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include(틀:고국천왕)] [[파일:산성하 전창 36호분 도면.jpg]] ||<-3>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4> 이름 || 한국어 ||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 || 영어 || Capital Cities and Tombs of[br]the Ancient Koguryo Kingdom || || 중국어 || 高句丽王城、王陵及贵族墓葬 || || 프랑스어 || Capitales et tombes[br]de l’ancien royaume de Koguryo || |||| 국가·위치 || [[중국]] [[지린성]] 지안 || ||<-3> [include(틀:지도,장소=41.095008 126.156109, 너비=100%, 높이=224px)] || |||| 등재유형 || [[세계유산#s-3.1|문화유산]] || |||| 등재연도 || [[2004년]] || |||| 등재기준 || (i)[*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iii)[*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iv)[*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v)[*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나 육지·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 사례] || |||| 지정번호 || [[http://whc.unesco.org/en/list/1135|1135]] || [목차] == 개요 == [[중국]] [[지린성]] 지안시 산성하 고분군 내의 전창 구역에 위치하고 있는 고구려의 1세기경 왕릉급 고총. [[통구 고분군 #s-2.3|산성하]] 전창 36호(JSM 0036)로 편호되었다. 무덤의 묘주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신대왕]] 혹은 [[고국천왕]]릉으로 추정한다.[[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krcn&contentsId=GC05301675|#]] == 무덤의 구조 == 가장 긴쪽이 37m 정도, 높이 4.5m 정도의 큰 적석총이다. 평면의 형태는 전원후방형)이고, 주단은 방형이고, 보단은 반원형인 것이 특징이다. 전창 36호분이 산 사면의 높은 곳에 위치하고 그 남쪽 경사면으로 적석총들이 열을 지어 축조되었다. 한편 36호분의 동편으로는 38호, 39호, 40호분의 대형분들이 거의 붙어있다시피 축조되고 있다. == 같이보기 == * [[고구려왕릉]] * [[고분문화 #s-2|고구려의 고분문화]] * [[통구 고분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구려 왕릉, version=126, paragraph=3.1.1)] [[분류:고구려/고분]][[분류:고구려 왕릉]][[분류: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분류:고국천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