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관청]][[분류:조선군]] [include(틀:조선의 중앙 정치 기구)] [목차] [clearfix] {{{+1 [[三]][[軍]][[府]] }}} == 개요 == [[조선]] 초기 군무 기능[* 군령(軍令)과 군정(軍政)]을 총괄하던 [[관청]]. == 명칭의 변화 == [[조선]] 초기에는 각 관서의 업무 분장 및 조직 개편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면서 군무 기능을 담당하는 관서의 명칭 또한 빈번하게 바뀌었다. 그래서 삼군부라는 이름 자체는 1400년 ~ 1401년에 잠깐동안 사용되었다. 하지만 군무 기능을 전담하는 기구는 여전히 [[조선시대]] 내내 존속한다. 의흥삼군부에서 시작된 삼군부의 군무 기능 전담 기구는 승추부를 거쳐간 후 [[병조]]로 흡수된다. 하지만 군무 기능 중 [[군령권]]의 경우 병조에 온전히 흡수되지 못하고 오위진무소로 남아있게 되고 이후 오위도총부로 개칭되어 [[경국대전]]에 수록된다. 군무 기능 중 [[군정권]]은 병조가, [[군령권]]은 삼군부가 담당함에 따라 두 기구 사이의 알력이 존재하였으나 [[세종(조선)|세종]] 시기 세종이 병조의 손을 들어주면서 병조의 우위로 귀결된다. [[을묘왜변]] 이후 [[비변사]]가 상설화되면서 군권을 대부분 흡수하였으며, [[비변사]]가 [[임진왜란]] 이후 [[의정부]] 및 [[6조]]의 권한을 상당수 흡수하면서 삼군부와 의정부의 성격이 통합된 최고 군무 및 정무 기구로 기능한다. ===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 1391년 권신 [[이성계]]의 건의에 따라 [[공양왕]]이 이를 받아들여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두었다. 그리고 최고 군 지휘관인 판삼군부사·지삼군부사 등은 총제(摠制)라 하였다. 도총제사(都摠制使)는 [[이성계]]가 임명되었으며, 도총제사 아래 삼군총제사(三軍摠制使)에는 [[조준(조선)|조준]], [[정도전]]이 임명되어 [[이성계]] 일파가 군권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이후 조선이 건국되고 1393년 9월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는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개칭되었다. 개국 공신 [[정도전]]이 판의흥삼군부사(判義興三軍附事)[* 의흥삼군부의 판사, 이는 의흥삼군부의 장을 의미한다.]에 임명되면서 삼군부가 최고 군무 기관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삼군부는 [[도평의사사]] 청사의 동쪽 맞은편에 청사를 마련하여 확장하였다. 이는 정무 기능과 군무 기능을 분리한다는 원칙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지만 아직 [[사병]]이 혁파되지 않은 시점이라 삼군부의 위상은 한계가 있었다. === 삼군부(三軍府) === 그리고 1400년 ([[정종(조선)|정종]] 2년) 사병을 혁파한 [[이방원]]의 뜻에 따라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개편하면서 동시에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에 [[중추원]](中樞院)에서 관장하던 일부의 군무를 더하여 삼군부(三軍府)로 개칭하였다. 그 결과 삼군부는 최고 군무 기관의 역할을 확고히 하게 되었다. 다만 삼군부의 관원은 의정부의 관원에 임명될 수 없다는 원칙을 두어 정무 기능과 군무 기능의 분리를 다시 한번 확고히 하였다.[* 이 원칙은 임진왜란 이후 [[비변사]]가 최고 정무 기구의 역할을 겸하면서 무너진다.] === 승추부(承樞府),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 1401년([[태종(조선)|태종]] 1년) 7월 삼군부(三軍府)에 왕명 출납 기능을 더해 승추부(承樞府)로 개편되었다.[* 왕명 출납 기능은 이후 [[승정원]]으로 이어진다.] 이후 삼군부의 명칭은 다시 쓰이지 않았다. 하지만 승추부(承樞府) 하에서도 군사력의 유지 및 강화를 위해서 삼군의 총제(摠制)는 존속하였다. 