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포켓몬스터/기술/주요 기술)] [목차] == 개요 ==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포켓몬스터/기술|기술군]]으로, [[냉동빔(포켓몬스터)|냉동빔]], [[10만볼트]], [[화염방사(포켓몬스터)|화염방사]]의 세 가지를 말한다. * 타입: 불꽃, 얼음, 전기 * 분류: 특수 * 위력: 90[* 5세대까지는 위력이 95였다.] * 명중: 100 * PP: 15[* 냉동빔은 10.] * 효과: 10%의 확률로 대응하는 상태이상을 건다.(얼음-냉동, 번개-마비, 불꽃-화상). 타입과 부가 효과 이외에는 모든 수치가 동일하다. '''메인 웨폰의 기준선이 되는 기술군이라고 할 수 있으며,''' 준수한 위력과 뛰어난 안정성으로 [[포켓몬스터/기술/주요 기술|실전에서 가장 많이 채용되는 기술들로 손꼽힌다.]] == 세대별 양상 == 3세대까지는 타입별로 물리, 특수를 구분했기 때문에 삼색 펀치 또한 특수기였으므로, 삼색 빔은 삼색 펀치의 완벽한 상위호환이었다. 이때부터 견제기로서 잘 활용되었고, 또 타입별 물리 특수 구분으로 자속기 활용이 안 되는 [[팬텀(포켓몬스터)|팬텀]] 같은 경우는 10만볼트가 주 무장이었다. 또, 이때는 [[눈보라(포켓몬스터)|눈보라]]의 명중률을 메울 수단의 부재로 인해[* 눈보라의 눈이 내릴 때 필중화 기능은 4세대부터 생겼고, 2세대엔 아예 싸라기눈이 없었다.] 더블 배틀이 아니라면 거의 냉동빔 쪽이 채용되었다. 물리, 특수 분화가 이루어진 4세대 이후에도 견제기로 잘 활용되었는데, 6세대 때부터는 위력이 95에서 90으로 하향되었다. 또한 번개 및 눈보라가 각각 비가 내리는 날씨와 싸라기눈이 내리는 날씨에서 필중기가 되었음에 더해 기술이 다양하게 추가되면서 다른 기술들과 경쟁이 불가피해졌으나, 불꽃·전기·얼음의 타점 자체에는 변함이 없으므로 여전히 애용되는 기술 트리오임은 변함없다. 특히 [[냉동빔(포켓몬스터)|냉동빔]]과 [[10만볼트]]의 궁합이 상당히 좋으며 영어사용권에서는 Boltbeam(볼트빔)이라고 부른다. 이 두 가지를 배울 경우, 물, 땅, 풀, 비행, 드래곤 타입을 찌를 수 있고, 둘 중 하나를 반감하는 복합 비행 타입을 만나더라도 나머지 하나로 찌르면 2배로 찌를 수 있는 경우가 많으며 [* 예시: 프리져는 얼음/비행, 파이어나 리자몽은 불/비행, 무장조는 강철/비행이라 냉동빔이 1배로 들어간다. 이 때 10만볼트를 쓰면 2배로 찌를 수 있다. 또, 썬더는 전기/비행이라 10만볼트가 1배지만 냉동빔은 2배로 들어간다. 망나뇽 같은 경우 드래곤/비행 조합으로 인해 전기 1배지만 대표적인 '''얼음 4배'''다. ], 얼음을 반감하는 대표 메이저 타입인 물 타입에 2배 타점을 가지며 [* 예외: [[랜턴|물/전기]], [[대짱이|물/땅]], [[로파파|물/풀]], [[킹드라|물/드래곤]] 등. ], 두 기술 모두를 반감 이하로 받는 타입이 [[자포코일]], [[토게데마루]], 두꺼운지방 [[맘모꾸리]] 등으로 매우 적다. 불까지 추가하자면 삼색 빔의 시너지가 어떻게 드러나는지 [[니드킹]]과 [[니드퀸]]의 경우를 통해 살펴보자면, 독/땅 타입이라 에스퍼를 제외하면 땅, 물, 얼음에 2배인데, 해당 속성의 상대 포켓몬이 자속 공격을 날리러 왔을 경우, 냉동빔은 땅에 [* 풀, 드래곤과 비행은 보너스 ], 10만볼트는 물에 대응한다 [* 위에서 언급했듯이 냉동빔과 더불어 여러가지 복합 비행 타입에게 확실히 2배를 먹일 수 있게 해주는 점도 보너스 ]. 