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三]][[角]][[地]]驛 / Samgakji Station}}} ||<-3> {{{+2 '''삼 각 지'''}}} || ||<-3> [[수도권 전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30]]]]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30]]]] || || [[당고개역|{{{#!html
당고개 방면}}}]][[숙대입구역|숙대입구]][br]← 1.2 ㎞ || [[수도권 전철 4호선|{{{#!html
4호선
(428)
}}}]] || [[오이도역|{{{#!html
오이도 방면}}}]][[신용산역|신용산]][br]0.7 ㎞ → || || [[응암역|{{{#!html
응암순환}}}]][[효창공원앞역|효창공원앞]][br]← 1.2 ㎞ || [[서울 지하철 6호선|{{{#!html
6호선
(628)
}}}]] || [[신내역|{{{#!html
신내 방면}}}]][[녹사평역|녹사평]][br]1.1 ㎞ → || ||<-3> [include(틀:지도, 장소=삼각지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Samgakji || || [[한자]] ||<-2><|2> 三角地 || || [[중국어]] || || [[일본어]] ||<-2> [ruby(三角地, ruby=サムガクチ)] || ||<-3> '''주소''' || ||<-3> [[수도권 전철 4호선|{{{#ffffff 4호선}}}]] || ||<-3>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 180 ([[한강로1가]] 293번지) || ||<-3>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 ||<-3>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 185 ([[한강로1가]] 45-1번지)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fff 4호선}}}]] ||<-2><|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50]]]]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 ||<-3> '''개업일'''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fff 4호선}}}]] ||<-2> 1985년 10월 18일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2000년 12월 15일 || ||<-3> '''역사 구조'''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fff 4호선}}}]] ||<-2> 지하 2층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지하 4층 || ||<-3> '''승강장 구조''' || || [[수도권 전철 4호선|{{{#ffffff 4호선}}}]] ||<-2>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2|복선]] [[상대식 승강장]][* 과거에는 게이트 배치 상 상하행 간 횡단이 불가하여 6호선 승강장까지 우회하여야만 했으나 구조 변경으로 상하행 간 횡단은 가능해졌다. 다만 이로 인해 4호선 대합실의 비운임구역은 남북으로 나뉘어 일부 출구간 횡단이 제한된다.] || || [[서울 지하철 6호선|{{{#ffffff 6호선}}}]] ||<-2>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2|복선]] [[섬식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 [[수도권 전철 4호선]] 428번[* 개정 전 28번].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 180 ([[한강로1가]] 293번지) 소재. * [[서울 지하철 6호선]] 628번.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 185 ([[한강로1가]] 45-1번지) 소재. == 역 정보 == ||[[파일:삼각지역 안내도.jpg|width=100%]] || || 역 안내도 || 연계성 문제로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4호선과 6호선의 유일한 환승역. 