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 라이온즈/역대 시즌)] ---- ||||<:><#ffffff,#191919>[[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3.svg|width=250]] || ||||||||||
<:> '''2005 시즌 페넌트레이스 성적''' || || '''순위''' || '''승''' || '''무''' || '''패''' || '''승률''' || || '''1''' || 74 || 4 || 48 || '''0.607''' || [목차] == 스토브리그 == === 코칭스태프 이동 === [[김응용]] 감독이 사임하고 [[선동열]] 수석코치가 감독이 됐다. 사임한 [[김응용]]은 구단 사장이 됐다. [[한대화]] 코치가 수석코치로 승격됐다. [[신용균]] 2군 감독과 [[김종모]] 코치와는 재계약하지 않았다. [[장태수(1957)|장태수]] 코치를 공석이 된 2군 감독으로 임명했다. 대구상고에서 감독을 하던 [[김한근]]을 2군 타격코치[* 김응용이 감독이 되면서 영입한 상태였는데 중간에 해임된 적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前 [[KIA 타이거즈]] 투수코치 [[이상윤(야구선수)|이상윤]]을 2군 투수코치로 새로 영입했다. === 선수 이동 === 2004년 시즌 후 [[최익성]], [[고지행]] 등이 방출됐다. 최익성은 [[SK 와이번스]]로, [[고지행]]은 다시 [[한화 이글스]]에 입단했다. [[권오원]]과 [[김문수(1979)|김문수]]가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서 군복무를 하게 됐다. [[김한수]], [[신동주(야구)|신동주]], [[임창용]]이 [[KBO FA제도|FA]]로 공시됐다. 2004년 11월에 김한수는 4년간, 신동주는 3년간 재계약했다[* 정작 시즌 중 최용호와의 트레이드로 [[KIA 타이거즈|KIA]]로 이적했다.]. 임창용은 해외 진출을 타진하다가 잘 안 되면서 결국 앞서 둘보다 한참 늦은 2005년 1월에 삼성과 2년간 재계약했다. 그리고 [[KBO FA제도|FA]]로 [[현대 유니콘스]]의 [[심정수]]와 [[박진만]]을 영입했다. [[이마양]] 트리오의 해체 후 2004년에 삼성 타선의 무게감이 떨어지면서, 삼성이 중심타선 보강을 위해 심정수를 영입한다는 설이 이미 2004년 시즌 중반부터 파다했다. 그리고 현대는 박진만만큼은 잔류시키려 했지만 자금난에 시달려서 결국 박진만을 잡지 못했다. 한편 둘을 영입하는 데만 무려 99억을 쓰면서 이 때부터 삼성은 '''돈성'''이라 불리게 됐다. 한편 현대는 어떻게든 자금을 충당하고자 보상금 규모가 더 큰 심정수쪽은 보상금만 받기로 하고, 박진만의 보상선수로 [[이정호(1982)|이정호]]를 선택했다. 당시 이정호는 부상으로 재활하다가 군입대를 앞둔 터라 삼성에서는 보상선수 명단에서 제외했는데, 그걸 알고는 현대가 쏙 채갔다. === 신인 지명 === * 포지션은 지명 당시 기준. * ※표시는 지명권 포기나 대학 진학으로 인한 지명권 소멸 등으로 입단하지 않은 선수. * #표시는 대학 진학이나 유급으로 이후에 지명 당해가 아닌, 그 이후에 입단한 선수. |||| ||<:> 이름 ||<:> 포지션 ||<:> 경력 ||<:> 계약금 || ||||<:> 1차 || 백준영 || 투수 || 경북고 - 영남대 || 8000만원 || ||<|9><:> 2차 || 1라운드 || [[오승환]] || 투수 || 경기고 - 단국대 || 1억 8000만원 || || 2라운드 || [[김현중(야구선수)|김현중]] || 포수 || 성남고 || 1억 6000만원 || || 3라운드 || 최재현 || 외야수 || 광주일고 || 1억원 || || 4라운드 || [[유용목]] || 내야수 || 강릉고 || 7000만원 || || 5라운드 || [[곽동훈(야구)|곽동훈]] || 투수 || 부산공고 - 대불대 || 5000만원 || || 6라운드 || [[박성호(야구선수)|박성호]]※[* 고려대 진학으로 지명권 소멸. 2009년 드래프트에 재참가했다.] || 투수 || 부산고 || - || || 7라운드 || 박병일 || 내야수 || 상원고 || 3000만원 || || 8라운드 || 서남석#[* 1년 유급 후 2006년 입단.] || 투수 || 충암고 || - || || 9라운드 |||||||| 미지명 || ||||<|6><:> 기지명 || [[조영훈]],,(2001년 2차 2라운드),, || 외야수 || 속초상고 - 건국대 || 1억 8000만원 || || 김명규,,(2001년 2차 3라운드),, || 내야수 || 원주고 - 경희대 || 3000만원 || || [[박성훈(야구)|박성훈]],,(2001년 2차 4라운드),, || 투수 || 강릉고 - 한양대 || 1억 5000만원 || || 손승현,,(2001년 2차 6라운드),, || 포수 || 속초상고 - 인하대 || 8000만원 || || 박재민,,(2001년 2차 8라운드),, || 내야수 || 청주기계공고 - 인하대 || 3000만원 || || 강유삼,,(2001년 2차 11라운드),, || 투수 || 세광고 - 경희대 || 없음 || ||||<|3><:> [[육성선수|신고선수]] || 박세웅 || 내야수 || 휘문고 - 계명대 ||<|3> 없음 || || 이동호 || 외야수 || 화순고 || || 허지민 || 외야수 || 청원고 || 1차 지명자 백준영은 계약금으로 겨우 8천만원을 받았다. 다른 선수와 비교했을 때, 2차 지명을 받았더라면 대략 3~4라운드 정도의 투수였다는 것. 그러한 선수를 1차 지명으로 뽑을 수밖에 없을 정도로 당시 암울했던 대구·경북팜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래도 나름대로 프로야구에 족적을 남기고 은퇴했다. 다름 아닌 최초의 '''야구선수 겸 전문 [[배팅볼 투수]]'''[* 과거 1996~1998시즌에 현대의 [[박정현(투수)|박정현]]이 재활 때문에 실전등판이 불가능해지자 배팅볼 투수 역할을 맡기도 했지만, 그래도 박정현은 몇 경기나마 1군 경기에 등판했었다. 그에 반해 백준영은 1군 통산 4경기 등판이 전부고 선수로서 마지막 시즌이었던 2008년 시즌 후반부에는 아예 경기보조요원 신분으로 1군 선수단과 동행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1975481|관련 기사]]. --그래도 2차 1라운드때 [[오승환|돌부처]]를 뽑았으니 됐지 머-- [[곽동훈(야구)|곽동훈]]은 삼성과 입단 계약을 체결한 후 병역비리에 연루돼 바로 현역병으로 입대해 [[포병]]으로 군복무를 했다. === 외국인 선수 === [[케빈 호지스]], [[멘디 로페즈]] 둘다 재계약을 포기했다. 호지스는 이닝 소화에 비해 승운이 안 따랐고, 로페즈는 삼성 입단 후 무릎 부상으로 지명타자로 활동했지만 플레이오프 때를 제외하고는 계속 부진했다. 대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출신 [[루서 해크먼]]과 [[주니치 드래곤즈]] 출신 [[마틴 바르가스]]를 영입했다. 두 우완투수 모두 빠른 강속구를 가졌다고 평가받았다. == 전지훈련 == 1월 18일부터 3월 9일까지 괌과 오키나와에서 전지훈련을 실시했다. 이 때부터 괌-오키나와를 거치는 전지훈련 체제가 자리잡았다. == 정규시즌 == 캐치프레이즈는 "라이온즈의 열정! 팬의 함성! 2005 V3!"로 발표되었다. 이전까지 2002년이 구단 첫 우승이~~라고 생각했~~었고 그 사이에 우승이 없었는데 웬 V3 할 수 있겠지만 사실 1985년 KBO 우승팀에 엄연히 삼성 라이온즈가 올라가 있었다. 이 우승을 구단에서 부정하다가 이 해부터 인정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박진만]]의 영입으로 전년도 주전 유격수였던 [[조동찬]]이 3루수[* 전년도에 주전 유격수로서 가능성을 보였던 조동찬이 3루수로 이동하면서 굳이 박진만을 영입했어야 했냐는 반응도 있었다. 다만 원래 2002 신인 지명 당시 조동찬을 3루수로 지명했을 정도로, 원래 팀에서는 포스트 김한수로 조동찬을 점찍었다.]로, 3루수였던 [[김한수]]는 1루수로, 1루수였던 [[양준혁]]은 지명타자로 포지션을 옮겼다. [[심정수]]는 비록 현대 시절만큼의 위압적인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홈런 28개로 팀내 타자들 중 홈런 1위를 했다. 