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인단)]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83240, #E0116F)" '''{{{+1 {{{#FFFFFF 산드로네}}}}}}'''[br] {{{#FFFFFF Sandron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산드로네a.jpg|width=10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83240, #E0116F)" '''{{{#FFFFFF 프로필}}}'''}}} || || '''{{{#FFFFFF 본명}}}''' ||불명 || || '''{{{#FFFFFF 이명}}}''' ||'''꼭두각시''' || || '''{{{#FFFFFF 성별}}}''' ||여성 || || '''{{{#FFFFFF 소속}}}''' ||[include(틀:우인단 소속)] [[우인단]] || || '''{{{#FFFFFF 직위}}}''' ||우인단 집행관 서열 7위 || || '''{{{#FFFFFF 신의 눈}}}''' ||불명 || || '''{{{#FFFFFF 언어별 표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androne[br]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桑多涅, ruby=Sāngduōniè)][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サンドローネ || || '''{{{#FFFFFF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강은애]][* [[키라라(원신)|키라라]]와 중복. [[붕괴: 스타레일]]에서 [[나타샤(붕괴: 스타레일)|나타샤]]를 담당함.][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혼다 마리코]][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홍하이톈[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데닌 멜로디]]|| [목차] [clearfix] == 개요 == [[원신]]의 등장인물. [[우인단]] 집행관이며 서열은 7위이다. 「[[타르탈리아]]」 PV-「백무금기」 소개글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우인단의 채무 처리인 자베르가 자신이 갓 신병이 되었을 때, 딱 한 번 산드로네의 연설을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한다.[* [[타르탈리아]] 경천의 장 제1막에서 스네즈나야의 신병들은 근무지에 부임할 때 집행관의 연설을 듣고 여왕인 얼음신의 의지의 세례를 받는 것이 규칙이라고 나온다. 우인단 집행관들은 거의 장관급 위치에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지위가 낮은 신병들로서는 이런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그런 고위급 인사를 볼 일이 없는게 당연하다.] 코드 네임은 '꼭두각시([ruby(木偶, ruby=mù’ǒu)] / [ruby(傀儡, ruby=かいらい)] / Marionette / Марионетка)'. >연구만 하는 사람 같던데? 생각해 보니 그 기계들은 모두 그녀와 관련된 게 아닐까 싶네. 아무튼, 별로 만난 적도 없는데 날 죽일 듯이 노려보더라. 내가 뭘 그렇게 화나게 했는진 나도 잘 모르겠어 >---- >[[타르탈리아]]의 대사 자료 中, 「산드로네」에 대해... >「산드로네」는 연구에만 몰두하는 괴짜야. 하지만 그런 극단적인 행보에도 불구하고 만들어내는 건 쓰레기뿐이지. 집행관 서열도 나보다 한 단계 낮았고 말이야. 정말 불쌍한걸 >---- >[[방랑자(원신)|방랑자]]의 대사 자료 中, 「산드로네」에 대해... == 작중 행적 == ||<-2>
{{{#ffffff,#dddddd '''스토리 진행 순서'''[br]{{{-4 (※ 모험 등급, 개방 전제 조건, 실장 시기를 바탕으로 임무를 시계열순으로 작성.)}}}}}} || || '''임무명''' || '''비고''' || || [[산드로네#s-2.1|한겨울 밤의 광대극]] || || === 티바트편 막간 PV - 「한겨울 밤의 광대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gcKHysZ_Dc)]}}} || || '''{{{-1 티바트편 막간 PV - 「한겨울 밤의 광대극」}}}''' || || {{{#!wiki style="margin:0 -10px" {{{-1 {{{#!folding 기타 언어 버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34jc0Y4bzT0)]}}}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중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j9fzP0Qn4hw)]}}}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영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maAOV4SJNQ)]}}}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산드로네_01.jpg|width=100%]]}}} || >'''흥, 어처구니없군!''' PV 한겨울 밤의 광대극에 등장한다. 