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산청군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산청군)] [목차] == 개관 == [include(틀:산청군의 로)] [[산청군]]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철도 == [[철도]]는 아직 없지만 나중에 [[남부내륙철도]]가 생비량면을 지나갈 예정이다. == 도로 == === 고속도로 ===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군을 남북으로 관통하며 [[단성IC]], [[산청IC]], [[생초IC]]를 이용할 수 있어 남북으로의 교통은 편리하다. === 일반국도 === [[3번 국도]], [[20번 국도]], [[33번 국도]], [[59번 국도]]가 있다. * [[3번 국도]]: 진주시에서 넘어와 신안,산청읍,오부,생초를 거쳐 [[함양군]]으로 넘어간다. 전 구간 왕복 4차로로 개량되어 있고 [[통영대전고속도로]]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20번 국도]]: 시천면 중산리가 기점이다. 시천,단성,신안,생비량을 거쳐 [[의령군]]으로 넘어간다. [[지리산]]국립공원으로 가는 길 중 하나로, 시천면 일부 구간, 단성면 일부 구간, 생비량면 일부 구간만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다. 단성-신안-생비량까지 왕복 4차로로 확장될 예정이다. * [[33번 국도]]: [[진주시]]에서 넘어와 생비량면을 살짝 지난다. * [[59번 국도]]: [[하동군]]에서 고개를 타고 넘어와 시천면 내공리에서 갑자기 국도가 사라진다. 그러다 국동리에서 20번 국도에서 분기하여 시천,삼장,금서,산청,차황을 거쳐 [[거창군]]으로 넘어간다. 이 국도는 시골길을 국도로 승격시켰기 때문에 도로 상태가 상당히 좋지 않으며, 심지어 하동에서 산청으로 넘어오는 구간은 길도 없었다가 최근에 왕복 2차로 고갯길이 개통되었다. 또 삼장면에서 금서면으로 넘어가는 길도 난이도가 어머무시한 밤머리재라는 고갯길이 있는데, 지리산터널이 개통됨으로써 획기적으로 교통여건이 개선되었다.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60번 지방도]] *[[지방도]] : [[1001번 지방도]], [[1005번 지방도]], [[1006번 지방도]], [[1026번 지방도]], [[1047번 지방도]], [[1049번 지방도]], [[1089번 지방도]] == 버스 == === [[시외버스]] === 사실상 '자칭 향토업체' [[부산교통]][* 부산교통 사장의 고향이 시천면 덕산이라고 알려져 있다.]의 독무대. 수도권에서 이 지역으로 오려면 [[서울남부터미널]]에서 향토업체의 버스를 타면 된다. [[시외버스 서울남부-진주|진주행 노선]]을 생초, 산청, 원지(신안면) 중 한 곳에 중간 정차시키는 식으로 운행하는데 그 중 군청소재지인 산청읍이 아닌 원지 경유가 제일 많다. 신안면 자체도 산청읍에 이어 군내 3위 인구이며 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 데다가, 인구가 비교적 많은 또 다른 면인 단성면, 시천면까지 아우를 수 있고 지리산으로 가는 승객들도 잡을 수 있는 위치라 이런 것으로 보인다. 원지 경유 시에는 '[[프리미엄 고속버스|21인승 프리미엄 골드]]'도 들어온다. 또한 주말 심야에는 지리산 등반객들을 위해 서울남부-원지-덕산-중산리라는 위엄쩌는 노선도 운행한다. 단, 생비량면을 넘어 산청군 전체에서 가장 동쪽 끝에 있는 가계리(송계)와 화현리는 사실상 [[경전고속]]이 꽉 잡고 있는 진주에서 합천, 대구 방면으로의 도로의 중간 경유지인지라 경전고속이 독점 운행중이다. === 농어촌버스 === 산청, 생초, 원지 등과 이곳저곳을 연결하는 군내버스도 있다. [[산청군 농어촌버스]] 문서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산청군, version=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