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관악구의 행정동, rd1=삼성동(관악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전광역시 동구 삼성동,rd1=삼성동(대전광역시 동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상남도 양산시 삼성동, rd1=양산시/행정, paragraph1=1.3)] [include(틀:강남구의 법정동)] ||<-2> '''[[파일:강남구 CI.svg|height=15]] [[강남구|{{{#000000,#dddddd 강남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삼성동}}}'''[br]三成洞 | Samseo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남구 삼성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강남구 || || '''행정표준코드''' || 1168010500 || || '''관할 행정동''' || 삼성1동, 삼성2동 || || '''하위 행정구역''' || 68통 432반 || || '''면적''' || 3.19㎢ || || '''인구''' || 43,649명[*A 2022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3,683.07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hulsa.kr/e2aaa8755a0e5ce342b5fe8740a02105.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billiard.com/%EC%82%BC%EC%84%B1%EB%8F%99%20%EB%B4%89%EC%9D%80%EC%82%AC.jpg|width=100%]]}}} || [목차][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법정동]]이다. [[행정동]]으로는 삼성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삼성2동, 동쪽이 삼성1동이다. [[코엑스]], 서울무역센터, 한국도심공항, [[아셈타워]] 등의 시설과 현재 건설중인 [[현대자동차그룹]]의 GBC([[글로벌비즈니스센터]]) 등 여러 기업들이 들어서 있다. 또한 코엑스 북쪽 방향으로는 과거의 명문고인 [[경기고등학교]]가 있고 그 주변은 고가의 주거지로서 고급 주택 및 빌라, 아파트 등이 들어서있는 [[부촌]]이다. 1962년까지는 [[경기도]] [[광주시|광주군]] 언주면 삼성리였다. 1963년 서울특별시 [[성동구]] 삼성동이 되었다. 1975년 강남구가 출범하면서 강남구 편제돼 오늘에 이른다. 지명 자체는 [[삼성그룹]]과는 아무 관련도 없다.[* 기업의 이름은 삼성(三星-세 개의 별)이고 강남구의 동네 이름은 삼성(三成-세 개의 성채)으로, 뜻도 다르고 유래도 다르다. 영어 표기도 삼성그룹은 Samsung이고 삼성동은 Samseong이다. ] 이름이 같은 것은 우연의 일치이다. 일본인들은 [[도요타시]]와 [[도요타]]의 관계처럼 생각하기도 한다. 마침 [[삼성그룹]]이 재계서열 1위 거대기업이고 삼성동도 돈많은 부촌이라서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동명 유래는 [[조선시대|조선]] 말기까지 [[경기도]] [[광주시|광주군]] 언주면의 자연부락인 [[봉은사]]마을, 무동도[* 한강의 하중도였으며, 저자도라고도 불리었으나 나무위키에 올라가 있는 [[저자도]]와는 위치 상 다른 섬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1동의 행정구역을 통해 위치와 대략적인 크기를 유추할 수 있다.]마을, 닥점마을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일본 제국|일제]]의 [[부군면 통폐합]] 때 '세 마을을 합했다' 하여 삼성(三成)리라 명명한데서 시작되었다.[* 한자가 같은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三成)면도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 때 '세 [[면(행정구역)|면]]을 합했다' 하여 명명한 것이다.] 기존 마을 이름들을 살리지 않고 자기들 마음대로 편하게 새 이름을 지어버린 일제의 작명 센스. 