꼭두각시라는 코드네임에 걸맞게 켄리아의 자동 장치를 개조한 것으로 보이는 거대한 인형을 대동하고 다닌다. 아를레키노 등 집행관들이 신경전을 벌인 후 "어처구니 없군."이라고 한마디 남긴다. == 여담 == {{{#!folding 【 정체에 대한 추측 - 폰타인 월드 임무 스포일러 포함 】 || [[파일:원신_수선화십자원.png|width=100%]] || * 폰타인 월드 임무에서 언급되는 "수선화 십자원"의 "마리안"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로봇일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게임 도중 볼 수 있는 사진을 보면, 마리안(왼쪽에서 두 번째 소녀)의 헤어스타일은 길게 늘어뜨린 부분을 제외하면 산드로네와 거의 완전히 동일하게 그려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기계를 다루는 데에 능하며 다른 멤버들과는 달리 이후의 행적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알랭이 죽었다고 생각한 마리안을 기계로나마 살리기 위해 제작한 로봇이 산드로네로 추정된다. 유출된 설정화 자료에서도 산드로네의 등에는 커다란 태엽감개 모양 장치가 달려 있다. 상술한 추측대로면 산드로네는 [[로봇아빠|마리안의 자아를 모방한 강인공지능이 탑재된 존재로 추정된다.]] 구현할 기술 또한 시모어를 만듦으로서 증명한 알랭이 마리안을 [[프란시느|인형으로나마 부활]]시키려고 한다고 해도 어색하지 않다. 애초에 [[방랑자(원신)|생체인형은 원신 세계관에서 만들 수 있기도 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인형은 자아를 가진다는 것]]이 여러 이야기에서 증명되었다. 월드 임무 도중 마리안의 영혼이 릴리스와 융합된 상태로 아직까지 남아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에 최소한 실제 마리안의 영혼을 담은 인형은 아닐 것이다. 알랭 기요틴이 모종의 수단으로 여전히 살아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알랭의 사망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데다가 원신 세계관 내에서는 특수한 방식의 생명 연장이 불가능하지 않기 때문. 이 경우 산드로네를 소개하는 이미지에 항상 함께 등장하는 거구의 로봇(또는 그 조종자)이 알랭일 가능성이 높다. "산드로네"라는 이름을 부여받은 것이 여성 쪽이 아니라 알랭 기요틴이라는 추측도 있는데, 타르탈리아의 산드로네에 대한 언급을 보면 최소한 대외적으로는 여성 쪽이 산드로네로 알려진 것으로 보인다. * 월드 임무 "문제 멜뤼진과 정답 로봇"에서는 '''지혜를 가진 기계에 관심이 있는 집행관'''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 임무에 등장하는 그림자 수사청 소속의 멜뤼진 탈로샤와 거짓말 탐지 기능이 탑재된 로봇 「곡선」이 스팀버드사에서 벌어진 일들을 조사하는 과정을 관찰하며 연구를 하고 있던 모양인데, 스팀버드의 편집자 젱크에게 곡선에 관한 연구 자료를 가져오라고 배후에서 사주한 것으로 보인다. 젱크는 이 연구 자료로 한탕 하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 젱크라는 인물이 곡선의 연구 자료를 강탈한 것까지는 좋았으나 그 과정에서 쓸데없이 연구 대상인 곡선까지 날려 먹고 만다. 이후에는 그에 대한 보복으로 젱크의 혀를 자르고 포승줄로 묶어 에피클레스 오페라 하우스 앞에 던져둔다. 젱크의 배후에 있다는 우인단에 대한 언급은 "여행자와 우호적인 관계를 가지고 싶어 한다"와 "지혜를 가진 기계에 관심이 있는 집행관이다" 두 가지다. 작중 묘사상 이미 등장한 집행관 중 후자에 해당할 만한 집행관은 없고[* 그나마 [[도토레]]가 기계와 연관된 바가 있기는 하나, 상당히 직접적으로 여행자를 적대한 집행관이며 여행자와의 관계를 굳이 신경쓸 만한 인물은 아니다. "지혜를 가진 기계"라는 키워드와도 다소 거리가 있다.], 이미 등장한 인물이라면 모호하게 정체를 숨길 필요성도 적기에 산드로네일 가능성이 높다. 