세모꼴로 생긴 땅이라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과 [[경부선]] 철도와 [[한강대로]]가 마치 세모꼴처럼 생겼다는 설 등 여러가지 설이 있다. '삼각지'란 이름은 [[일제강점기]] 때인 [[1920년대]] 초반에 지어졌으며, [[서울/강남|강남]] 개발 이전 [[서울특별시]]의 도로 중심지 역할을 맡았다.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국가지리정보포털이 제공하는 옛날(1910년대) 지형도를 보면 이 시기의 삼각지는 공덕동 방향 길이 없는, 그야말로 삼거리인 것을 알 수 있다. 6호선 삼각지역이 [[노르웨이]] 테마역으로 지정되어 [[피오르드]]나 [[오로라]] 등 노르웨이 관련 사진과 영상이 곳곳에 전시되기 시작했다. [[2012년]]을 마지막으로 끝.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삼각지역이 지어졌을 때는 삼각지 사거리 위에 고가차도가 있어서 사거리 아래가 아닌 그보다 약간 남쪽으로 내려간 위치에 지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4호선 시설물이 고가차도 일부 램프에 저촉되어 일부 램프를 철거하고 4호선을 지은 다음 다시 복구했다. 6호선은 고가차도를 철거하고 사거리 아래에 지어져서 6호선 환승이 힘들어졌다. 6호선 플랫폼-4호선 오이도행 플랫폼을 잇는 통로, 6호선 플랫폼-4호선 당고개행 플랫폼을 잇는 통로, 이렇게 2가지가 있다. 4호선에서 6호선으로 갈아탈 때와는 다르게, 6호선에서 4호선으로 갈아탈 땐 길을 찾을 때 유의해야 한다. 이때 다른 통로로 가도 되긴 하지만, 계단으로 올라갔다가 반대편 플랫폼으로 내려가야 해서 약간 힘들어진다. 출퇴근 시간에는 환승통로에 있는 [[무빙워크]]가 작동한다. 과거 4호선은 상하행 간 횡단이 불가한 구조였으나, 6호선 개통으로 조금 우회하긴 하지만 6호선 승강장을 경유해 간접적인 횡단이 가능해졌었다. 그러다 최근 4호선 대합실의 게이트 배치를 바꾸어 횡단이 가능해졌다. 대신 3, 4번 출구의 남부와 1, 2, 5, 6번 출구의 북부로 비운임구역이 쪼개졌다. 아마 휠체어 등의 환승이 어려움을 감안한 조치가 아닌가 싶다.[* 휠체어나 유모차 등은 6호선 승강장과 신용산 방면 환승통로 간 지장물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없어, 숙대입구 방면 승강장을 경유하여 건너가야 한다.] 4호선 대합실과 6호선 대합실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만약 6호선 하차 후 1~3번 출구 쪽 동네를 가고 싶다면 14번 출구로, 4~6번 출구 쪽 동네를 가고 싶다면 7번 출구로 나가서 길 따라서 직진하면 된다. 반대로 4호선 하차 후 7~14번 출구 쪽 동네(교차로)로 가고 싶다면 1번 또는 6번 출구로 나가면 된다. == 역 주변 정보 == [[1939년]] 삼각지로타리를 거쳐 [[1967년]]에 이 곳에 입체 교차로가 지어졌다.[* 가수 [[배호]]의 대히트곡 '[[돌아가는 삼각지]]'가 이 삼각지 [[로타리]]와 관련이 깊다. 다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이 입체 교차로에서 유래한 게 아니라 이것이 지어지기 1년 전에 이미 발매된 곡이다. 이미 지어지던 중이기 때문에 그것과 관련이 아주 없지는 않을 지도. 거기다 첫 소절도 '삼각지 로타리에~'로 시작한다. 물론 이는 [[1939년]]도에 지어진 것을 말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이 입체교차로는 전국 유일의 입체 [[회전교차로]]였다. 철거된 지금은 이런 식의 입체 회전교차로는 [[대한민국]]에서 찾아볼 수 없다. || [[파일:삼각지_1967.jpg|width=100%]] || [[파일:삼각지_1974.jpg|width=80%]] || [[파일:삼각지_1980.jpg|width=100%]] || [[파일:삼각지_1994.jpg|width=150%]] || || '''{{{#ffffff 개통 전}}} [[1967년|{{{#fff 1967년}}}]]''' || '''[[1974년|{{{#fff 1974년}}}]]''' || '''[[1980년|{{{#fff 1980년}}}]]''' || '''{{{#ffffff 철거 직전}}} [[1994년|{{{#fff 1994년}}}]]''' || 고가 입체 교차로는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공사시 지반 침하가 우려되어 [[1994년]]에 철거되었다. 1994년 철거 당시만해도 [[고가차도]]를 철거하고 [[한강대로]] 밑에 교차로를 가로지르는 [[지하차도]]를 설치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지하차도]]는 건설되지 못하였다. 