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삼거역'''}}} || ||<-3>[include(틀:지도, 장소=삼거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amgŏ || || [[한자]] ||<-2><|2> 三巨 || || [[간체자]] || || [[일본어]] ||<-2> サムゴ || ||<-3> '''주소''' || ||<-3> [[함경남도]] [[영광군(함경남도)|영광군]] 수전로동자구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 (함흥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장진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 || ||<-3> '''개업일''' || || [[장진선]] ||<-2> 1934년 9월 1일 || ||<-3> '''열차거리표''' || || [[영광역(신흥선)|{{{#585858 {{{#!html
영광 방면
}}}}}}]][[하기천역|하기천]][br]← 5.0 ㎞ || '''[[장진선]]'''[br]삼 거 || [[사수역|{{{#585858 {{{#!html
사수 방면
}}}}}}]][[보장역|보 장]][br]3.6 ㎞ → || {{{+1 三巨驛 / Samgŏ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진선]]의 철도역. [[함경남도]] [[영광군(함경남도)|영광군]] 수전로동자구 소재. 삼거라는 이름이 어디에서 왔는지는 불명이다. 인근에 있었던 마을의 이름도 삼거리가 아닌 진흥리였고,[* 진흥리의 어원이 여기에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가 있어서였기 때문에, 전근대 임금과 관련된 지명이라서 북한 치하에서 수전로동자구로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북한은 [[조선]]왕조와 관련된 [[영흥군]], [[경흥군]] 지명도 바꾸거나 바꾸려 했다.] 산의 이름도 초방령(草芳嶺, 해발 655m)이기 때문. 한자 이름은 [[http://gall.dcinside.com/list.php?id=train&no=128018&page=1&bbs=|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역 주변 정보 == 인근에 있었던 마을인 진흥리는 [[장진호 전투]]시 미 해병대의 원진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원진이었다. 황초령 이남에 있기 때문에 여기까지 탈출하면 더 이상 미군을 막을 수 없었기에 중공군이 마지막으로 황초령에 전력을 집중시켰지만... 결과는 [[시망]]이었다. == 기타 == 이 역과 [[하기천역]] 사이의 선로는 [[하기천역]]과 [[룡수역]] 사이의 선로만큼이나 '''산의 그늘에 가려서''' 제대로 된 거리 측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신흥선]]의 경우는 산의 남쪽을 주로 달리고 있지만 이 [[장진선]]은 산의 북쪽을 달리거나 산 사이를 달리기 때문. 해발 고도는 393m로 이전 역인 [[하기천역]]과는 약 120m 차이. 24퍼밀로 급경사이다. 하긴 어차피 이 다음 역인 [[보장역]]의 높이는 600m이고 그 다음 역인 [[황초령역]]까지는 '''[[강삭철도]]로 돌파하기 때문에''' 상관없나? [[하기천역]]과의 사이에서 진행 반대 방향으로 웬 인입선이 하나 분기하는데, 목재 채취 및 수송을 위한 인입선으로 보인다. 탄광이라고 할 만한 시설도 없고 주변에는 아무 것도 없기 때문. [[영광역(신흥선)|영광역]] 기점 29.0km. [[분류:193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장진선]][[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