상술한 추측이 정답이라면 "지혜를 가진 기계"인 산드로네가 곡선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도 이상하지 않다. "사람의 혀를 잘라서 극장에 둔 인형사"라는 스토리는 영화 [[데드 사일런스]]를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작중 타르탈리아의 남동생 테우세르가 부른 적이 있는 스네즈냐야의 동요[* 새끼손가락 걸고 꼭꼭 약속해, 어기면 얼음물에 던져버리자~ '''거짓말하면 혓바닥이 얼어서 썩어버린대!''']와도 연결지을 수 있다. }}} *산드로네의 코드네임은 꼭두각시(마리오네트)인데, 프랑스어로 마리오네트는 '작은 마리(little Mary)'라는 뜻이다. *타르탈리아의 상호대사에 따르면 직접 본 적은 별로 없지만 평소 자기만의 연구에 몰두해 있다고 하며 몇 번 만난 적도 없으면서 만날 때마다 자기를 죽일 듯이 노려본다고 한다.[* 타르탈리아가 동생을 위한 장난감이랍시고 유적 가디언들을 대량 망가트린 게 원인으로 추측된다.] 또한 전 집행관 6위인 [[방랑자(원신)|방랑자]]는 연구만 하는 괴짜인 주제에 만들어내는 건 쓰레기뿐이라면서 대차게 깠다.[* 참고로 이때 방랑자가 자신의 순위보다 한 단계 낮았다는 언급으로 서열이 7위임이 밝혀진다.] 방랑자는 기본적으로 타인에 대해 냉소적이고 비관적인 시선이긴 하지만 유독 산드로네는 '''쓰레기나 만들어낸다'''는 거친 표현을 사용하는데, 산드로네가 다루는 것이 [[라이덴 쇼군|인형]]인 만큼 [[스카라무슈|자신의 과거]]를 어느 정도 비춰보는 것일 수도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산드로네와캐서린.png|width=100%]] }}} || * 복장과 헤어스타일 등 [[캐서린(원신)|캐서린]]과 유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캐서린의 정체가 마신임무 3장에서 스네즈나야산 생체 인형으로 밝혀졌는데, 모험가 길드의 본부가 스네즈나야에 있다는 언급까지 생각하면 산드로네가 캐서린의 제작자일 가능성이 있다.[[https://twitter.com/gsooo0365/status/1546442798047830016?t=XyEJMkRH8GtF4TwswkNAxg&s=19|#]] [* 이렇게 되면 산드로네는 모험가 길드 총괄대표직까지 맡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 집행관을 지칭하는 문양 중 7시 방향의 [[꼭두각시]] 인형 문양이 그녀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추측된다. * 버전 3.4의 해등절 이벤트에서 공개된 산드로네와 [[귀종]]에게 공통점이 엿보여 둘이 동일인물이거나 환생 등의 모종의 관계가 있다는 추측이 돌기도 했다. 헤어스타일이 비슷한 점, 발명에 몰두하는 연구자라는 점이 그 사유. 추측 자체만 놓고 보자면 적은 근거에 비해 결론의 비약이 심해서 설득력이 낮지만, 기존에 공개된 단편적인 정보들과 연결할 여지가 있고[* 종려와 얼음 신이 아직 내막이 밝혀지지 않은 계약을 맺었다는 점, (리월에 오셀을 풀어놓은) 타르탈리아를 노려본다는 점 등.], 사실이라고 가정할 경우 흥미로운 전개들을 예상할 수 있다보니 각국 팬덤에서는 잠시나마 화젯거리가 되었다. 다만 자세히 보면 비슷하다는 근거로 제시되는 머리 스타일의 디테일은 살짝 다르다. 귀종은 양 사이드의 옆머리가 길게 내려온 것이고 산드로네의 양갈래는 앞쪽에 있는 옆머리가 아닌 뒷머리를 앞으로 빼서 옆머리처럼 보이는 것이다. * 현재로서는 [[콜롬비나]]와 함께 가장 행적이 알려지지 않은 집행관이다. 유일하게 언급되는 행적이 한겨울밤의 광대극을 제외하면 자베르[* 타르탈리아의 캐릭터 PV에서 나온 그 채무 처리인이다.]라는 채무 처리인의 신병 시절에 그를 비롯한 신병들 앞에서 연설을 한 적이 있다는 것 뿐이며 이는 우인단에 신병들이 입대할 때 집행관들이 직접 치르는 전통 의례에 불과한 행위이기 때문에 딱히 특기할 만한 행적도 아니다. 다만 콜롬비나가 정말 모든 게 베일에 가려진 신비주의 컨셉의 집행관이라 그렇다면, 산드로네는 연구에만 몰두한다는 확실한 이유가 드러나긴 했다. * 한때 폰타인 업데이트를 앞두고 '''폰타인에 등장하는 집행관은 아를레키노&산드로네&타르탈리아'''라는 찌라시가 돈 적이 있어, 이를 기대한 팬들이 각종 콘과 짤까지 만들어가며 출연을 기대한 적이 있었다. 허나 타르탈리아와 아를레키노는 등장하였으나 산드로네는 직접적인 출연이 전혀 없어 유저들의 기대를 배신했다는 후문. [[https://arca.live/b/genshin/84982561|폰타인 찌라시 최대 피해자]] == 관련 문서 == * [[여왕(원신)]] * [[우인단]] == 둘러보기 == [Include(틀:원신)] [[분류:우인단]]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우인단/집행관, version=165, paragraph=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