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산시성(陕西省), rd1=산시성(섬서성))] [include(틀:중국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의 성'''}}} || ||<-3> {{{#ff0 '''{{{+1 산시성}}}'''[br][ruby(山西, ruby=Shānxī)][ruby(省, ruby=Shěng)][* 또는 'San1xi1Seng3'.] | Shanxi Provinc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20px-China_Shanxi.svg.pn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山西省,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지역}}}''' ||[[화베이]] || ||<-2> '''{{{#ffff00 면적}}}''' ||157,022km² || ||<-2> '''{{{#ffff00 성도}}}''' ||[[타이위안시]] || ||<-2> '''{{{#ffff00 청사소재지}}}''' ||산시성 타이위안시 샤오뎬구 성푸제3호[br]山西省太原市小店区省府街3号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11지급시 25구 11현급시 82현 || ||<-2> '''{{{#ffff00 시간대}}}''' ||UTC+8[* [[중국]]은 전 지역([[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이 [[중국 표준시]]를 사용한다.]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3,682만명 || ||<-2> '''{{{#ffff00 인구밀도}}}''' || 230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96% | [[만주족]] 3%[br][[회족]] 0.8% | [[몽골족]] 0.3% || ||<-2> '''{{{#ffff00 HDI}}}''' || 0.750 ^^(2017)^^ || ||<-2> '''{{{#ffff00 서기}}}''' || 란포안(蓝佛安) || ||<-2> '''{{{#ffff00 성장}}}''' || 진샹쥔(金湘军)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3,551억 ^^(2021)^^ || || '''{{{#ffff00 1인당}}}''' || $10,171 ^^(2021)^^[* [[https://www.stcn.com/xw/sd/202202/t20220201_4128631.html|증권시보]]]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진(희성)|'''晋''']]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14'''00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349''' ~ '''0359''' || ||<-2> '''{{{#ffff00 우편번호}}}''' || '''0300'''00 ~ '''0465'''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X''' ||}}}}}}}}} || ||<-3> [[http://www.shanxi.gov.cn|홈페이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산시성 전경 4.jpg|width=100%]]}}} || || '''산시성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산시성'''은 [[중국]]의 성으로, 성도는 [[타이위안시]]다. 성명의 약칭은 '''[[晉|진]]([ruby(晋, ruby=jìn)])'''으로, 산서성이 근거지인 [[춘추전국시대]]의 [[진(희성)|진]]에서 유래했다.[* 한글 및 로마자 표기가 산시성과 비슷하여 헷갈리는 [[산시성(섬서성)]] 역시 약칭이 진(秦) 으로, 혼란을 가중시킨다. 진(晋)과 진(秦)은 각각 [[중국어]] 한어병음으로 Jìn, Qín으로 현지에서는 구분되지만 한국식으로 읽으면 둘 다 진으로 읽힌다.] ‘산시’는 [[태항산]] 서쪽 지역이라는 뜻으로, 태항산 동쪽 [[산둥성]]에 대응한다. 서쪽에는 친진대협곡을 사이에 두고 [[섬서성]]이 있으며, 동쪽은 [[허베이성]], 남쪽에는 [[허난성]], 북쪽에는 [[내몽골자치구]]가 있다. [[면적]]은 156,000km², [[인구]]는 2010년 기준 3,571만 2,111명이며, 인구의 99.7%가 [[한족]]이다. 한국식 중국어 표기에 따르면 [[산시성(섬서성)]] 역시 ‘산시성’으로 발음되기에, 혼동을 피하기 위해 [[산시성(섬서성)]]은 한국식 한자 독음을 따라 보통 ‘섬서성’으로 부른다. 로마자 언어권 역시 성조를 제외하면 두 행정구의 로마자 표기가 동일해서, [[산시성(섬서성)]]을 산시성(산서성)과 구분하기 위해 Shaanxi라고 표기한다.[*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중 하나인 [[국어라마자]]로 섬서성(Shǎnxī Shěng)을 Shaanshi Sheeng, 산서성(Shānxī Shěng)을 Shanshi Sheeng이라고 표기하는 것 역시 여기서 유래했다.]. == 지리 == [[타이항 산맥]](太行山)과 뤼량산맥(呂梁山脈 / 吕梁山脉)이 지나가며, 그 사이로 [[펀허강]](汾河)이 흘러간다. 타이위안도 펀허 유역에 위치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산악 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 높은 우타이산(五台山)의 경우 해발 3,061m에 달한다. 그 외에 전통적으로 [[오악]](五岳)의 하나 북악으로 유명한 항산(恆山 / 恒山; 2,017m)도 산시성에 위치해 있다. == 행정구역 == [include(틀:산시성(산서성)의 행정구역)] == 역사 == 오악 중 북악이 위치해있다는 데서 알 수 있듯 전통적인 의미의 초기 중국의 북쪽 경계선상에 위치했으며, [[만리장성]]이 지나가고 북방 초원 [[유목민]]들을 방어하고 때로는 영향을 주고받는 지역이었다. 