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디네세 칼초/간략)]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VRSND.webp|width=100%]]}}} || ||<-3> '''{{{#fff 우디네세 칼초 No. 4}}}''' || ||<-3> '''{{{#9f804d {{{+1 산디 로브리치}}}[br]Sandi Lovrić}}}''' || ||<-2> '''{{{#fff 출생}}}''' ||[[1998년]] [[3월 28일]] ([age(1998-03-28)]세)[br][[오스트리아]] [[티롤주]] 리엔츠 || ||<-2>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베니아)]''' |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2> '''{{{#fff 신체}}}''' ||[[키(신체)|키]] 180cm || ||<-2> '''{{{#fff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요즘에는 주로 중미로 많이 출전하는 편이지만 이 외에 [[수비형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도 주 포지션처럼 소화 할 수 있다.] || ||<-2> '''{{{#fff 주발}}}''' ||오른발 || ||<|2> '''{{{#fff 소속}}}''' || '''{{{#fff 유스}}}''' ||SV 라피트 리엔츠 (2002~2008) [br] FC 누스도프/디반트 (2008~2009) [br] SV 라피트 리엔츠 (2009~2012) [br] [[SK 슈투름 그라츠]] (2012~2014) || || '''{{{#fff 프로}}}''' ||'''[[SK 슈투름 그라츠]] (2014~2019)''' [br] '''[[FC 루가노]] (2019~2022)''' [br] '''[[우디네세 칼초]] (2022~ )''' || ||<-2> '''{{{#fff 국가대표}}}''' ||32경기 4골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베니아]] 2020~ )^^ || ||<-2> '''{{{#fff SNS}}}''' ||[[https://www.instagram.com/sandilovric/|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슬로베니아]] 국적의 [[우디네세 칼초]]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공격형 미드필더]]다. == 클럽 경력 == === 프로 데뷔 전 === 2002년에 고향인 리엔츠에 있는 SV 라피트 리엔츠 유스 팀에서 뛰었다. 2008-09 시즌동안은 FC 누스도프/디반트에서 뛰었고 시즌 후 SV 라피트 리엔츠에서 다시 뛰었다. 2012년에 [[SK 슈투름 그라츠]] 유스 팀에 합류했다. === [[SK 슈투름 그라츠]] === 2014년 8월 17일 [[FK 아우스트리아 빈]]전에서 마르코 스탄코비치와 교체되며 프로 데뷔를 했다. 이때 로브리치의 나이는 불과 '''16세 4개월 20일'''이며 이는 슈투름 그라츠 최연소 프로 데뷔다. 첫 시즌에는 8경기 출전에 그쳤다. 2017-18 시즌에 25경기 2도움을 기록해 드디어 주전으로 도약했고 팀의 2위에 기여했다. 2018-19 시즌에느 20경기 1골 4도움을 기록해 확고한 입지를 다졌다. === [[FC 루가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로브리치 루가노.jpg|width=100%]]}}} || 2018-19 시즌 종료 후 [[FC 루가노]]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3년이다. [[https://www.fclugano.com/sandi-lovric-e-un-nuovo-giocatore-bianconero/|#]] 첫 시즌인 2019-20 시즌에 27경기 3골 7도움을 기록하며 팀이 7위를 했음에도 빛나는 활약을 보였다. 2020-21 시즌에는 33경기 2골 5도움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만들어냈다. ==== 2021-22 시즌 ==== 2021-22 시즌에는 리그에서 33경기 4골 6도움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고, 팀의 4위를 이끌었다. 특히 [[스위스컵]]에서 6경기 1골 1도움으로 19년 만에 스위스컵 우승을 이끌었다. 그 활약상의 시작은 16강에서 우승 후보로 꼽히면서 최대의 난적인 보일 것 같은 [[BSC 영 보이즈]]를 상대로 후반 37분에 역습 찬스에서 [[모하메드 아민 아무라]]에게 패스를 날리며 아무라의 역전골을 어시스트해서 2:1 승리로 8강에 이끈 것이다. 8강 [[FC 툰]]전에서는 후반 30분에 팀의 4번째 골을 터트리며 4:3 승리를 이끌었다. 4강전에서 [[FC 루체른]]을 상대로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지 못했지만 승부차기에서 2번째 키커로 나와 성공시켰으며 합계 4:3 승리를 했다. 대망의 결승전에서 [[FC 장크트갈렌]]을 상대로 팀의 4:1 승리를 이끌어냈다. 