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삼공'''(三公)이란 [[중국]], [[한국]], [[일본]], [[월남]] 등의 [[동아시아]] 국가에서 근대 이전에 3개의 최고위 [[대신]](大臣)의 직위를 나타내던 말이다. === [[중국사]] === ==== [[주나라]] ==== 원래 삼공이란 중국의 고대국가인 [[주나라]] 관제에서 비롯되었다. 삼공의 시초인 주나라 시대에는 [[태사]](太師), [[태부]](太傅), [[태보]](太保)를 두고 삼공이라 불렀으며, 이들은 [[천자]]의 스승 역할을 했다. 실권은 없지만, 천자의 스승이었기 때문에 모든 신하들 중에서는 단연 최고직이라고 할 수 있었다. 천자의 [[딸]]을 시집보낼 때 이들 삼공이 [[중매]]를 섰기 때문에 [[공주]]라는 말이 생겨나기도 했다. ==== [[한나라]] ==== [include(틀:한나라의 공경)] [[전한]] 시대에는 [[승상]], [[태위]], [[어사대부]]를 삼공이라고 불렀다. 승상은 정치, 태위는 군사, 어사대부는 감찰을 담당했다. 다만 승상은 실질적으로는 삼공 이상의 대우를 받았다. [[후한]] 시대에는 [[사도(관직)|사도]], [[사마(관직)|사마]], [[사공(관직)|사공]]으로 구성된 최고위직으로 [[삼사]](三司)라고도 불렀다. 사도는 교화와 정치 전반을 담당, 사마는 군사, 사공은 ~~[[공돌이]]~~ 토목 건축을 담당했다고 한다. 후한 시기엔 실권이 [[상서(관직)|상서]]에게 이동하여서 명예직에 불과했으나 후한 말 권력 체계가 어지러워지면서 [[승상]], [[사마(관직)|대사마]] 등 개칭 전 또 다른 삼공의 명칭이었거나 상위에 위치하는 직급이 부활하며 명실상부한 최고 권력자들이 그 자리에 앉았다. 승상을 부활시킨 것은 [[조조]], 대사마가 부활된 것은 [[유우(삼국지)|유우]]에게 한 황실이 기존의 태위와 별도로 대사마 관직을 수여하면서부터이며, [[이각]]이 대사마에 있으면서 잠시 승상에 버금가는 위상을 갖추게 되었다. === [[한국사]] === ==== [[고려]] ==== [include(틀:고려의 삼사삼공)] 고려 왕조의 삼공은 '''[[태위]](太尉), [[사도(관직)|사도]](司徒), [[사공(관직)|사공]](司空)'''으로, [[삼사#三師]]의 세 직위, 삼공의 세 직위를 '삼사삼공(三師三公)'으로 통칭했다. 초기 고려는 삼사는 있었지만 삼공은 없었다. 대략 [[성종(고려)|성종]] 대에 삼공 직이 제정된 것으로 보이며 지위는 태위(太尉) > 사도(司徒) > 사공(司空) 순이었다. 삼사와 마찬가지로 실권이 없는 명예직이었다. 삼사와 똑같이 문[[산계#고려의 품계]] 품계에 따라 정1품이었으며, 행수법을 따른 수(守) 자를 붙여 수여되었다. 검교[* 직위에 이름만 걸칠 때는 검교를 붙여 명예직임을 명시한다.]직으로도 수여되어 검교태위, 검교사도, 검교사공이 있었다. 이들은 가짜 삼공이다. 삼사보단 격이 낮게 취급되었지만, 그래도 신하가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직위 중 한 종류였다. [[왕족]] 및 [[공신]]들에게만 임명됐다. 삼사삼공은 오랫동안 쓰이다가 [[원 간섭기]]의 영향으로 [[충렬왕]] 때 폐지되었고, [[공민왕]]이 재위 5년(1356)부터 11년(1362)까지 [[문종(고려)|문종]] 관제를 다시 실시하면서 부활했다가, 문종 관제가 폐지되면서 같이 없어졌다. ==== [[조선]] ==== [[조선]]에서는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을 아울러 삼공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들은 [[경연#經筵]], 예문관(藝文館), [[춘추관]], [[성균관]], [[관상감]](觀象監)의 영사(領事)와 [[지사#知事]], 각 [[청]]의 도제조직을 당연직으로 겸직하였다. === [[일본]] === [[일본]]에서는 태정관(太政官)의 수장이자 조정의 영수인 [[태정대신]]과 그 휘하의 좌대신(左大臣) 및 우대신(右大臣)을 일컬었다. [[메이지 유신]] 후 [[내각]]제가 도입되자 태정대신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으로 전환되었다. 최후의 태정대신 [[산조 사네토미]]는 [[구로다 기요타카]] 총리가 사임하자 후임 [[야마가타 아리토모]] 총리 취임 전까지 총리대신 권한대행을 지내기도 했다. === 관련 항목 === * [[사도(관직)]] * [[사마(관직)]] * [[태위]] * [[사공(관직)]] * [[삼국지/관직]] * [[중세 일본의 관위와 역직]]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삼공, version=44)] [[분류:관직]][[분류:문관]][[분류:중국의 관직]][[분류:고려의 관직]][[분류: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