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삼육대학교/학부)] [include(틀:전국신학대학협의회)] [include(틀:삼육대학교)] [include(틀:삼육대학교의 단과대학)] [목차] == 개요 == [[삼육대학교]]의 [[신학대학]]이다. [[재림교회]]가 산하 미션스쿨이 상당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기독교교육과]]는 없다. 다만 신학과에 교직과정이 존재해서 교직과정을 이수한 신학생 출신들이 [[종교교사]]가 될 수 있다. 이는 [[연세대]] 신과대학과 비슷하다. 신학관을 사용한다. === 신학과 === ||<-2>
[anchor( )]{{{+1 {{{#FFFFFF '''신학과'''}}}}}}[br]^^{{{#FFFFFF Dept. of Theology}}}^^|| * [[https://www.syu.ac.kr/theology/department-introduction/department-introduction/|신학과]] 의외로 [[전국신학대학협의회]]의 창립 멤버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단으로 꼽혀서 타교파와 교류가 전무할 것 같지만, 의외로 신학계에서는 삼육대학교의 논문을 인용하는 것은 흔한 편이다. 주로 성서신학과 실천신학에서 인용이 흔하고, 조직신학에서는 인용이 거의 없다. 재림교회는 감리회처럼 교단에서 목사를 파송하는 형태라서 의외로 목사에게 복리후생이 좋은 편에 속한다. 그러나 이단 논란 외에도, 육식이 제한된다는 치명적인 단점 때문에 타교파에서 목사가 되려고 찾아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개신교는 식전기도만 진행하고 식문화와 식재료를 아예 규제하지 않는 종교라서 식재료를 제한하는 교파들은 괴상하게 취급받는 디메리트가 있으며, 식재료 제한을 아예 구원론과 결부시키면 이단으로 취급받는다. 당장 피를 먹는 것을 금지하는 [[여호와의 증인]]이 어떤 취급을 받는지 생각해보자. 막상 재림교회도 식재료 제한과 구원론을 명시적으로 완전히 별개라고 선언하지는 않는데, 이것이 한국 개신교 주류세력이 이 교단을 ‘행위구원론적 요소가 있다’며 이단으로 찍는 원인 중 하나가 된다.] 이외에, 국방부에게 인가를 받지 못했기에 군종목사가 될 수 없다는 큰 단점이 있다. 물론 여기도 군선교에 뜻이 있는 목사들이 자진해서 군대에서 선교를 하긴 하지만 기독교(개신교)[* 개신교와 천주교가 함께 기독교로 인가받았다가 천주교가 분립한 특성상 국군 내에서의 개신교의 정식명칭은 기독교다.]가 아니라 소수종파로 분류되는 특성상 타교파에 비해 선교 효과가 크게 떨어진다고 한다.[* 그리고 이 교파는 '''[[술]]과 [[담배]]를 금지'''하며, 강경한 신자들은 [[카페인]]까지도 입에 대지 않는다. 술담배가 안 되는 교단에 군인이 얼마나 갈까(…)] 국내에는 이단으로 분류된 특성상 개신교계 여타 신학대학과 다르게 선교 동아리가 개설되어 있지 않다. 당연히도 삼육대 신학생들은 개신교계 타 신학대학과의 연합활동이나 [[초교파]] 활동에 대한 경험이 전무하다. 그러다보니 타 교파에 대한 배타성이 심하다고 한다.[* 이건 이 교단 일반 신자들도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교단이 이단 취급을 당하다 보니 타 개신교 신자들과의 초교파적 활동 경험이 일절 없고, 외부의 핍박(…) 때문에 그들끼리 강하게 똘똘 뭉친 것이 배타성의 형태로도 드러나는 것.] 커리큘럼도 조직신학의 비중이 높으며, 재림교파의 시초인 앨런 화이트의 사상을 배우는 과목인 "예언의 신"이 2학년 2학기 전공필수로 지정되어 있는 등, 학부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교파색이 상당히 강한 편이다. 이외에도 1학년 전공필수 과목에 영성 관련 과목이 지정되어 있는데, 다른 신학대학들에서 대부분 영성학 관련 교과목을 교양과목으로 지정해두는 것과 비교된다. [[코이네 그리스어|헬라어]]를 [[그리스어]]로 표기하는 등, 여타 개신교 교파와 표기법이 세세하게 다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삼육대학교/학부, version=226)] [[분류:삼육대학교]] [[분류:신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