초기에는 중원 [[화하족]]과 구분되는 [[융적]]이 살았고 화하족과 섞여 동화, [[춘추전국시대]]에는 [[진(희성)|진(晉)나라]]의 중심이 되는 지역이었다. 이후 진나라가 공중분해되어 [[삼진(전국시대)]] 세 나라로 나뉘었고 [[한나라]] 때에는 [[병주]](幷州)였으며 [[흉노]]가 분열하자 북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남흉노를 이곳에 정착시키기도 했다. [[삼국시대]]에는 [[원소]], [[조조]]의 강대한 육군력을 책임졌지만 유목민의 고삐가 풀린 [[오호십육국]] 시대에는 [[평양]](平陽)[* 린펀.]이 [[흉노]] [[전조]]의 초기 수도였으며, [[남북조시대]]에는 [[북위]]의 수도 평성(平城),[* 다퉁(大同).] 부수도 평안(平安)[* 타이위안.]으로 역시 중추지였고 [[당나라]] 때에는 하동도(河東道)였다. [[오대십국]]시대 때에는 [[북한(오대십국시대)|북한(北漢)]]의 본거지였다. 이때 후주와 북한의 명운을 가른 전투가 바로 [[고평 전투]]이다. 이후 북부가 [[연운 십육주]]로 [[송나라]]에서 벗어났다가 [[명나라]] 때 ~~드디어~~ 산서성이 설치되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영국 웨일스 출신의 티모시 리처드(중국 이름: 리티모타이=李提摩太)가 선교사업을 벌인 곳으로 잘 알려졌다. 티모시 리처드는 1877∼1879년 산시성의 대기근 때에는 구조에 힘 썼고, 이후 8년간 산시성 각지에서 전도하였다. 단순히 전도만 한 것이 아니라 서양의 학문 ·지식을 중국인에게 소개하는 단체인 광학회(廣學會)를 주재하여 많은 공헌을 하였고, [[캉유웨이]] 등 [[변법자강운동|변법파]]와 [[이홍장]] ·장즈둥(張之洞) 등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의화단의 난]]이 있었을 때에는 그 배상금을 중국의 문화사업에 써야 한다고 주장하여 그 돈으로 1902년 산시대학(山西大學)을 건립하고 총장을 지냈다.[* 그러나 점진적 개혁을 주창함으로써 혁명파인 [[쑨원]] 등의 지지를 못 받자 1916년 중국을 떠나 귀국하였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군벌 [[옌시산]]이 이곳을 기반으로 1912년부터 1949년까지 38년 간 사실상의 독립왕국을 경영했다. == 문화 == 산서 성 중심 방언 지역 언어로 진어(晉語)를 사용하는데. 사용지역은 내몽골자치구서부 후허하오터지역과 산시성 북부, 허베이성 서부지역에서 쓰인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북방 방언의 일부로 봤는데, 자세히 뜯어보니 북방 방언과는 좀 달라서 20여 년 전부터는 따로 구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직 진 방언을 북방 [[관화]]와 나눠서 따로 설명하는 것에 이견이 존재하며 따라서 아직 그 자체만의 로마자 표기법도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중국 학계는 대체적으로 관화와 전혀 다른 또 하나의 북방 방언으로 보는 경우가 우세하다.[* 들어보면 알겠지만, 진어는 [[관화]]만 공부해서는 아예 뭔소린지 모르겠을 정도인 여타 중국의 방언들과 다르게 관화만 알아도 어느 정도는 알아듣는다. 대강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정도의 차이라고 보면 될 수준. ] 따라서 북방 방언은 관화 하나뿐만 아니라 진 방언까지 포함해 총 두 개라고 볼 수도 있다. 화자 수는 6,000만 명이다. [[식초]]로 매우 유명하고, 현지 출신들 역시 식초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거나 식초를 좋아하지 않는 자는 산서인이 아니라고 할 정도로 식초에 대한 사랑이 매우 대단하다. 게다가 [[도삭면]]의 원조 동네로도 잘 알려져있어서, 흔히 산서성은 도삭면과 식초로 통한다. 예로부터 상업이 발달한 지역이었다. 진상(晉商), 산시 상인들은 신용을 으뜸으로 여겼는데, [[삼국지]]의 [[관우]]가 중국에서 재물신으로 숭상받는 것도 이들 덕분이었다. 산시 상인들은 관우가 신의, 의리와 충실함을 대변한다고 여겼다. 그래서 이들은 관우를 자신들의 수호신으로 삼았고 이후 이들이 전 중국에 퍼져 장사하면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47&aid=0002094445|관우는 상인들의 재물신으로 숭배되기 시작한다.]] 정작 실제 관우의 생애 자체는 부귀영화를 마다하는 등 장사꾼과는 별 관련 없어보이는 듯 해서 한국인들은 관우가 중국에서 재물신이라고 하면 고개를 갸웃하기도 하는데, 관우를 숭상한 관우 고향지역 출신 상인들이 중국 전국에서 활동하면서 그렇게 퍼진 것이다[* 사실 중국인들이 관우를 워낙 열렬히 숭배했기 때문에 관우와는 별 상관도 없는 영역에서도 관우가 신으로 여겨진다. 한 예로 중국에서는 관우가 [[두부]]의 수호신으로도 여겨지는데, 정작 관우가 활동했던 삼국시대의 중국에서는 [[두부]]가 존재하지도 않았다.]. 사원의 관우상을 보면 보통 오른손에는 [[청룡언월도]], 왼손에는 은자를 들고 있다. 진상은 금융업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해 중국 최초의 표호 일승창이 산시 핑야오에 있었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핑야오 고대도시]]는 산시의 자랑이다. == 역대 영도인 == [include(틀:역대 산시성(산서성) 영도인)] == 출신인물 == * [[관우]] * [[여포]] * [[나관중]] * [[상충]] * [[설인귀]] * [[적인걸]] * [[옌시산]] * [[푸쭤이]] * [[자장커]] * [[보이보]] * [[펑전]] * [[화궈펑]] * [[쉬샹첸]] * [[지펑페이]] * [[요명명]] * [[서태후]] == 기타 == [[신 중화일미]]의 주역 레귤려인 [[쉐르]]의 출신지가 바로 이 산시성이라고 한다. [[분류:산시성(산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