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삼국지 14]][[분류:게임별 평가]]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삼국지 14 with 파워업키트)] [include(틀:삼국지 14)] [목차] == 평점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fff,#dddddd 플랫폼}}}''' || '''{{{#ffffff,#dddddd 메타스코어}}}''' || '''{{{#ffffff,#dddddd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romance-of-the-three-kingdoms-xiv-diplomacy-and-strategy-expansion-pack-bundle,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romance-of-the-three-kingdoms-xiv-diplomacy-and-strategy-expansion-pack-bundle/user-reviews, score=리뷰 부족)]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4|{{{#fff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romance-of-the-three-kingdoms-xiv-diplomacy-and-strategy-expansion-pack-bundle,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romance-of-the-three-kingdoms-xiv-diplomacy-and-strategy-expansion-pack-bundle/user-reviews, score=리뷰 부족)]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12; font-size: 0.75em" [[Nintendo Switch|{{{#ffffff Switch}}}]]}}}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romance-of-the-three-kingdoms-xiv-diplomacy-and-strategy-expansion-pack-bundle, g=, score=7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switch, code=romance-of-the-three-kingdoms-xiv-diplomacy-and-strategy-expansion-pack-bundle/user-reviews,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10926, title=romance-of-the-three-kingdoms-xiv-diplomacy-and-strategy-expansion-pack, rating=fair, average=66, recommend=33)] [include(틀:평가/Steam, code=1427650, rating=매우 부정적, percent=18, count=313, rating2=대체로 부정적, percent2=20, count2=10, date=2022-10-11)] [[삼국지 14/평가|오리지널]]에 비하면 평점은 2점올랐고 평론가 추천도는 10%정도 올랐다. == 평가 == 삼국지14 오리지널의 평가는 호불호가 갈리는 편으로 파워업키트 출시 전, '게임 플레이 방식이 완전히 바뀔 것이다[* 정작 이를 실현한 게임은 경쟁작인 삼탈워인데, 그것도 DLC가 아닌 '''무료'''로 조조와 원소의 버프 등 패치를 해줬다!]', '기대해도 좋다'는 식으로 입을 털었으나 정작 뚜껑을 열고 보니 내용물은 부실했고, [[삼국지 시리즈]]에 사실상 사형 선고를 내려버린 '''시리즈 최악의 [[똥겜]]'''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같은 날에 출시된 2020년의 최대 기대작이었었으나 혹평을 받은 [[사이버펑크 2077]]에 사실상 [[명예로운 죽음]]을 당하고 묻혀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있지만, 스팀의 평가는 '''매우 부정적'''이다. 다른 게임이었으면 자잘한 무료 버전 업데이트 정도로 끝날 정도의 컨텐츠 추가를 6천 엔이나 받고 팔아먹었는데, 그 값을 못 한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6천 엔이면 다른 AAA게임 하나 사는 값과 큰 차이가 없는데 뚜껑을 열어 보니 역대 파워업 키트와 비교해도 빈약하기 짝이 없는 규모이기 때문. 이 정도면 플레이어가 만든 모드 몇 개 적용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다.[* 스팀 가격은 39,800원으로 전작 13의 파워업 키트도 똑같은 가격으로 출시되었다.] === 혹평 === 일단 문제는 추가된 컨텐츠가 있기는 하지만 나사가 빠진 느낌이 든다는 것. 일단 파워업키트에서 추가된 컨텐츠를 모두 지역 이점에 종속시켰는데, 그러다 보니 해당 주를 점령하지 않은 군주들로 플레이한다면 편의성 정도를 제외하고는 본편과 큰 차이가 없다. 가령 유비는 평원→서주→여남→형주→익주로 근거지를 옮기는데 여기서 주요 추가 콘텐츠인 이민족과의 교역을 초반부터 즐길 수 있는 때는 익주 평정 이후 시나리오 뿐이다.[* 그런데 유비는 역사적으로 입촉하기까지 약소했던 적이 많아서 참작의 여지가 있다][* 굳이 인기 군주에게 초반부터 그런 컨텐츠를 즐기게 하려면 유저가 시나리오를 만들거나 설정을 변경하게 하면 되는데 현재까지 정식적으로 유저 에디터를 제공하거나 하지 않았다. 현재 공식적으로 가능한 방법은 초기 설정에서 영토 설정을 랜덤으로 해서 운 좋게 지역이점을 얻는 방법밖에 없으며, 이것도 영토가 어느정도 있는 군주 한정이다.] PK에서 추가된 점을 초반부터 모두 즐길 수 있는 군주는 반동탁 시나리오에서의 동탁과 유장(유언), 장로, 사섭 정도 뿐인데, 이들은 인기가 별로 없다. 인기 있는 군주를 꼽자면 장안을 먹은 이후의 조조(무역 가능+지역 이점), 강동 지방을 차지한 이후의 손책, 손권(이민족 외교 가능), 원소(이민족 외교 가능(하북 제패 이후)+지역 이점(업 점령 이후))가 있다. 