1403년 승추부(承樞府)는 다시 왕명 출납을 담당하는 [[승정원]]과 군령권을 행사하는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로 다시 분리되었으며,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는 1409년 다시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로 명칭이 바뀌었다. === 오위진무소(五衛鎭撫所),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 1451년([[문종(조선)|문종]] 1년) 중앙군 체제를 12사(司)에서 5사(司)로 개편하면서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역시 오위진무소(五衛鎭撫所)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467년([[세조(조선)|세조]] 12년) 5사가 다시 [[오위]]로 재편되면서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명칭이 최종 확정되었다. [[오위]]는 중앙군 뿐 아니라 지방군까지 어우르는 편제였길래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가 전군의 [[군령권]]을 가지게 되었으며, [[군정권]]은 [[병조]]의 소관이었다. 하지만 [[임진왜란]] 이후 [[오위]]가 해체되면서 중앙군이 [[오군영]]으로 재편되고 국정최고기구로 [[비변사]]가 부상하자,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의 관직은 종친을 위한 명예직으로 전락하고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의 군령권 역시 유명무실해진다. === 삼군부(三軍府)의 재설치 === 1865년([[고종(대한제국)|고종]] 2년) 새로이 집권한 [[흥선대원군]]은 국경과 해안에서의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삼군부(三軍府)를 재설치한다. 그러나 삼군부(三軍府)가 기능을 시작하기 시작한 것은 [[비변사]]가 혁파된지 3년만인 1868년부터였다. 삼군부는 북병사[*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동래부사의 인사권을 확보하였으며 각 군영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으면서 조선 국방의 핵심 기관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1880년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면서 삼군부는 폐지되었으며, 2년후인 1882년 6월 재설치되었다가 6개월만인 1882년 12월 영구히 폐지되고만다. === 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삼군부 총무당)]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삼군부 청헌당)] == 대중매체에서의 삼군부 == === [[용의 눈물]] === [[용의 눈물]]의 경우 삼군부가 [[무인정사]]에 대한 사건을 다룬 제52화에서 중요하게 등장한다. 실제 역사에서는 의흥삼군부가 정식명칭이지만, 극 중에서는 간단하게 삼군부라고 부르고 있다. 삼군부는 임금의 거처인 [[대전]]과 함께 정안대군([[이방원]])과 그를 따르던 무리들이 장악해야 할 최중요관청으로 분류된다. 당시 최고의결기관인 [[도평의사사]]는 상대적으로 뒷전이었다는 것이 의외. 무인정사 초기에 삼군부는 정안대군을 역적이라 부르며 그들을 진입하려고 들었다. 하지만 당시 움직일 수 있는 병력은 [[이숙번]] 휘하의 장병들뿐이었기에 이숙번에게 군령을 하달하여 정안대군 진압을 명령한다. 하지만 이숙번은 이미 정안대군과 내통하고 있었고, 이숙번은 오히려 정안대군의 사병에 가세하여 역으로 삼군부를 장악하였다. 여기까지의 전개를 보면 조선왕조실록의 기록보다는 오히려 [[12.12 군사반란]]의 전개과정과 더 흡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드라마 방영 당시 신문 기사에 실린 인터뷰에서 작가가 12.12와의 비교를 언급하기도 했다. 정안대군은 삼군부에서 [[살생부]][* 실제 [[무인정사]]에서는 살생부가 존재하지 않았다. 살생부는 훗날의 [[계유정난]]에서 등장하지만, 여기서는 극중 편의를 위해 살생부가 있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하필 [[정안대군]]을 연기한 [[유동근]]은 이전에 계유정난을 일으킨 [[수양대군]]을 연기한 적이 있으니 그것의 오마주이기도 하다.]를 준비하였으며 그리고 삼군부의 직인이 찍히 군령서를 조정 신하들에게 전달하여 모든 백관을 소집한다. 다음날 아침 [[살생부]]에 따라 [[정도전]]측 신료를 처단한다. 문제는, 묘사가 대한민국 현대사의 [[쿠데타]]를 오마주한듯한 전개를 하다보니 삼군부와 대궐이 [[육군본부]]와 [[국방부]]마냥 떨어져있는것 같이 묘사되고, 이방원의 군대가 둘로 나뉘어서 허장성세까지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사실 실제 역사에서 [[경복궁]]과 삼군부는 딱 붙어있었다. 본래 육조거리의 제일 첫 건물이 삼군부와 도평의사사였다. 삼군부는 거의 [[광화문]]과 붙어있다시피 했던 건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