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요약''' 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이래 깨달음을 얻은 성자들의 4가지 수행 단계[向] 및 도달 경지[果]를 가리킨다. 사도사과, 사향사득, 사쌍팔배, 사과향, 팔보특가라, 팔현성, 팔성, 팔배라고도 한다. 사향은 예류향, 일래향, 불환향, 아라한향이고, 사과는 예류과,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이다. 예류향은 성자가 되는 최초의 깨달음의 순간으로 견도(見道)라고 한다. 예류과에서 아라한향까지는 번뇌를 제거하는 수행하는 단계로 수도(修道)라 한다. 마지막 아라한과는 더 이상 수행할 것이 없다는 의미로 무학도(無學道)라 한다. 사향사과의 전통은 현재 테라와다 불교에서 전하고 있다. '''정의''' 초기불교 이래 깨달음을 얻은 성자들의 4가지 수행 단계[向] 및 도달 경지[果]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사도사과 · 사향사득 · 사쌍팔배 · 사과향 · 팔보특가라 · 팔현성 · 팔성 · 팔배. '''개설''' 사향사과(四向四果)는 초기불교 이래 깨달음을 얻은 성자들의 수행 단계[向] 및 도달 경지[果]를 말한다. 예류(預流)[수다원(須陀洹)], 일래(一來)[사다함(斯陀含)], 불환(不還)[아나함(阿那含)], 응공(應供)[ 아라한(阿羅漢)]의 네 성자가 각각 향(pratipannaka, paṭipannaka)과 과(phala)로 쌍을 이루는데, 여기서 향은 도(道, magga)라고도 한다. 사향사과는 사도사과(四道四果), 사향사득(四向四得), 사쌍팔배(四雙八輩), 사과향(四果向), 팔보특가라(八補特迦羅), 팔현성(八賢聖), 팔성(八聖), 팔배(八輩)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사향은 예류향[śrotāpatti-pratipannaka(범어. 이하 범으로 표기), sotāpatti-paṭipannaka(팔리어. 이하 팔로 표기)], 일래향[sakṛdāgāmini-pratipannaka(범). sakadāgāmi-paṭipannaka(팔)], 불환향[anāgāmi-pratipannaka(범),anāgāmi-paṭipannaka(팔)], 아라한향[arhat-pratipannaka(범), arahatta-paṭipannaka(팔)]이다. 사과는 예류과[śrotāpanna(범),sotāpanna(팔)], 일래과[sakṛdāgāmi-phala(범), sakadāgāmi-phala(팔)],불환과[anāgāmi-phala(범·팔)],아라한과[arhat-phala(범), arahatta-paṭipannaka(팔)]이다. 사향은 사과라는 깨달음의 결과에 도달하는 원인이 되는 깨달음의 순간을 의미한다. 예류향은 성자가 되는 최초의 깨달음의 순간으로 견도(見道)라고 하며, 예류과에서 아라한향까지는 남은 번뇌를 제거하는 수행을 하는 단계인 수도(修道)라고 한다. 마지막 아라한과는 더 이상 수행할 것이 없다는 의미로 무학도(無學道)라고 한다. 사향사과의 체험에서 생겨나는 지혜와 끊어지는 번뇌가 있다. 각 성자의 새롭게 제거된 족쇄[번뇌]와 남아 있는 윤회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예류과의 증득에 이르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제자는 예류에 들도록 이끄는 “네 가지 요소”를 닦아야 한다. 지혜롭고 덕 있는 참된 사람[스승]을 섬길 것, 정법[참된 법]을 배울 것, 지혜롭게 주의를 기울임[如理作意], 윤리[戒] · 집중[定] · 지혜[慧]의 세 가지 실천[三學]을 닦음으로써 성자의 법에 이르게 하는 수행을 하는 것이다. 예류가 된 성자는 네 가지 덕목을 갖춘다. ①붓다, ②담마, ③상가에 대한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의 확립, ④성인에게 친숙하고 집중에 도움이 되는 도덕적 덕목인 다섯 가지 윤리[五戒]를 굳게 지키는 것이다. 법의 진리를 보고 나서, 예류는 남아있는 번뇌를 없애기 위해서 더욱 통찰을 길러 다음의 이정표인 일래를 깨닫는 것이다. 일래의 단계는 탐욕 · 분노 · 무지라는 세 가지 번뇌의 뿌리를 뽑을 정도로 약화시켜 도솔천 등 욕계에 한 번만 윤회하여 괴로움의 종식을 이룬다. 예류 혹은 일래를 얻은 제자는 다음의 두 단계인 불환과 아라한으로 나아갈 수 있다. 불환의 단계는 다섯 가지 낮은 족쇄의 소멸을 통해 도달하고, 다섯 가지 높은 족쇄만을 남겨 놓는다. 아라한이 되면 무지를 뿌리로 하는 모든 번뇌가 소멸된다. [[상좌부불교]]의 이론에 따르면 석가불이 열반한 후의 5000년 내에 [[사념처]](四念處,위파사나) 수행은 여전히 수다원과(須陀洹)와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을 수 있으며, 사념처 수행은 유일한 방법이다. 마하시 사야도 또는 레디 사야도가 쓴 저서 등을 포함한 사념처와 관련된 서적을 읽어야 정확한 사념처 수행을 잘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