오리지널에서도 있었던 문제지만, 어느 정도 플레이어 세력이 강해지면 주변 세력에서 친선 선물을 가지고 오는데 실컷 받아먹다 보면 동맹 요청을 하러 온다. 그걸 거부하면 친선도가 떨어지는데 그걸 또 올릴 거라고 또 친선 선물을 들고 온다. 이걸 반복하면 그 세력은 말라있고 심지어는 높은 친선도로 전투 없이 권고 흡수도 가능하다. 그야말로 갑질 플레이인데, 어찌보면 현실적이기도 하겠지만 난이도에는 심각한 악영향인 꼼수임에도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이민족도 있기는 하고 이민족 군대도 데려가 쓸 수 있지만(인공지능도 활용하긴 한다) 대체로 자기 진영에 짱박혀있고 공격을 오지 않아 존재감이 별로 느껴지지 않는다. 그냥 이민족 안건드리고 천하통일해도 무방할 정도, 적대 관계가 되면 처들어오기도 하는데 아주 가끔 처들어 올 뿐이며,[* 난이도가 높아지면 처들어오는 양이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외교 관계를 보통 이상을 만드는 걸로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적 쪽에서 이민족과 이간질시키는 경우가 있어서 우호 관계를 하락시키는 경우도 있는데, 이민족과 접근하지 않아 외교가 안되는 데 이러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 이민족과 접근하면 꽤 규모있게 이민족이 처들어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일단 병사를 배치해서 한번 막은 뒤 외교가 가능해지면 금을 여러번 꽂아주면 해결할 수 있다. 교역에서는 아이템과 전법을 얻을 수 있고 교역을 갔다 온 장수들이 성장하기도 하는데 장수 갔다오고 돌아오는 게 끝이라 허전한 면이 있다. 결국 삼국지 14 오리지널을 호의적으로 평했던 플레이어들조차 이건 심하지 않느냐는 반응이 많을 정도. 플레이 방법이 바뀔 정도의 변화라고 예고를 했던 것이 역효과를 낸 셈이다. 게다가 오리지널의 플레이 기록과 연동되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다. === 호평 === 그나마 긍정적인 부분을 찾아 보자면 인터페이스가 단순하여 [[Nintendo Switch|스위치]]에 적합하다는 것. 이 때문에 스위치판은 그나마 평가가 괜찮다. 이민족 정벌의 경우 초반부터 하는 건 무리라 사실상 후반~최후반에 왕~황제 관직[* 안정적으로 4~5 장수의 전법을 발동시키기 위해서도 그렇고 한 장수당 소속된 병사가 많은 편이 유리해서이다]을 받은 상태에서 해야 할 텐데, 전략이나 전법이나 진형 구성도 신경써서 해야 하는 편이라 나쁘지 않다.[* 혼란이나 철벽, 경파, 격려, 고무, 치료와 같은 전법은 필수라 할 만큼 유용하며, 버프를 주거나 병력을 회복(특히 여러 부대)시키는 전법 또한 중요하다. 병력을 추가하거나 회복하자는 제안도 쓰는 게 좋다. 추천할 만한 진형은 어린, 장사, 방원, 안행 정도가 있다. 전법 같은 경우에는 무역에서 얻을 수 있는 구갑대열이나 아수라진, 안식사법을 얻으면 매우 강력해서 이쪽이 우선된다.] 우리편 군대뿐 아니라 친밀한 관계거나 이미 복종된 이민족 군대를 끌고 와서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실상은 장수만 이민족 장수이고 우리 편 병사들이 이민족화(?)가 되어 이민족 병사처럼 되는 거기는 하다.] 이민족 군대+ 우리 군대란 구성을 짜서 공격할 수도 있다. 이민족 군대는 가급적 그 지형에 버프를 받는 이민족 군대로 꾸리는 게 좋다. 제대로 하려면 어지간한 숫자로는 안되고 20~30만 정도를 가지고 공격하는 게 좋고, 산악지대나 늪지대로 원정을 가서 공격하기 때문에 군량 보급도 신경 쓸 필요가 있다. === 총평 및 반응 === 코에이 테크모의 행보에 실망한 한국과 중국에서는 혹평을 받은 것도 모자라 오리지널을 호평하던 그 일본에서조차 가혹한 평가를 받았는데, 한 마디로 이 정도로 비싼 가격을 매기고 팔 생각을 하다니 대단하다는 것. 또 이벤트 편집 기능에서 신무장을 등장 인물로 설정할 수 없다[* PK 1.0.6, 즉 3달을 넘길 때 돼서야 추가되었다.]는 점도 지적받았다. 중국에서도 차라리 내지 않는 게 나을 정도로 엉망이라거나 새로 추가된 점이 게임에 큰 변화를 주지 못한다는 것, 오리지널 데이터와 동기화가 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근거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 스위치판은 타 기종에 비해 평가가 높은 편인데, 게임의 단순함이 휴대기 모드와 잘 맞는다는 점과 터치 입력을 지원해 조작성을 높인 부분이 비교적 호평을 얻고 있다. 아마존 재팬 기준 PS4판이 별 3개, PC판이 별 2개인 점을 볼 때 별 3개 반으로 점수가 그나마 가장 좋은 편이다. 얼마나 혹평을 받았는지, 스팀 기준 경쟁작이자 엄청난 혹평을 받았던 [[토탈 워: 삼국]] 팔왕의 난 DLC보다도 더 못한 평가를 받고 있는데, 팔왕 DLC는 37%의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14 PK는 그보다 더한 '''14%'''의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결론적으로 게임 자체로는 꽤나 즐길 수 있는 데다 구작에 비해 개선된 부분이 조금이나마 있으나 시대성 및 작품성은 한 없이 뒤떨어진 주제에 쓸데없이 비싼 물건이며, 희대의 똥겜인 12과 비교하자면 확실히 낫지만 그나마 명작의 오마주라 설레발을 치던 9, 11과 비교하자면 절대 좋게 평가는 못 할 수준이다. 이 게임에 충성도가 높거나 취향이 맞은 유저들을 제외한 나머지 유저들은 게임 템포가 너무 느려서 게임 시스템에 어느 정도 적응할 시점이면 엔딩을 보기 전에 이미 게임에 지쳐버려 더 이상 하기가 귀찮게 된다. 최적화도 개판이라 마우스 클릭이 씹히는 건 예사이며, DLC 정책은 아예 논할 가치조차 없다. == 참고 문서 == * [[삼국지 14/평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삼국지 14 with 파워업키트, version=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