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fff {{{+2 '''삼랑진역'''}}}}}} || ||<|3> [[서울역|{{{#!html
서울 방면}}}]][[밀양역|밀 양]][br]← 12.5 ㎞ || [[경부선|{{{#!html
경부선}}}]][[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_All White.png|height=15]]]] || [[부산역|{{{#!html
부산 방면}}}]][[물금역|물 금]][br]18.3 ㎞ → || ||<|2> [[무궁화호|{{{#!html
경부선
무궁화호
}}}]] || [[부산역|{{{#!html
부산 방면}}}]] || ||<|2> [[원동역|원 동]][br]9.1 ㎞ → || ||<|2> [[목포역|{{{#!html
목포 방면}}}]][[한림정역|한림정]][br]← 11.2 ㎞ ||<|2> [[무궁화호|{{{#!html
경전선
무궁화호
}}}]] || || [[부전역(동해선)|{{{#!html부전 방면}}}]] || || [[광주송정역|{{{#!html
광주송정 방면}}}]][[진영역|진 영]][br]← 14.1 ㎞ || [[남도해양관광열차|{{{#!html
S-train}}}]] || [[부산역|{{{#!html
부산 방면}}}]][[물금역|물 금]][br]18.3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삼랑진역, 너비=100%, 높이=100%)]}}} ||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amnangjin || || [[한자]] ||<-2><|2> 三浪津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三浪津, ruby=サムナンジン)] || ||<-3> '''{{{#ffffff 주소}}}''' || ||<-3>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 72 (송지리)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3급)[br]([[밀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경부선]] ||<-2><|2> [[한국철도공사]] || || [[경전선]] || ||<-3> '''{{{#ffffff 개업일}}}''' || || [[경부선]] ||<-2> 1905년 1월 1일 || || [[경전선]] ||<-2> 1905년 5월 26일 || || [[ITX-새마을|[[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width=50px]]]] ||<-2> 2022년 11월 5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1984년 1월 1일 || || [[남도해양관광열차|{{{#ffffff S-train}}}]] ||<-2> 2013년 9월 27일 || ||<-3> '''{{{#ffffff 철도거리표}}}''' || || [[서울역|{{{#!html
서울 방면}}}]][[미전신호소|미 전]][br]← 1.5 ㎞ || '''[[경부선]]'''[br]삼랑진 || [[부산역|{{{#!html
부산 방면}}}]][[원동역|원 동]][br]9.1 ㎞ → || || {{{#!html
기점}}} || '''[[경전선]]'''[br]삼랑진 || [[광주송정역|{{{#!html
광주송정 방면}}}]][[낙동강역|낙동강]][br]1.7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랑진역.jpg|width=100%]]}}}|| || {{{#ffffff '''현 역사(1999년 준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랑진역 구역사.jpg|width=100%]]}}}|| || {{{#ffffff '''구 역사(1940년 준공, 1988년 철거)'''}}} || [목차] [clearfix] == 개요 == >'''역 이름이 지역의 이름으로''' >삼랑진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현재의 역사는 1940년에 이어 1999년에 신축 준공된 역사이다. 삼랑진역은 경부선의 역인 동시에 경전선의 시발역이다. 삼랑진역에서 시작한 경전선은 남해안을 동서방향으로 횡단하며, 경상도와 전라도를 연결하는 총 300.6㎞의 철도이다. 1905년 5월 25일 경부선이 개통되었던 다음날 삼랑진~마산 구간의 철도가 개통된 것이 그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삼랑진역이 위치한 곳은 과거 하동면이라 불리던 곳이었다. 그러나 삼랑진역이 유명해지면서 1928년 하동면이 삼랑진면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지역명을 따서 역명이 생기는 경우는 많지만, 역명이 지역명이 된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로, 그만큼 삼랑진역이 지역에게 중요했던 곳이었기 때문이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한국 철도사상 2번째이자, 현존하는 역 중 가장 오래된 분기역으로[* 최초의 분기역은 [[영등포역]]이었으나, [[구로역]] 신설로 인해 분기역 지위에서 벗어났다.], [[경부선]]과 [[경전선]]이 나눠지는 곳이다.