한편 시즌 도중에 다음 시즌에 우디네세로의 이적이 확정되었기에 이별 직전에 크나큰 선물을 안기고 떠난 셈이다. === [[우디네세 칼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산디 로브리치 우디네세 오피셜.jpg|width=100%]]}}} || 자신의 24번째 생일인 2022년 3월 28일에 [[세리에 A]]의 [[우디네세 칼초]]로 이적을 확정지었다. [[https://twitter.com/Udinese_1896/status/1508504190041042949|#]] 시즌이 끝나는 대로 팀에 합류할 예정이다. 한편 [[이탈리아어]]를 꽤 잘 사용하는지라 우디네세에서의 적응은 시간 문제인 듯 하다. 또한 7월 15일에 국대 동료인 [[야카 비욜]]이 입단하기도 했다. ==== 2022-23 시즌 ==== 2022년 8월 5일에 [[코파 이탈리아]] 예선 [[페랄피살로]]전에서 우디네세 데뷔전을 치렀다. 결과는 2:1 승리다. 그리고 8월 13일에 열린 디펜딩 챔피언 [[AC 밀란]]과의 개막전에서 후반 38분에 [[왈라시(1995)|왈라시]]와 교체 되면서 [[세리에 A]] 데뷔전을 치렀다. 33라운드에 열린 [[SSC 나폴리]]전에서 전반 13분 만에 [[데스티니 우도기]]의 컷백을 받고 골을 넣으며 나폴리의 우승을 미루게 하나 했으나 후반에 골을 먹히며 1:1로 무승부를 거뒀고 나폴리의 우승이 확정되었다. 그래도 강팀들을 상대로도 골을 넣는 클러치 능력을 보여줬다. 이탈리아에서 첫 시즌임에도 37경기 5골 6도움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시즌을 보냈다. == 국가대표 경력 == 어릴때 부터 자랐고 연령별 대표팀을 뛴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오스트리아]], 어머니의 혈통인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바트레니]] 중 어느 국가대표팀이든 선택할 수 있었으나 슬로베니아 대표팀 감독 [[마티야스 케크]]가 로브리치에게 직접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오라고 설득하는 등 공을 들여 결국 로브리치는 슬로베니아 국대를 선택했다. 2020년 10월 7일에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산마리노]]전에서 국가대표 데뷔를 했다. 그리고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H조|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유럽 예선 H조]] 1차전 자신의 모국인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를 상대했으며 '''전반 15분에 골을 만들어내며''' 팀의 1:0 신승에 주역으로 활약했다. 한편 경기가 끝난 후에 롤모델인 [[루카 모드리치]]와 [[성공한 덕후|유니폼을 교환]]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수비형 미드필더답게 경기를 조율해나가며 전방으로 좋은 패스를 날려주면서 경기를 풀어나간다.[* 그래서 대부분의 상황에 팀의 코너킥을 담당한다.] 패스 실력이 워낙 뛰어나서 경기의 판도를 바꿀 패스들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때때로 박스 안으로 침투해 사이드에서 패스를 받고 골로 만들어내는 능력도 좋다. 선술했듯 약팀만이 아닌 강팀에게도 클러치 능력을 잘 보여준다. 그렇다고 수비를 못하는 것도 아니고 상대에게 강한 압박으로 붙으며 공을 뺏고 역습을 전개하기도 한다. 180cm라는 그렇게 크지는 않은 키지만 몸싸움 또한 준수하다. == 여담 == * 부모 모두 크로아티아 혈통이 있으며 아버지는 슬라본스키브로드 출신의 슬로베니아의 축구감독인 [[https://www.transfermarkt.com/martin-lovric/profil/trainer/97657|마르틴 로브리치]]이고 어머니는 모드리차 출신의 보스니아계 크로아티아인이다. 어머니는 이주 노동자였으며 슬로베니아의 [[피란#s-2|피란]]으로 이주했고 나중에 로브리치의 출생국인 오스트리아로 이주해서 살았다. * 오스트리아의 공용어인 [[독일어]], 어머니의 모국인 [[크로아티아어]], 그 외에 [[이탈리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슬로베니아어]]는 아직 잘 못 구사한다고 한다. [[https://ekipa.svet24.si/clanek/nogomet/reprezentancni-nogomet/5f8156dc8c2a0/sandi-lovric-zrasel-v-avstriji-govorim-hrvasko-zlahka-pa-pojasnim-zakaj-hocem-igrati-za-slovenijo-milanic-on-je|#]] * 롤모델로 [[루카 모드리치]]를 뽑았다. 또한 인스타그램에서 서로 맞팔되어있다. == 같이보기 == [include(틀:우디네세 칼초)] [[분류:1998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리엔츠 출신 인물]][[분류:슬로베니아의 축구선수]][[분류:미드필더]][[분류:중앙 미드필더]][[분류:오스트리아계 슬로베니아인]][[분류:크로아티아계 슬로베니아인]][[분류:복수국적자]][[분류:SK 슈투름 그라츠/은퇴, 이적]][[분류:FC 루가노/은퇴, 이적]][[분류:우디네세 칼초/현역]][[분류:축구 선수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