다만 삼각지 고가차도를 완전히 없애버린 것도 아닌 것이, 이 고가차도가 [[경부선]]을 넘어가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통째로 없애기에는 무리가 있어 경부선을 넘는 [[과선교]] 부분을 남기고 1990년대에 삼각지 교차로로 내려오도록 고가도로를 수정하였다. 실제로 고가도로 동쪽과 서쪽의 형태가 다른 편. [[전쟁기념관]], [[용산소방서]] 등이 있으며, 역 주변이 [[용산기지|미군부대]] 및 [[대한민국 국방부|군사보안시설]]이 있는 관계로 하차 수요보다 환승 수요가 많다. 환승거리는 120m 정도이고, 환승 통로 중간에는 무빙워크가 있다. 이 무빙워크는 상행, 하행 각 2개씩 총 4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실 무빙워크 하나만 타고 나머지 구간은 도보로 걸어갈 수 있으나, 전력 낭비 방지(?)를 위해 움직이지 않는 것보다 더 웃긴 것은 무빙워크 중간에 빈 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도로 나갈 수 없게 막아놨다.''' 도중에 무빙워크가 움직이지 않는 걸 알아차린들 빠져나올 수 없다. 그나마 다행인건 상행, 하행 각 1개씩은 '''가끔''' 켜놓기도 한다. 9, 10번 출구로 나가면 용산파크자이, 대우월드마크용산 등 고급 주상복합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다. 아파트 정문 로비 ~ 출구 기준 걸어서 30초가량 소요. ~~부럽다~~ 다만 용산파크자이의 경우 준공연도가 [[2005년]] [[12월]]인지라 아파트 지하와 바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먹거리로는 [[대구(어류)|대구]]탕 골목이 유명하다. 대구탕 외에도 [[차돌박이]]나 [[곱창]] 등 알게 모르게 맛집이 많다. 근처에 [[대한민국 국방부]] 및 [[서울지방보훈청]] 등 관공서가 많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맛집이 많은 것도 그리 이상하지 않다. [[공덕역|공덕오거리]] 방향으로는 [[경부선]]과 교차 통과하기 때문에 고가차도가 있는데, 이 고가차도가 RH 때 헬게이트 구간이다. 4번 출구에 하비파크 모형점이 위치해 있다. 4번 출구에서 직진 후에 제비표 페인트 가게가 보이는 골목으로 우회전 하면 나온다. 현재 [[호반건설]]이 이곳 [[역세권]]에 청년주택[* 서울시에서 청년층 주거대책으로 내세웠다. 만 19~39세 대학생/청년/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주변 시세의 30~95%로 공급한다.]인 '용산 [[베르디움]] 프렌즈'가 완공되었으며, [[2021년]] 입주를 시작했다.[* 그런데 부지면적 대비 지나치게 많은 가구수와 실내설계로 비판을 받고 있다. 한 동에 '''무려 500가구'''가 들어갈 정도. 게다가 [[용적률]]은 '''962%'''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19/2020101901742.html|관련 기사]] 이 때문에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는 "[[구룡성채]]가 연상된다"는 반응도 있었다.] ||<-3> 나가는 곳 Exit 出口 || ||{{{#fff [[파일:지하철 출구_1.png|width=20]]}}} || 국방부[br]국방컨벤션[br]육군회관[br]서울지방보훈청[br]전쟁기념관 || ||{{{#fff [[파일:지하철 출구_2.png|width=20]]}}} || 삼각맨션[br]한강로1가 || ||{{{#fff [[파일:지하철 출구_3.png|width=20]]}}} || 대한지방행정공제회[br]kt용산지사[br]용산우체국 || ||{{{#fff [[파일:지하철 출구_4.png|width=20]]}}} || 용산 방면 || ||{{{#fff [[파일:지하철 출구_5.png|width=20]]}}} || 서울맹학교[br]용산소방서 || ||{{{#fff [[파일:지하철 출구_6.png|width=20]]}}} || 용산초등학교 || ||{{{#fff [[파일:지하철 출구_7.png|width=20]]}}} || 용산초등학교 || ||{{{#fff [[파일:지하철 출구_8.png|width=20]]}}} || 용산문화체육센터[br]원효로1동주민센터[br]용산이편한세상[br]한강로동주민센터 || ||{{{#ffffff 9}}} || 용산파크자이[br]효창공원앞역 방면 || ||{{{#ffffff 10}}} || 용산파크자이[br]남영역 방면[br]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 ||{{{#ffffff 11}}} || 뮤지엄웨딩홀[br]전쟁기념관 