얼음의 경우 물/얼음 복합이나 얼음/비행 복합이라면 10만볼트로 커버가 되고, 그게 아닐 경우 얼음에 2배를 낼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이 불이다 [* 물론 불로 얼음 2배를 노릴 경우 복합 타입에 따라서 불이 1배 이하인 경우가 있다- [[드닐레이브|얼음+드래곤]], [[아마루르가|얼음+바위]], [[불비달마|얼음+불(가라르 폼)]] 이 해당하며, 또, 여기서 언급된 두꺼운지방 [[맘모꾸리]]는 특성을 통해 불을 반감한다. ]. 그럼 여기서 물을 수 있다: 복합 타입에도 불구하고 얼음에 2배를 확실히 넣으려면 바위나 격투도 생각해봄직 하지만, 왜 하필 불일까? 이것을 생각해보려면 볼트빔이 반감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냉동빔은 물, 얼음, 강철, 불에 반감되고, 10만볼트는 풀, 전기, 드래곤에 반감되는데, 여기서 10만볼트가 물을, 냉동빔이 풀과 드래곤을 커버해준다. 남은 것은 불, 얼음, 강철, 전기를 어떻게 커버할 것인가다. 여기서 예시로 삼은 니드킹/퀸의 경우, 자속 땅 공격을 통해 불, 전기, 일부 강철 [* 풍선 아이템이 있는 경우 땅 타입이 아닌 공격으로 아무거나 때려서 터뜨리면 된다; 부유 특성이 없거나 벌레나 풀, 비행이 섞이지 않은 복합 타입도 땅에 2배 이상이다- [[입치트|강철/페어리]], [[킬가르도|강철/고스트]], [[히드런|강철/불]], [[엠페르트|강철/물]], [[동탁군|강철/]][[메타그로스|에스퍼]] (부유 특성이 '''아닌''' 동탁군에 한해), [[자포코일|강철/전기]] (전자부유 주의), [[루카리오|강철/격투]], [[보스로라|강철/바위]], [[두랄루돈|강철/드래곤]], [[엠페르트|물/강철]] 등. ] 을 방법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남은 것은 강철 중에서도 땅을 1배 이하로 받는 일부 포켓몬과 얼음을 동시에 찌르는 것이다. 저 둘을 동시에 찌를 수 있어야 하니 일단 바위는 제외 [* 1세대라면 볼트빔+불 대신 볼트빔+바위도 괜찮다. [[루주라|얼음/에스퍼]]처럼 약점을 보완해주지 않는 조합을 찌르는 것은 물론이고, 1세대에서 많이 쓰이는 [[프리져|바위]] [[파이어|4배]]에게 제대로 한 방 먹일 수 있다. 그리고 1세대에는 강철 타입, 얼음/땅, 얼음/격투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다. ].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할 수 있다: 왜 격투 타입이 아니라 불 공격을 채용할까? 아까 땅에 잘 듣는 강철 타입을 추릴 때 벌레, 비행이나 풀이 섞이지 '''않은''' 강철 타입을 언급했었는데, 풀은 여전히 강철과 섞여도 격투에 2배니 그럴 듯 하게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벌레 [* 핫삼, 쏘콘, 슈바르고, 게노세크트, 자이언트 등.] 와 비행 [* 무장조, 아머까오 등] 은 물론이고 강철 복합 타입이 격투를 1배 이하로 받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으며 [* [[입치트|강철/페어리]], [[킬가르도|강철/고스트]], [[동탁군|강철/]][[메타그로스|에스퍼]] 등. 동탁군의 경우, 부유 특성이라면 땅 타입으로 공격하지 못하기에 불 타입이 필요하고, 내열 특성이라면 불이 반감되어서 1배가 되기에 땅 타입으로 찔러야 한다. ], 불 타입 공격은 열거한 격투 1배 이하인 동시에 땅에도 1배 이하 [* 강철/벌레, 강철/비행, 부유특성 강철 복합 ] 인 타입을 2배로 찌를 수 있게 해 준다. 왜 이리 강철 타입 대처에 신경을 쓰는가? 본 글의 삼색 빔 사용자 예시가 니드킹/니드퀸인데, 예네가 [[카푸나비나|강철 타입이]] [[카푸느지느|없는]] [[카푸꼬꼬꼭|페어리]] 앞에 나오면 상대는 자속 2배 독 타입 공격에 대한 인식을 할 수밖에 없기에 독 타입을 반감하거나 무효화할 수 있는 포켓몬으로 교체할 것인데, 여기서 독 타입을 무효화할 수 있는 타입이 바로 강철 타입이다. 