즉, 일제 잔재 지명이다. == 각 행정동별 상세 == === 삼성1동 === ||<-2> '''[[파일:강남구 CI.svg|height=15]] [[강남구|{{{#000000,#dddddd 강남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삼성1동}}}'''[br]三成一洞 | Samseong 1(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남구 삼성1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강남구 || || '''행정표준코드''' || 3220047 || || '''관할 법정동''' || 삼성동 || || '''하위 행정구역''' || 23통 149반 || || '''면적''' || 1.94㎢ || || '''인구''' || 12,729명[*A] || || '''인구밀도''' || 6,561.3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강남구 병'''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유경준]] ,,(초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6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길영 ,,(초선),, || ||<-2> '''강남구의원 | 자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복진경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우종혁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향숙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봉은사로 616 (삼성동 161-2) || || [[http://www.gangnam.go.kr/center/main.do?office=3220047|삼성1동 주민센터]] || [[COEX]], [[스타필드 코엑스몰]], [[메가박스 코엑스]] 등이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과 [[봉은사역]] 사이에 있다. [[아셈타워]], 무역센터,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등 고층 건물이 즐비하며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건너편 블록에는 음식점이 밀집해 있다. 코엑스 위쪽에는 [[봉은사]]와 [[경기고등학교]]가 있다. 경기고 뒤쪽에는 삼성동 현대주택단지가 있다. 영동대로 건너편에는 [[삼성동 아이파크]][* [[서울 삼성동 헬기 추락사고]]가 일어났다.][* [[현대산업개발]] [[정몽규]] 회장 등 범 현대가 일원들이 소유 및 거주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견그룹 회장, 법조계, 정관계 인사, 유명 연예인 등이 거주하는 것으로 유명하다.]가 있으며 [[서울봉은초등학교]], [[봉은중학교]] 주변에 고급 빌라 및 주택들이 자리잡고 있다. 옛 [[한국전력공사]] 본사 주변에는 [[국순당]] 본사, [[대웅제약]] 본사, [[MG새마을금고]] 중앙회,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강남분원, 한국감정원, [[강남소방서]], [[백제예대|백제예대 아트센터]](백암아트홀), [[카카오M]]이 있다. 舊 차관([[AID]])아파트 사거리에는 대한해운 본사, [[포스코]] 사거리에는 서울종합예술전문학교가 있다. 이 외에도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 다만 한남동에 거주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웅제약]] 오너일가, [[대림산업]] [[이해욱]] 부회장, 시몬스침대 안정호 사장, 희성그룹 [[구본능]] 회장, [[GS칼텍스]] 허진수 부회장, 한일시멘트 허기호 부회장, [[암웨이|한국암웨이]] 박세준 회장, [[동아제약]] 강정석 대표이사, [[일동제약]] 이금기 회장, 리홈쿠첸 이동건 회장, 비트컴퓨터 조현정 회장, [[NC소프트]] [[김택진]] 대표, [[NHN엔터테인먼트]] 이준호 회장 등 많은 거부들이 삼성동에 단독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라마에서는 [[펜트하우스 시리즈]]의 작중 배경인 [[헤라팰리스]]가 위치한 곳이다. 또 유명 [[연예인]]들도 이 곳의 최고급 주택에 많이 거주하는데, 대표적으로 배우 [[원빈]], [[김남주]]와 [[송혜교]]가 거주하는 곳으로 유명하며 [[JYJ]] 멤버들도 이곳에서 살았다.[* 그래서 박유천은 삼성동에 위치한 [[강남구청]]에서 공익근무를 했었다.] [[비(연예인)|비]]도 여기에서 살았었다. 탤런트 [[전지현]]이 이곳에 있는 현대주택단지에 거주했던 이력이 있다. 소녀시대 [[윤아]], 가수 [[이승기]] 또한 삼성동에 거주하고 있다. 배우 [[이병헌]]&[[이민정]] 부부도 이곳에 거주하고 있다. 