북문[br]삼각지치안센터 || ||{{{#ffffff 12}}} || 전쟁기념관 정문[br]녹사평역 방면 || ||{{{#ffffff 13}}} || 국방부[br]국방컨벤션[br]육군회관[br]서울지방보훈청 || ||{{{#ffffff 14}}} || 한강로1가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4호선|[[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25]]]] || [[서울 지하철 6호선|[[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5]]]]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1><-5>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12,672명 || 3,510명 || 16,182명 || || || 2001년 || 11,734명 || 5,020명 || 16,754명 || {{{#fff,#1f2023 비고}}} || || 2002년 || 11,405명 || 5,975명 || 17,380명 || || || 2003년 || 10,986명 || 6,306명 || 17,292명 || || || 2004년 || 10,959명 || 6,831명 || 17,790명 || || || 2005년 || 12,137명 || 7,821명 || 19,958명 || || || 2006년 || 13,097명 || 9,002명 || 22,099명 || || || 2007년 || 11,833명 || 10,560명 || 22,393명 || || || 2008년 || 12,044명 || 11,919명 || 23,963명 || || || 2009년 || 12,663명 || 11,921명 || 24,584명 || ||}}}}}}}}} || || 2010년 || 13,097명 || 12,159명 || 25,256명 || || || 2011년 || {{{#00a4e3 13,165명}}} || 12,608명 || 25,773명 || || || 2012년 || 12,570명 || 12,505명 || 25,075명 || || || 2013년 || 12,648명 || 12,618명 || 25,266명 || || || 2014년 || 13,027명 || 13,674명 || {{{#red 26,701명}}} || || || 2015년 || 12,059명 || {{{#cd7c2f 13,744명}}} || 25,803명 || || || 2016년 || 11,358명 || 13,630명 || 24,988명 || || || 2017년 || 11,539명 || 13,605명 || 25,144명 || || || 2018년 || 11,002명 || 12,970명 || 23,972명 || || || 2019년 || 10,822명 || 12,844명 || 23,666명 || || || 2020년 || 7,846명 || 8,541명 || 16,387명 || || || 2021년 || 8,529명 || 9,332명 || 17,861명 || || *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노선 상으로 비교적 이용률이 적은 6호선 측의 승객이 더 많이 잡힌다. 4호선 승강장 및 출입구는 삼각지교차로에서 약 200m 남쪽에 위치한 반면에 6호선 승강장 및 출입구는 정확히 로터리 밑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 [[한강대로]]상의 역인데도 [[서울역]]과 [[용산역]] 사이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입지이지만 [[역세권]]은 매우 협소하다. 그 이유로는 대로 동쪽엔 용산미군기지가 있고 대로 서쪽엔 [[경부선]]이 있어 시가지가 매우 좁게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만,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두 노선 합산 총 '''23,972'''명이 타고 내리고 있다. [[용산공원]]이 개발되면 이용객 수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승강장 == === [[수도권 전철 4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samgakji4.jpg|width=100%]]}}} || || '''{{{#fff 4호선 승강장 }}}''' || ||<-4> [[숙대입구역|숙대입구]]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신용산역|신용산]]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명동역|명동]]·[[동대문역|동대문]]·[[노원역|노원]]·[[당고개역|당고개]] 방면|| || {{{#ffffff 하}}} ||[[이촌역|이촌]]·[[사당역|사당]]·[[금정역|금정]]·[[안산역|안산]]·[[오이도역|오이도]] 방면|| 이 역은 신용산 방면으로 2퍼밀 하구배가 있다. 