백업 내야수였던 [[강명구]]는 이 해부터 붙박이 대주자로 활약하기 시작했다. 투수진에서는 전년도 정규시즌 MVP였던 [[배영수]]는 훌륭한 기록에 비해 11승 11패로 승운이 따르지 못했지만, KBO리그 최초 무사사구 완봉승을 기록하는둥 여전히 에이스로 굳건했지만, 야심차게 영입한 [[루서 해크먼]]은 3승 6패 4.80의 평균자책점으로 조기에 퇴출됐다. [[마틴 바르가스]]도 10승 8패 5.06의 평균자책점으로 어찌어찌 10승은 달성했지만 선발투수로서는 낙제였고, 그나마 해크먼 대신 영입한 [[팀 하리칼라]]가 괜찮은 모습을 보였다. 이 해 돋보인 투수는 다름 아닌 신인 [[오승환]]. 오승환은 전지훈련 때부터 일찌감치 중간계투로 낙점 받아 정규시즌에서도 엄청난 구위를 보였고, [[마무리 투수]]였던 [[권오준]]이 여름 들어 불안한 모습을 보이면서 급기야 권오준과 보직이 맞바뀌어 마무리가 됐다. 이 해 오승환의 성적은 10승 1패 16세이브 11홀드 99이닝을 소화하며 ERA 1.18 , 역대 KBO 선수 중 처음으로 한 시즌 10승 10세이브 10홀드를 기록했다. 신인답지 않은 강심장에 압도적인 구위로 신인왕은 물론이고 한국시리즈 MVP까지 수상했다. 또한, 이 해에 홀드 3위 [[안지만]]이 새로운 필승조 자원으로 등장했다. 이외에 [[박석진]]도 홀드 2위를 기록하여 불펜진에서 활약하였다. 비록 선발진은 예년만큼 힘을 못 썼지만 오승환을 앞세운 계투진의 활약으로 예년에 비해 투타에서 균형 잡힌 모습을 보이면서 74승 4무 48패로 정규시즌 1위로 시즌을 마쳤다. 팀별 상대전적에서는 수도권 구단들을 상대로 유독 힘을 쓰지 못했다. 두산에 8승1무9패, SK에 7승2무9패로 뒤쳐진 것은 그렇다 쳐도 이해 7위로 추락한 현대에게도 8승1무9패로 상대전적에서 뒤쳐졌다. 6위에 그친 LG에 10승8패로 겨우 앞섰다. 하지만 한화에 12승6패, 롯데에 14승4패, KIA에 15승3패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둔 점이 정규시즌 우승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 선수 이동 === 5월 말 [[김현욱(야구)|김현욱]]이 은퇴를 선언했다. 평소 무릎이 좋지 않았던데다 2004년 7월에 오른쪽 팔꿈치 인대 파열로 2군에서 시즌을 마쳤는데, 2005년이 돼서도 좀처럼 팔꿈치 상태가 나아지지 않았던 것. 6월 2일에 공식 은퇴식을 치렀고, 이후 1군 불펜 투수코치가 됐다. 7월 24일 [[신동주(야구)|신동주]]가 [[KIA 타이거즈]]의 최용호를 상대로 트레이드됐다. 삼성은 중간계투진을 보강하려 했고, KIA는 외야 백업을 보강하려 했었다. 그나마 신동주는 트레이드 후 2년간 1군에서 20경기 출장했지만 최용호는 트레이드 후 2년간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그대로 은퇴했다. 역대 5번째로 FA 계약 선수가 계약 첫 해에 이적한 트레이드로, 보기 드문 트레이드였음에도 잘 회자되지도 않는 루즈-루즈 트레이드. == 포스트시즌 == ||||||<:> '''포스트시즌[br]한국시리즈 성적''' || || '''승''' || '''무''' || '''패''' || || 4 || 0 || 0 || ||||||<:> '''[[2005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 || [[두산 베어스]]를 4전 전승으로 꺾었다. MVP는 [[오승환]]이 수상했지만, [[김재걸]]의 활약도 뛰어났다. 자세한 경기 결과는 [[2005년 한국시리즈]] 항목 참조. == 선수별 개인 성적 ==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내 성적.