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천태로(경상남도)|천태로]] 72 (송지리)에 위치해 있다. == 역 정보 == [[경부선]]이 처음 놓였을 때부터 영업을 시작한 역 중 하나. [[밀양역]]의 위상이 높아지기 전에만 해도 경부선 열차가 필수 정차했다. 하루에 [[무궁화호]] 46편(상하행 각각 23편씩)이 운행한다. 이 중 10편(상하행 각각 5편)은 [[경전선]]으로 운행한다. 이 역 남쪽으로 [[낙동강]]이 흐르고 있다. [[남도해양관광열차|S-train]] 역시 왕복 2회 정차한다. 2022년 11월 05일부터 시각표 개정에 따라 [[ITX-새마을]][* 상행: #1004, 하행: #1003, #1007] 열차가 왕복 3회 정차한다.[* 과거 2004년 4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3달여 간 [[새마을호]]가 섰던 적이 있었다. 18년 만의 부활인 셈.] 이 역에 가면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받을 수 있다. 이 역과 [[낙동강역]]의 스탬프. [[낙동강역]] [[명예역장]]님이 만드신 스탬프가 있었는데 낙동강역이 영업중단되고 역사까지 철거되면서 이 역으로 스탬프를 옮겨왔다. 이 역의 스탬프도 있다. 단 이 역의 스탬프는 [[한국철도공사]] 본사에서 제작한 것이 아니라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에서 만든 것. [[경전선]]의 기점이기도 한데, 경전선이 복선전철화가 되었지만 이 역에서 [[낙동강역]]까지의 선로는 단선전철화만 되었다. 그래서 [[경전선]]을 경유하여 [[부산역|부산]]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 [[평면교차]]를 통하여 경부선에 진입한다. 어차피 운행하는 열차가 많지 않은데다 추후 [[부전-마산 복선전철|경전선 부전~마산 구간]]이 개통되면 삼랑진 쪽 선로는 지금보다 더욱 여유가 생길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도 충분히 운행이 될 듯 하다. 이 역은 1984년 열차등급개편 당시부터 [[무궁화호]] 정차역이었다. 지금은 이 역보다 위상이 높은 [[청도역]], [[물금역]]보다도 무궁화호 취급의 역사가 길다. [[경전선 광역전철]]이 완공되어 경전선이 신선으로 운행하게 되면 이 역부터 [[진례역]]까지는 [[부산신항선]]으로 편입될 예정이다. === 명칭 === 이 역은 [[삼랑진읍]]에 있어서 역이름이 삼랑진역이 된 것이 아니라 반대로 삼랑진역이 지어지면서 동네 이름도 삼랑진면(1928년, 당시에는 면. 1963년에 읍으로 승격)으로 바뀐 것이다. 즉 대부분의 기차역이 그 동네의 지명을 따서 역명을 짓는 것과는 달리 역이 지어지면서 그 동네의 이름이 역명을 따라 바뀌었다. 본래 삼랑진읍의 옛 지명은 밀양군 하동면(下東面)이었다. '삼랑진'이라는 명칭 자체는 이 읍에 있는 삼랑리에서 따온 것이다. 삼랑리는 옛날에 조창이 있었던 유서깊은 곳인데, 낙동강과 밀양강이 만나고, 거기에 큰 조차로 인해 바닷물도 역류해와 3개의 물결이 있다는 데서 이름이 지어졌다. 현재는 역이 있는 송지리가 읍의 중심지이다. 삼랑리에는 [[낙동강역]]이 위치하여 경전선-[[미전선]] 간의 연결업무를 수행중이다. 역 이름을 읽고 쓸 때 주의해야 한다. 흔히 '삼{{{+1 량}}}진'으로 오인하기 쉬운데, 사실은 '삼{{{+1 랑}}}진'이 맞다. 한자도 '물결 {{{+1 랑}}}'(浪) 자로, 풍랑(風浪)이나 낭만(浪漫) 할 때 바로 그 글자이다. 비슷한 예로 [[서울특별시]] [[중랑구|중'''랑'''구]]나 [[명랑만화|명'''랑'''만화]], [[맥랑시대|맥'''랑'''시대]]가 있다. === 시간표 === ==== 상행 ==== |||||||| [[파일:ITX-새마을 BI.svg|width=68]]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5:48 || 무궁화 || 1202 || 서울 || || 06:17 || 무궁화 || 1204 || 서울 || || 07:08 || 무궁화 || 1951 || 목포 || || 07:35 || 무궁화 || 1206 || 서울 || || 08:11 || 무궁화 || 1208 || 서울 || || 08:56 || ITX-새마을 || 1004 || 서울 || || 09:33 || 무궁화 || 1354 || 대전 || || 10:24 || 무궁화 || 1210 || 서울 || || 11:07 || 무궁화 || 1941 || 순천 || || 11:47 || 무궁화 || 1342 || 동대구 || || 13:18 || 무궁화 || 1212 || 서울 || || 13:52 || 무궁화 || 1943 || 순천 || || 14:13 || 무궁화 || 1214 || 서울 || || 15:17 || 무궁화 || 1952 || 부전 || || 15:53 || 무궁화 || 1356 || 대전 || || 17:27 || 무궁화 || 1358 || 대전 || || 18:59 || 무궁화 || 1218 || 서울 || || 19:32 || 무궁화 || 1344[*평일 평일에만 운행] || 동대구 || || 19:39 || 무궁화 || 1945 || 순천 || || 20:43 || 무궁화 || 1360 || 대전 || || 21:53 || 무궁화 || 1362 || 대전 || |||||||| [[남도해양관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43d68; font-size: .9em" {{{#ffffff '''남도해양관광열차'''}}}}}}]] (상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20:23 || 남도해양관광열차 || 2526[*관광 목 ~ 월요일만 