그리고, 여기서, 니드킹/니드퀸이 자속 대지의힘을 쓸 가능성을 간과할 수 없기에 땅을 1배 이하, 이상적으로는 0배로 받는 강철 복합 포켓몬을 내보낼 것인데, 이 때 불 공격을 누르면 강철 타입을 활용해 독을 흘렸으며 복합 타입으로 니드킹/니드퀸의 자속 땅 타입 공격을 흘릴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한 상대에게 교체하자마자 불 2배 이상이 작렬하는 것이다- 비록 비자속이기는 하지만. 요컨데, 삼색 빔 조합은 불 타입, 전기 타입, 바위 타입을 잠시 배제하고 말하자면 일부 예외는 있을지언정 [* 반드시 격투나 바위가 필요한 일부 얼음 복합 타입, 불이 1배 이하인 일부 강철 복합 타입 ] 서로가 서로의 약점을 보완해준다- 얼음은 전기가 막히는 타입 (땅, 풀, 드래곤) 을 커버해주고, 불은 얼음이 막히는 타입 (얼음, 강철 (예외: '''히드런''')) 을 격투보다 더 많이 2배 이상을 내며 커버해주고, 전기는 얼음과 불이 막히는 타입 (물) 을 커버해준다. 삼색 빔에 땅 타입 공격까지 합쳐지면 히드런과 불, 전기, 바위까지 커버된다. 삼색 빔 중 볼트빔처럼 두개만 뽑는 다른 조합들을 고려해보자면, * 방사(불) + 빔(얼음)의 경우, 불, 전기, 바위 타입을 논외로 하는 것은 똑같지만, 강철 타점이 없는 볼트빔과 달리 물 타입 타점을 희생하는 댓가로 대부분의 강철에 대한 타점을 가지며, 역시나 땅 타입이 곁들여지면 불, 전기, 바위와 불이 커버하지 못하는 강철 복합 타입들까지 모두 커버된다- 방사빔 + 땅만으로는 여전히 물 타입 타점이 없기는 하지만. * 방사(불) + 볼트(전기)의 경우, 불, 전기, 바위 타입은 논외로 하더라도, 땅 타입 공격 앞에 무력화되는 단점이 있다- 그나마 불이 땅에 1배로 들어간다는 점에 있어서 완전 무기력하지는 않지만, 가뜩이나 비자속 공격일 확률이 높은데 [* 어지간한 삼색 빔 공격은 비자속이며, 저 셋 중 하나라도 자속으로 쓸 수 있는 경우는 흔치 않다. ] 그것이 1배 이하로 들어간다는 것은 심각하다. 8세대에선 세 기술 모두 1회용 기술 레코드로 격상되었다. 대신 [[삼색 펀치]]와 [[삼색 엄니]]가 무제한 기술머신으로 등장한다. == 삼색 빔 기술머신 입수 방법 == === RGBY, FRLG, LPLE === * 10만볼트 * RGBY, LPLE - 마티스를 이기면 얻는다.[* FRLG에서는 전격파.] * 냉동빔 * RGBY - 무지개시티 백화점 옥상의 여자아이에게 '맛있는물'을 주면 얻는다.[* LPLE에서는 빛의 장막.] * LPLE - 쌍둥이섬 2층 * 화염방사 * LPLE는 실프주식회사 10층에서 얻는다. * FRLG는 전부 무지개시티 게임코너 경품으로 얻는다. === HGSS === * 공통적으로 금빛시티 게임코너 경품으로 얻는다. * 그 외에 화염방사는 28번 도로, 10만 볼트는 블루시티 동굴, 냉동빔은 쌍둥이섬에서 얻는다. === RSE, ORAS === * RSE - 공통으로 보라시티 게임코너 경품으로 얻는다. * 그 외에 10만 볼트는 (파도타기 습득 후) 뉴보라 이벤트 후 암페어가, 냉동빔은 버려진배 지하 1층 창고에서 얻는다. * ORAS * 냉동빔은 씨보라 창고에서 입수 * 10만볼트는 (각성의 사당 이벤트 후) 뉴보라 이벤트 후 암페어에게서 입수 * 화염방사는 챔피언로드에서 입수 === DPPt, BDSP === * 화염방사와 10만볼트는 각각 [[골풀무제철소]]와 [[골짜기발전소]] 북쪽에 기술머신으로 떨어져 있다. 둘 다 파도타기 입수 이후에 갈 수 있다. * 냉동빔은 [[216번도로]]에서 락클라임으로 올라가면 기술머신으로 얻을 수 있다.