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 투수는 이닝이 많은 순서대로, 타자들은 타수가 많은 순서대로. * 시즌 중 이적한 선수들은 당해 삼성 소속 성적만 기록. === 투수 === * 우완 ||  || 이름 || 경기수 || 선발등판 || 이닝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ERA || 피안타 || 사사구 || 탈삼진 || || 25 || [[배영수]] || 31 || 26 || '''173'''[br](4위) || 11[br](8위) || 11 || 2 || 1 || '''2.86'''[br](2위) || 148 || 59 || '''147'''[br](공동 1위) || || 29 || [[마틴 바르가스|바르가스]] || 26 || 26 || 128 || 10 || 8 || 0 || 0 || 5.06 || 120 || 70 || 66 || || 21 || [[오승환]] || 61[br](8위) || 0 || 99 || 10 || 1 || 16[br](6위) || 11[br](9위) || 1.18 || 46 || 20 || '''115'''[br](5위) || || 37 || [[임창용]] || 29 || 14 || 91⅓ || 5 || 8 || 0 || 3 || 6.50 || 110 || 51 || 70 || || 28 || [[안지만]] || 63[br](7위) || 0 || 82⅔ || 8 || 3 || 0 || '''14'''[br](3위) || 3.48 || 65 || 43 || 72 || || 44 || [[루서 해크먼|해크먼]] || 15 || 15 || 70⅔ || 3 || 6 || 0 || 0 || 4.80 || 78 || 43 || 57 || || 45 || [[권오준]] || 46 || 3 || 63 || 3 || 1 || '''17'''[br](5위) || 1 || 2.29 || 47 || 17 || 69 || || 39 || [[박석진]] || '''70'''[br](4위) || 0 || 62⅓ || 8 || 0 || 1 || '''15'''[br](2위) || 3.47 || 59 || 15 || 24 || || 13 || [[임동규(야구)|임동규]] || 21 || 8 || 62⅓ || 4 || 2 || 0 || 0 || 2.74 || 55 || 20 || 39 || || 44 || [[팀 하리칼라|하리칼라]] || 11 || 10 || 51 || 3 || 2 || 0 || 0 || 3.71 || 66 || 13 || 31 || || 51 || 김덕윤 || 20 || 1 || 39⅓ || 1 || 0 || 0 || 0 || 5.72 || 45 || 17 || 40 || || 18 || [[김진웅]] || 12 || 2 || 19⅔ || 1 || 1 || 1 || 0 || 4.58 || 14 || 11 || 15 || || 23 || [[라형진]] || 8 || 1 || 15⅓ || 1 || 0 || 0 || 0 || 2.35 || 8 || 4 || 16 || * 좌완 ||  || 이름 || 경기수 || 선발등판 || 이닝 || 승 || 패 || 세이브 || 홀드 || ERA || 피안타 || 사사구 || 탈삼진 || || 17 || [[전병호]] || 29 || 20 || 104⅔ || 6 || 5 || 0 || 0 || 4.39 || 110 || 34 || 51 || || 26 || [[강영식]] || 60[br](9위) || 0 || 31⅔ || 0 || 0 || 0 || 7 || 4.83 || 26 || 30 || 37 || || 64 || [[박성훈(야구)|박성훈]] || 22 || 0 || 13⅔ || 0 || 0 || 0 || 3 || 4.61 || 19 || 11 || 13 || || 34 || [[오상민]] || 21 || 0 || 8⅓ || 0 || 0 || 0 || 7 || 4.32 || 8 || 4 || 8 || || 00 || [[지승민]] || 7 || 0 || 3⅓ || 0 || 0 || 0 || 0 || 2.70 || 2 || 3 || 5 || === 타자 === * 포수 ||  || 이름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 20 || [[진갑용]] || 110 || 347 || .288 || 100 || 17 || 0 || 6 || 41 || 34 || 1 || || 2 || [[이정식]] || 59 || 67 || .224 || 15 || 3 || 0 || 1 || 4 || 7 || 0 || || 38 || [[김영복]] || 23 || 37 || .189 || 7 || 1 || 0 || 1 || 4 || 3 || 0 || || 42 || 손승현 || 8 || 3 || .000 || 0 || 0 || 0 || 0 || 0 || 0 || 0 || * 내야수 ||  || 이름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 5 || [[김한수]] || 114 || 406 || .293 || 119 || 18 || 0 || 15 || 73 || 55 || 1 || || 10 || [[양준혁]] || 124 || 394 || .261 || 103 || 15 || 1 || 13 || 50 || 61 || 10 || || 31 || [[박종호(1973)|박종호]] || 119 || 392 || .268 || 105 || 21 || 0 || 4 || 36 || 63 || 5 || || 66 || [[조동찬]] || 122 || 387 || .274 || 106 || 16 || 0 || 16 || 63 || 55 || 17 || || 7 || [[박진만]] || 85 || 281 || .249 || 70 || 16 || 0 || 7 || 44 || 34 || 5 || || 6 || [[김재걸]] || 103 || 231 || .247 || 57 || 7 || 0 || 1 || 23 || 22 || 8 || || 35 || [[박석민]] || 52 || 81 || .198 || 16 || 3 || 1 || 0 || 4 || 7 || 1 || || 9 || [[강명구]] || 106 || 44 || .250 || 11 || 1 || 0 || 0 || 2 || 30 || 21[br](8위) || || 8 || [[박정환(1977)|박정환]] || 26 || 38 || .184 || 7 || 1 || 0 || 1 || 7 || 5 || 1 || || 15 || [[손주인]] || 14 || 7 || .286 || 2 || 0 || 0 || 0 || 1 || 3 || 0 || || 56 || 허연철 || 10 || 3 || .000 || 0 || 0 || 0 || 0 || 0 || 0 || 0 || || 55 || 곽용섭 || 3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 외야수 ||  || 이름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 33 || [[박한이]] || 123 || 471 || .295 || '''139'''[br](3위) || 21 || 0 || 9 || 59 || 62 || 12 || || 32 || [[심정수]] || 124 || 433 || .275 || 119 || 14 || 0 || '''28'''[br](2위) || '''87'''[br](3위) || '''77'''[br](3위) || 3 || || 1 || [[강동우]] || 125 || 367 || .240 || 88 || 15 || '''3'''[br](5위) || 6 || 38 || 61 || 9 || || 3 || [[김종훈(1972)|김종훈]] || 70 || 146 || .288 || 42 || 4 || 1 || 2 || 18 || 19 || 3 || || 11 || [[김대익]] || 61 || 86 || .314 || 27 || 4 || 0 || 1 || 19 || 14 || 0 || || 24 || [[신동주(야구)|신동주]] || 11 || 8 || .000 || 0 || 0 || 0 || 0 || 0 || 2 || 0 || || 41 || [[조영훈]] || 7 || 4 || .250 || 1 || 1 || 0 || 0 || 2 || 0 || 0 || || 48 || 이태호 || 1 || 0 || - || 0 || 0 || 0 || 0 || 0 || 0 || 0 || == 수상 및 기록 == * [[배영수]] : 탈삼진 1위(147개) * [[오승환]] : 신인상, 한국시리즈 MVP, 승률 1위(0.909) * [[진갑용]] : 골든글러브 포수 부문 [[분류:삼성 라이온즈/200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