운행] || 부산 || ==== 하행 ==== |||||||| [[파일:ITX-새마을 BI.svg|width=68]]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6:57 || 무궁화 || 1341[*평일] || 부산 || || 08:03 || 무궁화 || 1343 || 부산 || || 08:29 || 무궁화 || 1351 || 부산 || || 08:44 || 무궁화 || 1942 || 부전 || || 09:25 || 무궁화 || 1353 || 부산 || || 10:04 || 무궁화 || 1355 || 부산 || || 11:06 || 무궁화 || 1201 || 부산 || || 11:39 || 무궁화 || 1944 || 부전 || || 12:19 || 무궁화 || 1205 || 부산 || || 13:08 || ITX-새마을 || 1003 || 부산 || || 15:16 || 무궁화 || 1952 || 부전 || || 16:19 || 무궁화 || 1357 || 부산 || || 16:52 || ITX-새마을 || 1007 || 부산 || || 18:15 || 무궁화 || 1209 || 부산 || || 19:04 || 무궁화 || 1211 || 부산 || || 19:33 || 무궁화 || 1213 || 부산 || || 19:53 || 무궁화 || 1946 || 부전 || || 21:15 || 무궁화 || 1359 || 부산 || || 22:43 || 무궁화 || 1215 || 부산 || || 22:57 || 무궁화 || 1217 || 부산 || |||||||| [[남도해양관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43d68; font-size: .9em" {{{#ffffff '''남도해양관광열차'''}}}}}}]] (하행) |||||||| || 시간 || 열차종별 || 열차번호 || 종착역 || || 08:52 || 남도해양관광열차 || 2525[*관광] || 광주송정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남도해양관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074286; font-size: .9em" {{{#ffffff '''S−train'''}}}}}}]]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 2004년 ||<|10> || 1,193명 ||<|10> || || || 2005년 || {{{#f55839 1,370명}}} || || || 2006년 || 1,130명 || || || 2007년 || 1,172명 || || || 2008년 || 1,168명 || || || 2009년 || 1,227명 || || || 2010년 || 1,251명 || || || 2011년 || 1,278명 || || || 2012년 || 1,195명 || || || 2013년 || 1,238명 || || || 2014년 || 1명 || 1,214명 || 1,215명 || || || 2015년 || 1명 || 1,152명 || 1,153명 || || || 2016년 || {{{#074286 10명}}} || 1,144명 || 1,154명 || || || 2017년 || 6명 || 1,128명 || 1,134명 || || || 2018년 || 6명 || 1,090명 || 1,096명 || || || 2019년 || 7명 || 1,030명 || 1,037명 || || || 2020년 || 2명 || 699명 || 701명 || || || 2021년 || 0명 || 726명 || 726명 || || || 2022년 || || || || || ||<-5> {{{#ffffff '''출처'''}}} || ||<-5>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철도]] 외의 교통이 불편하고 철도가 대부분의 행선지를 커버하기 때문에 철도강세인 [[밀양시]] 중에서도 삼랑진읍은 철도가 초강세이다. 따라서 인구 수에 비해 철도이용객이 대단히 많은 편이다. 유가변동과 배차감편에 의한 영향력이 타 철도역에 비해 매우 적다. 오히려 고유가 시기에도 이용객 수는 감소하였다. * [[경전선]]의 기점역이지만 경전선 방면 수요 및 배차는 거의 없으며, 경전선 무궁화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경부선]] 경유 [[동대구역|동대구]]~[[마산역|마산]]([[진주역|진주]]) [[무궁화호]]는 이 역에 오지 않는다. 삼랑진역에 정차시키려면 방향을 바꿔야 하고, 평면교차 문제 때문에 [[미전신호소]]에서 [[미전선]]을 경유해 바로 경전선으로 진입한다. 그나마 정차하는 경전선 경유 무궁화는 [[부전역(동해선)|부전]]~[[목포역|목포]], 부전~[[순천역|순천]] 전역정차 근성열차 뿐. 경전선 방면 배차는 김해시 소재의 바로 다음 정차역인 [[한림정역]]이 더 많다. * 삼랑진읍에서 두각을 보이는 개발이 없어 이용객이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 [[구포역]], [[화명역(경부선)|화명역]], [[물금역]], [[밀양역]] 등에서 [[삼랑진고등학교]]로 출퇴근하는 교직원이나 학생들 통학수요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 기차여행을 목적으로 삼랑진역 부근이 경치가 좋기도 하고 해서 이곳에 숙소를 잡으려는 경우가 있을텐데, 생각외로 숙박시설이 많지 않고 하룻밤 머물기가 마땅치 않다. 