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0년 영화]][[분류:한국의 스릴러 영화]] ||<-2>
{{{#000000,#dddddd '''{{{+1 살인의 강}}}''' (2010)[br]''Bloody innocent''}}}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스릴러}}}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대현#대한민국의 영화 감독|김대현]]}}}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대현#대한민국의 영화 감독|김대현]]}}} || || '''각색''' ||{{{#!wiki style="margin: 0px 10px" 고영재, 신인호}}}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고길수, 인디라인}}} || || '''투자''' ||{{{#!wiki style="margin: 0px 10px" 문덕, 고길수}}} || ||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강지연}}} || ||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다현(배우)|김다현]], [[신성록]], [[황인영]] 외}}}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석구}}} || || '''조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경석}}}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안광섭}}}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성준}}} || ||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서유미}}} || || '''동시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변희철}}} || || '''음향'''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남호}}} || ||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서유미}}} || || '''특수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홍장표}}} || || '''시각효과'''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태훈}}} || || '''무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허명행}}} || || '''조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장정숙}}} || || '''색보정''' ||{{{#!wiki style="margin: 0px 10px" 강정화, 유정선}}} || || '''메이킹'''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효림}}} || || '''마케팅''' ||{{{#!wiki style="margin: 0px 10px" 언니네 홍보사, 김상현, 윤보숙}}} || || '''스크립터''' ||{{{#!wiki style="margin: 0px 10px" 공광호}}} || || '''현장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서문성}}} || || '''범죄자문''' ||{{{#!wiki style="margin: 0px 10px" 배상훈}}}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화사 홍, 인디라인}}} || || '''투자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화진흥위원회}}}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마운틴픽쳐스}}}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9월 3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78:1}}}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9분}}}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2,475명}}}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청소년 이용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2010년 스릴러 영화. 감독은 [[김대현#대한민국의 영화 감독|김대현]]이고, [[김다현(배우)|김다현]], [[신성록]], [[황인영]] 등이 출연하였다. == 예고편 == [kakaotv(27122839)] == 시놉시스 == >모든 비극은 첫사랑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985년, 같은 중학교에 다니는 단짝친구 승호와 동식은 순수한 소녀 명희를 짝사랑한다. 어느 날 그들은 명희의 속마음을 알기 위해 비밀스런 내기를 하고, 이튿날 명희는 누군가에게 강간당한 채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된다.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수사를 펼치던 경찰들은 정신병을 앓고 있는 동식의 형 경식을 범인으로 지목하고 절친했던 승호와 동식의 사이는 급격하게 어색해진다. > >1991년, 대학생이 된 승호([[김다현(배우)|김다현]])는 학생운동을 하다 교도소에 수감되고 그곳에서 명희의 살해범으로 복역 중인 경식을 만난다. 사건의 진실을 알고 싶어하는 승호에게 알 수 없는 말만 되풀이하던 경식은 돌연 자살을 선택하고 그의 죽음으로 인해 동식([[신성록]])과 승호는 불편한 만남을 갖게 된다. > >1998년, 살해범으로 경식이 내몰린 뒤 동식의 가족은 뿔뿔이 흩어지고 서울로 상경해 미군들을 상대로 윤락업을 하던 누나 진희([[황인영]])가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비극적인 가족의 운명이 또다시 동식을 찾아오고, 검사가 된 승호가 그 사건을 맡으며 두 사람은 재회하게 된다. 동식은 우연이라 하기엔 충격적인 모든 사건의 현장과 연루된 승호에게 강한 의혹을 품게 되는데… > >두 친구를 잔혹한 운명으로 몰고 간 그 날 밤의 진실은? >---- >출처: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51093|다음 영화]] == 등장인물 == * 승호 ([[김다현(배우)|김다현]], [[이다윗]][*16세], [[강이석]][*11세]) * 동식 ([[신성록]], 정세현[*16세], [[서영주]][*11세]) * 진희 ([[황인영]]) * 경식 (이도형) * 명희 (강초희, [[윤정은(배우)|윤정은]][*11세]) * 강 형사 ([[조성하]])[*특별출연] {{{#!folding [ 조ㆍ단역 펼치기ㆍ접기 ] * 땅콩 (손지훈, 우돈기[*성인]) * 장다리 (서병관, 장다리[*성인]) * 고참형사 (정동규) * 장 형사 (장대윤) * 김 형사 (김용호) * 지서장 ([[김경룡]]) * 농업선생 (전이두) * 선자 (김주희) * 사건현장 경찰1 (최동삼) * 사건현장 경찰2 (이요섭) * 사건현장 경찰3 (정대웅) * 검문소 헌병, 운동장 수감자2 (이순영) * 검문소 경찰 (황진현) * 담임선생 (여운복) * 도시락 (정찬범) * 방장 (김대현) * 넘버2 (송은욱) * 넘버3 (김상석) * 막내 ([[정영기(배우)|정영기]]) * 교도소장 ([[전진기]]) * 교도관1 (홍승일) * 교도관2 (홍완표) * 여전도회장 ([[김선화(배우)|김선화]]) * 공장동료1 (조양용) * 공장동료2 (공광호) * 가리봉동 형사1 (정수영) * 가리봉동 형사2 (정진근) * 여신도1 (이순복) * 여신도2, 여성활동가2 (손수정) * 여신도3, 여성활동가3 (장정숙) * 정문교도관 (안병혁) * 운동장 수감자1, 부검의 (최규대) * 데이비드 (제이콥 미슈리스) * 우산아줌마 (김현) * 여자 주임 (김현주) * 선배 검사 ([[하성용]]) * 계장 (김찬) * 기자 ([[김광국(성우)|김광국]]) * 부검실 사진사 (김선호) * 여성활동가1 (강지연) * 여성활동가4 (이하영) * 검사실 경비원1 (이호준) * 검사실 경비원2 (김성민) * 라디오 앵커 (이명호) * 112남자 (김두봉) * 라디오 앵커 ([[진정일]]) * 삼덕군 부녀회장 (김혜정)}}} == 줄거리 == == 설정 == 총 5개의 챕터로 이루어져 있다. 각 챕터는 특정한 시기를 가리키는 연도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챕터1: 1985년[* 주무대는 전북 삼덕군이다. 삼덕군은 [[전주]] 부근으로 설정되어 있는 가상의 군이다. [[완주군]] [[삼례읍]]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주인공 일행은 중3이다.] * 챕터2: 1988년[* 주무대는 전북 [[전주시]]이다. 주인공 일행은 고3의 나이다.] * 챕터3: 1991년[* 주무대는 서울 [[구로구]] 가리봉동과 가상의 교도소이다.] * 챕터4: 1997년[* 주무대는 경기도 [[동두천시]]와 가상의 지역 검찰청이다.] * 챕터5: 2002년[* 주무대는 1985년의 무대였던 전북 삼덕군(가상의 지역)으로 돌아온다.] == 평가 == > 소용돌이치는 물살을 기대했건만 >---- > - [[박평식]] (★★☆) > 영화를 훌쩍 넘어서는 현실의 잔인한 힘 >---- > - 이유철 (★★☆) == 흥행 == 한국 극장 관객 2,475명의 성적을 거두었다. == 기타 == * 한국현대사의 다양한 사건들을 은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