스크린도어 안내음이 상당히 낮은 톤이다. 4호선 노선 중 유일하게 부분별로 적벽돌 인테리어 디자인을 적용한 역사이기도 한다. === [[서울 지하철 6호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samgakji6.png|width=100%]]}}} || || '''{{{#fff 6호선 승강장 }}}''' || ||<-4> [[효창공원앞역|효창공원앞]] ↑ || || ㅣ || {{{#ffffff 하}}} || {{{#ffffff 상}}} || ㅣ || ||<-4> ↓ [[녹사평역|녹사평]]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공덕역|공덕]]·[[합정역|합정]]·[[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새절역|새절]]·[[응암역|응암]] 방면|| || {{{#ffffff 하}}} ||[[이태원역|이태원]]·[[약수역|약수]]·[[신당역|신당]]·[[석계역|석계]]·[[신내역|신내]] 방면|| 이 역은 곡선으로 휘어 있으며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으니 내리고 탈 때 발빠짐에 주의하시길.. == 기타 == * 6호선 봉화산/신내행의 경우 출근 한정으로 이 역을 지나면 사람이 엄청 많이 빠진다.[* 응암순환열차는 그 반대로 사람이 들어찬다.] 이 역부터 앉아서 갈 수 있으니 삼각지 서쪽 구간에 살고 있는 6호선 근처의 주민들은 참고하자. [[합정역]]을 지나면 공간이 널널해지고, [[공덕역]]을 지나면 자리가 생기며, 삼각지역이나 [[이태원역]]을 지나면 자리가 더 많이 생기고 [[신당역]]을 지나면 한산해진다. 하지만 6호선 이용객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 예전만큼 한산하진 않고 동북구간이 대학교가 많은만큼 대학통학생들이 많은지라 오히려 약수, 신당, 동묘앞역을 거치면서 통학생들이 많이 탄다. 그래도 태릉입구역 지나면 거의 텅비긴하지만 신내역이 개통한지라 많이 한산하지는 않다. * 근처 골목길에 '희림 상사'라는 옷가게가 있는데 그 곳에서 [[한국철도공사]]의 제복을 구입할 수 있었으나 현역 코레일 수송원의 말에 따르면 현재의 신형 제복은 업체가 다르기 때문에 의미가 없어졌다는 듯. *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전쟁기념관]]이 근처에 있다. * 역 근처에 [[노숙자]]가 많이 산다. 그래서 그런지, [[최민수]]가 실제로 노숙자 연기를 위해 노숙 생활을 했던 곳이다. * [[돌아가는 삼각지]]를 부른 가수 [[배호]]에 대한 기억 공간이 역사 내부와 13, 14번 출구 앞 교통섬에 있다. 역사 안에는 벤치에 앉아 기타를 연주하는 [[배호]]의 모습과 그림으로 재현된 옛 삼각지 회전교차로가 전시돼 있고 교통섬에는 [[돌아가는 삼각지]] 노래비가 있다. == 연계 버스 == * 삼각지역(중)(03-007/03-008) * [[서울 버스 100]] * [[서울 버스 150]] * [[서울 버스 151]] * [[서울 버스 152]] * [[서울 버스 500]] * [[서울 버스 501]] * [[서울 버스 502]] * [[서울 버스 504]] * [[서울 버스 506]] * [[서울 버스 507]] * [[서울 버스 605]] * [[서울 버스 742]] * [[서울 버스 750|서울 버스 750A/B]] * [[서울 버스 752]] * [[서울 버스 N15]] * ~~[[공항버스 6001]]~~[* 현재 운행 중단.] * 삼각지역 11번 출구(03-328) * [[서울 버스 421]] * [[서울 버스 용산03]] * [[서울 버스 N75]] * 전쟁기념관(03-184/03-185) * [[서울 버스 110|서울 버스 110A/B]] * [[서울 버스 421]] * [[서울 버스 740]] * [[서울 버스 N72]] * [[서울 버스 N75]] * [[서울 버스 용산03]]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 [[분류:198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 구간]][[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분류:서울 용산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