차라리 [[물금역]] 쪽이 개발이 많이 되고 맛집, 모텔, 호텔 등이 많아 그쪽에다 짐을 푸는 게 훨씬 낫다. == 승강장 == || [[파일:20230606 삼랑진역 한림정방면.jpg|width=90%]] || || 한림정 방향 승강장 || || [[파일:20230606 삼랑진역 밀양방면.jpg|width=90%]] || || 밀양 방향 승강장 || || [[파일:20230606 삼랑진역 원동방면.jpg|width=90%]] || || 원동 방향 승강장 || ||<-7> ↑ [[한림정역|한림정]] ||<-9> ↑ [[밀양역|밀양]] || || ㅣ || ㅣ || ㅣ || ㅣ || {{{#ffffff 1}}} || {{{#ffffff 2}}} || ㅣ || ㅣ || {{{#ffffff 3}}} || {{{#ffffff 4}}} || ㅣ || ㅣ || {{{#ffffff 5}}} || {{{#ffffff 6}}} || ㅣ || ㅣ || ||<-16> [[원동역|원동]] ↓ || || {{{#ffffff 1}}} ||<|2> [[경전선]] ||<|2>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남도해양관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43d68; font-size: .9em" {{{#ffffff '''S-train'''}}}}}}]] ||[[마산역|마산]]·[[순천역|순천]]·[[목포역|목포]] 방면 || || {{{#ffffff 2}}} ||[[구포역|구포]]·[[부전역(동해선)|부전]]·[[부산역|부산]] 방면 || || {{{#ffffff 3·4}}} ||<|2> [[경부선]] ||<|2>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5]]]]·[[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동대구역|동대구]]·[[대전역|대전]]·[[서울역|서울]] 방면 || || {{{#ffffff 5·6}}} ||[[물금역|물금]]·[[구포역|구포]]·[[부산역|부산]] 방면 || == 연계교통: 시외버스 == [include(틀:경상남도의 버스 터미널)] ||<-3> '''{{{#ffffff 밀양}}}'''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ba66a4> '''[[밀양시외버스터미널|{{{#ffffff 밀양}}}]]''' || 일 5회 || [[밀성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 → 밀양}}}'''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ba66a4> '''[[밀양시외버스터미널|{{{#ffffff 밀양}}}]]''' || || ₩ || ||<#ba66a4>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 || ||<-3><(> 예림 - 금동 - 평촌 - 화성 - 거족 - 미전 경유(1일 4회), 임천 - 용성 - 칠성 - 미전 경우(1일 1회) [[시외버스 밀양-김해]] 참조. || }}} || ||<-3> '''{{{#ffffff 김해}}}'''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ba66a4> '''[[김해여객터미널|{{{#ffffff 김해}}}]]''' || 일 5회 || [[밀성여객]]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김해 → 밀양}}}'''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ba66a4> '''[[김해여객터미널|{{{#ffffff 김해}}}]]''' || || ₩ || ||<#ba66a4>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 || ||<-3><(> 낙동 - 독산 - 송촌 - 성포 - 생철 - 마현 - 생림 - 사촌 - 나전 - 삼계 경유, [[시외버스 밀양-김해]] 참조. || }}} || == 기타 == || [[파일:20230606 삼랑진역 급수탑.jpg|width=90%]] || || 경전선 승강장에서 본 급수탑의 모습. 담쟁이덩굴로 둘러싸여 있어 으스스한 느낌을 준다. || ||<-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26]]]]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50호 ||<|2> ← || '''51호''' ||<|2> → || 52호 || || [[영천역]] 급수탑 || '''삼랑진역 급수탑''' || 구 서울특별시청사 || 2003년 이 역에 있는 [[급수탑]]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역 구내에 새마을호 객차가 방치되다시피 있었는데, 이란의 모 사철회사로 매각될 차량들로 부품취거나 임의 이동이 금지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2018년 기준으로 회송 #7412 삼랑진발 신탄진행으로 [[대전조차장]]으로 끌려간 거 같다. 이광수의 소설 [[무정(소설)|무정]]에서 수해가 난 곳이 이 역 근처라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경부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전선의 역 목록)] [[분류:190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밀양시의 철도역]][[분류:분기역]][[분류:경부선의 철도역]][[분류:경전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