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三戦の号.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삼전의 호, 일어판명칭=三戦(さんせん)(ごう), 영어판명칭=Triple Tactics Thrus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턴에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고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삼전의 호" 이외의 일반 마법 /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이 효과로 세트한 카드는 이 턴에 발동할 수 없다.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대신에 고른 카드를 패에 넣을 수도 있다.)] [[삼전의 재]]와 같이 자신 턴에 상대가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를 견제하는 효과를 가진 마법 카드. 자신 턴에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고 있을 경우에 덱의 다른 일반 마법/일반 함정 1장을 세트한다. 다만 이렇게 세트한 카드는 그 턴엔 발동할 수 없다. 그러나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면 고른 카드를 패에 넣을 수 있는데, 이 효과로 일반 마법을 서치하면 곧바로 발동할 수 있다. 효과 조건은 [[삼전의 재]]보다 널널하다. 삼전의 재는 메인 페이즈만을 따지지만 삼전의 호는 '''페이즈를 신경쓰지 않는다.''' 즉 상대가 스탠바이 페이즈에 [[증식의 G]]를 발동한다 한들 이쪽은 삼전의 호를 발동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듯 자신 턴에 상대가 몬스터 효과를 발동하고 있을 경우라면, 선턴에 [[패 트랩]]을 맞거나 후턴에 돌파를 해야 하는 상황이 있다. 이 때 삼전의 호를 발동하여, 아무 일반 마법이나 일반 함정을 꺼내올 수 있다. 다만, 패 트랩을 맞았는데 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없다면, 그대로 세트밖에 하지 못한다. 이 경우, 일반 마법을 세트하는 것은 효용성이 떨어진다. 반면에 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할 때 발동하면 세트 대신 서치를 할 수 있다. 아무 일반 마법이나 일반 함정을 서치하는 효과는 당연히 '''매우 강력한 효과'''로, [[이웃집 잔디깎기]]나 [[낙인융합]] 등등의 일반 마법을 통해 덱 기믹에 액세스하는 덱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 범용 일반 마법 카드들의 시점에서 볼 경우, 효과 조건이 [[삼전의 재]]랑 비슷하기에 상대가 메인 페이즈에 효과를 발동했다면 삼전의 재를 서치하고 곧바로 발동한다던가, [[라이트닝 스톰]]/[[번개(유희왕)|번개]]/[[해피의 깃털]]/[[명왕결계파]]/[[심연의 선고자]]/[[마음의 변화]] 등등 돌파 카드를 서치하여 돌파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테라포밍(유희왕)|테라포밍]]/[[인스턴트 퓨전]]/[[카드 파괴]]/[[죽은 자의 소생]]/[[원 포 원]]/[[어리석은 매장]]/[[봉인의 황금궤]] 등 제한인 일반 마법의 서치도 손쉽다. 이 카드 때문에 [[왼팔의 대가]]는 사실상 나락으로 떨어졌다. [[함떡 덱]]의 경우나, [[사이드 덱]]에서 상대 덱의 기믹을 카운터치는 일반 함정을 잡고 선공을 잡는 등 일반 함정을 서치할 수도 있다. 일반 함정의 경우, 어차피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있으나 마나 세트한 함정 카드는 그 턴에 발동할 수 없으므로 디메리트를 무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선공이라면 상대에게 강력한 견제를 거는 일반 함정인 [[차원 장벽]], [[홍연의 지명자]], [[이차원 그랜드]], [[아티팩트-데스사이즈]]를 소환할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의 신지|아티팩트의 신지]]를 세트하거나, 후공이라면 패에서도 발동할 수 있는 대표적인 후공 돌파 함정카드인 [[길항승부]]를 서치하여 상대 필드를 치워버리는게 가능하다. 이 카드의 등장 직전 환경에서는 자신의 선공 첫 턴에도 상대가 [[비스테드]]나 [[티아라멘츠]] 등을 특수 소환해대는 0턴 전개 형식이 돋보였는데, 그런 카드들은 본래 선공 첫 턴에 별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기 마련인 이 카드의 진가를 높여주므로 그러한 덱의 억제력으로서 주목해볼 수 있겠다. 세트한 경우라도, 발동 제한은 세트한 카드에 부과되는 것이지 같은 이름의 카드에 달리는 제약이 아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바운스되었을 경우 일반 마법이라면 그 턴 안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를 참조하고 처리를 결정하는 것은 효과 처리시이기 때문에, 상대 필드 상황과는 상관 없이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에 막힌다. 일단 상대 입장에선 덱 조작을 하루 우라라로 견제했더니 도리어 마함을 가져오는 식으로 맞설 수 있다. 일러스트는 [[삼전의 재]]의 주인이 되는 장군의 모습. 오른손에 삼전의 재에 등장한 [[철선|군바이(軍配)]]를 들고 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포톤 하이퍼노바|PHOTON HYPERNOVA]] || PHHY-JP069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삼전의 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