배우 [[정우성]]과 [[이정재]]는 같은 고급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것으로 유명하며, [[배용준]]도 성북동으로 이사하기 전 오랜기간 거주하였다. BTS [[뷔]]도 이곳의 한 고급빌라를 매입해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걸그룹 [[Red Velvet]]이 삼성동 한 아파트에 거주중이다. [clearfix] === 삼성2동 === ||<-2> '''[[파일:강남구 CI.svg|height=15]] [[강남구|{{{#000000,#dddddd 강남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삼성2동}}}'''[br]三成二洞 | Samseong 2(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남구 삼성2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강남구 || || '''행정표준코드''' || 3220048 || || '''관할 법정동''' || 삼성동 || || '''하위 행정구역''' || 45통 283반 || || '''면적''' || 1.24㎢ || || '''인구''' || 30,920명[*A] || || '''인구밀도''' || 24,935.4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강남구 병'''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유경준]] ,,(초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6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길영 ,,(초선),, || ||<-2> '''강남구의원 | 자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복진경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우종혁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향숙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봉은사로 419 (삼성동 38-34) || || [[http://www.gangnam.go.kr/center/main.do?office=3220048|삼성2동 주민센터]] || [[강남구청]]이 위치한다. 막상 [[강남구청역]] 1번 출구에서의 거리는 꽤 되는 편[* 과거 강남구청 청사는 강남구청역 주변에 있었다.구청사와는 매우 가까우며, 구청사가 현재 강남구보건소로 사용되는 중이다.]이고 [[청담역]] 7번 출구가 더 가깝긴 한데, 지하통로가 길이가 길이인지라 거리가 애매하긴 마찬가지다. 선릉로 별관은 아예 [[강남구청역]] 옆에 있었으나, 현재는 삼성로 별관으로 바뀌면서 [[청담역]] 6번 출구로 나오면 있다. [[강남구보건소]]는 [[강남구청역]] 근처에 있다[* 이곳이 원래 강남구청이었다. 이후 선릉로별관이 되었다가 지금의 삼성로별관에있던 보건소와 위치를 교환]. 브라운스톤레전드[* 고급빌라 형식 주상복합으로 2022년 기준 매매가 40억~48억선이다.가수 겸 배우 이승기가 이곳에서 살고 있는 걸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JYJ의 멤버인 김재중과 김준수도 이곳에서 살다가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갔다고 한다.], 삼성동 힐스테이트[* 서장훈이 여기 사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삼성동 래미안삼성2차, 삼성동 서광아파트[* 박준형이 여기 사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중앙하이츠 빌리지, 롯데캐슬 프레미어 등의 아파트가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삼성동을 떠올리면 코엑스 주변의 상업지구와 영동대로가 연상되는데, 강남구청 뒤편의 아파트들을 방문해보면 조용하고 차분한 주거지역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아파트의 경우 평균적으로 평당 7,000만원 이상의 가격에 거래된다. [[언주중학교]] 바로 밑에 [[서울특별시교육청강남도서관]]과 [[서울특별시강남서초교육지원청]]이 있다. [[선정릉역]] 주변에는 라마다서울호텔[* 과거에는 경복아파트 사거리에서 이전한 돈텔마마, 레드루팡 나이트 클럽이 있었다.],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국과학창의재단, [[이투스]], 올림푸스 본사가 있으며 롯데캐슬 킹덤 아파트 옆(삼릉초등학교 입구 바로 옆)에는 [[박근혜/자택/삼성동|박근혜 대통령의 자택]]이었던 집이 있다. [[선릉역]] 8번 출구에서 [[선정릉역]] 방향으로 올라가면 [[선릉]], [[정릉(서울 강남)|정릉]]이 위치한다. [[강남구청역]]과 [[선정릉역]]의 사이에 [[장근석]] 소유의 빌딩이 있고 [[현대저축은행]] 본점이 입점해있다. [clearfix] == 봉은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봉은사)] == 학교 == * 삼성1동 : [[경기고등학교]], [[서울봉은초등학교]], [[봉은중학교]], 서울정애학교 * 삼성2동 : 서울삼릉초등학교, [[언주중학교]] == 주거 == 아래 모든 아파트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이다. 