''' || 33,412 || || '''무효표 수''' || 853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사하구 제3선거구'''}}}}}}[br]{{{#ffffff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재영(1949)|김재영]](金在榮)''' || '''18,074'''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1.22%''' || '''당선''' || ||<|2> {{{#FFFFFF {{{+5 '''2'''}}}}}} || [[성창용]](成昌勇) || 11,284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1.98% || 낙선 || ||<|2> {{{#FFFFFF {{{+5 '''3'''}}}}}} || [[배진탁]](裵鎭卓) || 2,939 || 3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8.33% || 낙선 || ||<|2> {{{#FFFFFF {{{+5 '''6'''}}}}}} || 공은희(孔銀熙) || 590 || 5위 || || [include(틀:민중당)] || 1.67% || 낙선 || ||<|2> {{{#FFFFFF {{{+5 '''7'''}}}}}} || [[김흥남]](金興男) || 2,394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6.7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4,702 ||<|3> '''투표율'''[br]55.65% || || '''투표 수''' || 36,011 || || '''무효표 수''' || 730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사하구 제3선거구'''}}}}}}[br]{{{#ffffff 신평1동, 신평2동, 구평동, 감천1동, 감천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재영(1949)|김재영]](金在榮) || 10,807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8.01% || 낙선 || ||<|2> {{{#FFFFFF {{{+5 '''2'''}}}}}} || '''[[성창용]](成昌勇)''' || '''17,624'''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61.98%''' || '''{{{#000000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62,909 ||<|3> '''투표율'''[br]45.90% || || '''투표 수''' || 28,877 || || '''무효표 수''' || 446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재영 시의원이 72세의 고령이지만 그대로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지역 국회의원인 [[조경태]] 의원의 4급 보좌관을 맡았던 성창용 [[동아대학교]] 겸임교수가 다시 단수공천을 받으며 설욕에 나선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 그리고 저번 선거에 이은 김재영 후보와 성창용 후보간의 리턴매치가 치러진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성창용 후보가 24%p 가량의 격차로 지난 선거의 패배를 그대로 갚아주었다. 모든 동에서 성창용 후보가 60% 이상 받았는데 조금 특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보수세가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인 [[감천동]]에서 1동 63.9%, 2동 62.3%로 [[구평동(부산)|구평동]] 61.1%, [[신평동(부산)|신평2동]] 61.6%, [[신평동(부산)|신평1동]] 64.95%로 다른 지역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이는 김재영 후보의 주 지역기반이 감천동인 점이 작용했다. 다만 감천동에서 선전했지만 나머지 동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최근 4번의 선거 중 가장 큰 격차의 패배를 맛봐야 했다. 한편 평상시에도 더불어민주당이 선전한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2.6% : 47.4%로 불과 5.2%p차 밖에 안나며 이번에도 그런 양상이 이어졌다. [[분류:선거구/부산광역시]][[분류:사하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