[* 선단시티 체육관을 클리어해야 한다.] * DPPt에서는 [[장막시티]] 게임코너에서 10000'''코인'''[* 20만원]으로 삼색 빔을 구매할 수 있다. * BDSP에서는 삼색 빔을 장막시티 백화점에서 '''3000원'''으로 판매하며, DPPt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할 수 있다. 삼색 빔 이외에도 에스퍼타입 [[사이코키네시스]]와 페어리타입 [[매지컬샤인]]도 판매한다. === BW === 참고로 5세대부터는 기술머신이 무제한이다. * 10만볼트는 17번수로-18번도로를 지난 이후에 나오는 P2랩에서 얻을 수 있다 * 냉동빔은 엔딩 이후에 자이언트홀에서 얻을 수 있다. * 화염방사는 엔딩 이후 풍요의 사당에서 얻을 수 있다. === BW2 === * 화염방사는 23번도로 중간의 민가에 있는 [[등산가(포켓몬스터)|등산가]]가 준다. * 10만볼트는 챔피언로드에서 [[휴이(포켓몬스터)|휴이]]와 대결한 이후 이기면 휴이가 준다. * 냉동빔은 BW처럼 자이언트홀에서 얻을 수 있지만, BW와는 달리 동굴에서 얻을 수 있다.(파도타기 필수) === XY === * 냉동빔은 [[이설체육관]] 클리어 보상으로 입수 * 10만볼트는 [[미르체육관]] 클리어 보상으로 입수 * 화염방사는 [[향전시티]] 포켓몬센터에 있는 오컬트마니아에게 10~18시 사이에 말을 걸면 입수 === SM, USUM === * 냉동빔은 라나키라마운틴에서 입수 * 10만볼트는 포니 광야(SM, 엔딩 후)/멜레멜레섬 해변 동굴(USUM)에서 입수 * 화염방사는 포니대협곡에서 입수 === SwSh === == 타입별 유사한 기술 == 위력 80~90, 명중률 100의 특수 기술은 거의 모든 타입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예외는 위력 75, 명중률 95의 에어슬래시밖에 없는 비행 타입뿐이다. 8세대 기준 위력이 90이고, 명중률이 100인 기술은 '''볼드체'''. * 노말: '''[[하이퍼보이스]]'''/[[트라이어택]] * 물: '''[[파도타기(포켓몬스터)|파도타기]]'''[* 위력이 동일하며, 6세대 때 95에서 90으로 함께 하향됐다는 점에서 부가 효과 대신 더블 배틀에서 아군 포함 전체 공격기라는 특징을 가진 삼색 빔의 바리에이션으로 보기도 한다.]/[[열탕(포켓몬스터)|열탕]] * 풀: '''[[에너지볼]]'''/[[기가드레인]] * 땅: '''[[대지의힘]]''' * 바위: [[파워젬]] * 강철: [[러스터캐논]] * 비행: [[에어슬래시]] * 격투: [[파동탄]] * 에스퍼: '''[[사이코키네시스]]'''/[[신통력#포켓몬스터의 기술]] * 악: [[악의파동]] * 고스트: [[섀도볼]] * 독: '''[[오물폭탄]]'''/[[오물웨이브]] * 드래곤: [[용의파동]] * 벌레: '''[[벌레의야단법석]]'''/[[꽃가루경단]]--/[[시그널빔]]-- * 페어리: [[문포스]]/[[매지컬샤인]][* 위력상으로 따지면 문포스가 삼색 빔의 위력과 비슷하지만, 기술머신/기술레코드로 배울 수 없기 때문에 매지컬샤인을 삼색 빔 포지션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 기타 == 사실 셋 중에서 기술명이 '빔'인 것은 냉동'''빔'''뿐이다.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에서는 화염방사와 냉동빔은 직선기이고, 10만볼트는 주변 1칸 다수공격기로 범위가 다르다. [[포켓몬 GO]]에서는 셋 모두 2차징 스페셜 어택이다. 위력은 화염방사 70, 10만볼트 80, 냉동빔 90이다. == 관련 문서 == * [[포켓몬스터/기술/주요 기술]] * [[삼색 펀치]] * [[삼색 엄니]] [[분류:포켓몬스터/특수 기술]][[분류:포켓몬스터/기술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