원래 힐스테이트 1차의 전용 47㎡ 이하는 토지면적이 18㎡ 이하로 허가예외였으나 2022년 2월부터 토지면적 6㎡ 이하로 강화되면서 힐스테이트 1차의 소형면적 아파트도 허가구역이다.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wiki style="margin:-2px;margin-top:-4px;margin-bottom:-4px;padding:0px" [[강남구|[[파일:강남구 CI_White.svg|height=40]]]]}}}||{{{#!wiki style="margin:0px;margin-top:-8px;margin-bottom:-0px;padding:0px" '''[[강남구|{{{#fff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wiki 2131AA="margin:0px;margin-top:-2px;margin-bottom:-7px;padding:0px" '''[[아파트|{{{#fff {{{+1 주거시설(아파트)}}}}}}]]'''}}}}}}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keep-all " || 단지명 || 건설사 || 준공년월 || 세대수 || || 서광아파트 || [[진로그룹]] || 1998.11. || 304 || || 삼성파크 || 세방기업 || 2001.12. || 114 || || 삼성라테라스 || 동양건설 || 2013.06. || 18 || || 채널리저브 || 한일건설 || 2007.01. || 78 || || 미켈란147 || 알포메건설 || 2004.11. || 67 || || 동일파크스위트 || 동일건설 || 2006.08. || 36 || || 신동아듀크빌 || 신동아건설 || 2000.11. || 17 || || 석탑아파트 || 석탑건설 || 1996.04. || 139 || || 삼성동한솔아파트 || 한솔 || 1998.11. || 263 || || 한일아파트 || 한일건설 || 2001.12. || 127 || || 브라운스톤레전드 || 이수건설 || 2009.09. || 54 || || 중앙하이츠빌리지 || 중앙건설 || 2004.12. || 298 || || 홍실아파트 || 청화기업[* 1970년 설립된 건설회사로 주로 강남 지역에 아파트를 건설하였으며 이후 중동 개발에도 진출하였지만 1985년 파산하였으며 계열사인 동화증권은 [[신한은행]]에 인수되었고 이후 신한증권과 굿모닝신한증권을 거쳐 현재의 [[신한금융투자]]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1981.10. || 384 || || 삼성동청구아파트 || 청구건설 || 1992.05. || 167 || || 삼성동 상아2차 || 동성건설[* [[효성그룹]] 계열의 건설회사. 이 회사는 70년대 후반에 피혁업체인 (주)동성을 인수하면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90년대 이후부터 비슷한 회사가 설립되면서 상호 분쟁이 일어나자 결국 효성건설에 인수되었다.] || 1981.11. || 478 || || 삼성동풍림1차 || 풍림산업 || 1998.07. || 252 || || 삼성동풍림2차 || 풍림산업 || 1998.12. || 112 || || 삼성[[SK뷰]] || [[SK에코플랜트]] || 2005.08. || 41 || || 삼성아펠바움 || [[SK에코플랜트]] || 2008.04. || 17 || || 삼성금호어울림 || [[금호건설]] || 2003.09. || 68 || || 래미안삼성1차 || [[삼성물산]] || 2006.05. || 133 || || 래미안삼성2차 || [[삼성물산]] || 2007.03. || 275 || || 쌍용삼성동플래티넘 || [[쌍용건설]] || 2003.08. || 88 || || 삼성동더샵 || [[포스코건설]] || 2003.08. || 72 || || 선릉에클라트 || [[GS건설]] || 2004.07. || 293 || || 삼성골든빌 || [[삼성물산]] || 1999.06. || 18 || || 삼성동힐스테이트1차 || [[현대건설]] || 2009.01. || 1,144 || || 삼성동힐스테이트2차 || [[현대건설]] || 2009.01. || 926 || || 삼성동현대아파트 || [[현대건설]] || 1999.05. || 198 || || 삼성동롯데아파트 || [[롯데건설]] || 2000.04. || 339 || || 롯데캐슬킹덤 || [[롯데건설]] || 2005.12. || 118 || || 롯데캐슬프레미어 || [[롯데건설]] || 2007.03. || 713 || || [[아이파크 삼성]] || [[HDC현대산업개발]] || 2004.05 || 449 || || 삼성센트럴아이파크 || [[HDC현대산업개발]] || 2018.04. || 416[* 임대 57세대 포함] || || 골든카운티 || 준건설 || 2019.01 || 19 || || 삼성동 한양립스 || [[한양건설]] || 미정 || 28 ||}}}}}}}}} || == 기타 == * [[관악구]]가 [[삼성동(관악구)|삼성동]][* 음은 三聖洞으로 다르다. 삼성산에서 따왔다.]과 신사동과 함께 [[강남구]]의 명칭을 그대로 베껴썼다는 비아냥을 듣는다. 실제로 2008년 이것 때문에 강남구와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2246684|법적 분쟁]]이 일어나기도 했다. 결국 2009년 관악구에서 삼성동과 신사동을 써도 된다는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91127/24412644/1|결과]]가 나왔다. * [[6.17 부동산 대책]]에 따라 1년간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되기 때문에, 이 곳에서 [[부동산]]을 사려면 강남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봉은사와 경기고등학교 주변 구릉과 청담배수지공원(삼성배수지)까지의 영역이 한성백제 시대에 축조된 '''[[삼성동 토성]]'''(삼성리 토성)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현재 경기고 앞에 사라진 토성의 존재를 알리는 표지석이 세워져 있을 뿐이다. 일제강점기까지 남아 있었으나 강남 개발과 함께 흔적이 지워졌기 때문에 그 누구도 토성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하는 곳. 2016년 한성백제박물관에서 실체 규명을 위한 시굴조사를 하였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60323/77153269/1|서울 강남 한복판에 백제 토성?]] [[https://kibaek.tistory.com/638?category=722327|초기 백제를 찾아서 3 - 깜놀! 그간 몰랐던 한성백제 유적]] * 한국프로야구에서 [[두산 베어스]]와 [[삼성 라이온즈]]의 [[싸대기 매치]]가 유명한데, 두산 베어스의 연고지인 [[서울특별시]]의 [[강남구]]와 관악구에는 [[삼성동]]이 존재하며, 삼성 라이온즈의 연고지인 [[대구광역시]]의 [[수성구]]에는 [[두산동]]이 존재[* 거리가 있지만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와 같은 [[수성구]]에 있다.][* 공교롭게도 OB-두산 출신으로 삼성에서 은퇴한 포수 [[진갑용]]이 한때 엔제리너스 커피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b=kbotown&id=631675|대구수성'''진갑용점''']]을 [[두산동]]에 차린 적이 있었다. 진갑용이 현역일땐 경기에 나서는 날 성적에 맞춰 할인 이벤트를 했으며 진갑용 본인도 종종와서 팬들에게 싸인을 해주곤 했었다.]한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70418/83911128/1|기사]]. 다만, 두산 베어스의 모기업 [[두산]]과 수성구 두산동은 둘 다 斗山이라는 한자를 쓰지만, 삼성 라이온즈의 모기업 [[삼성그룹]]은 三星을 쓰고, 강남구 삼성동은 三成, 관악구 [[삼성동(관악구)|삼성동]]은 三聖을 쓰는 점이 다를 뿐이다. * 영화 [[공공의 적(영화)|공공의 적]]의 모티브가 된 패륜살인범 [[박한상(범죄자)|박한상]]이 유산상속을 노리고 부모를 살해 및 방화한 고급주택이자 범죄현장이 삼성동에 위치해있었다. == 관련 자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m2guE8oFfs)]}}} || ||<#FFFFFF> '''{{{#1965AF 서울경제썸 - 역지사지 EP.4 삼성동 편}}}''' || * [[강남구]] * [[아이파크 삼성]] * [[글로벌비즈니스센터]] * [[경기고등학교]] * [[봉은사]] * [[삼성동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싸대기 매치, version=402)] [[분류:강남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