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삼척시 시내버스]] [include(틀:삼척시 시내버스)] [[파일:호산 LED 설치 전(24).png]] LED 설치 전. [[파일:24(삼척).pn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삼척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삼척시 시내좌석버스 24번}}} || ||<-2><:>기점||<:>강원도 삼척시 남양동(삼척종합버스정류장)||<-2><:>종점||<:>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호산버스정류장)||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7:10|| ||<:>막차||<:>19:00||<:>막차||<:>20:10|| ||<-2><:>운수사명||<:>[[강원여객]]||<-2><:>배차간격||<:>1일 13회|| ||<-2><:>노선||<-4><:>[[삼척종합버스정류장]] - 홈플러스 - 중앙시장 - 삼척병원 - 오분동 - 맹방초교 - 하맹방리 - 근덕면사무소 - 광태리 - 동막 - 궁촌레일바이크 - 원평 - (초곡.황영조기념관) - 용화 - 장호2리 - 장호케이블카 - 조개사입구 - 갈남 - 해신당공원(신남) - 임원매표소 - 임원항 - 비화리 - 길곡입구 - 원덕농협 - [[호산버스정류장]]|| == 개요 == '''삼척시를 대표하는 시내좌석버스.''' 강원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한다. == 역사 == * 아주 오래 전에는 장호 종착, 임원 종착 등 중간 종착 시간대가 꽤 있었으나, 2014년 5월에 모두 호산으로 가는 것으로 일원화 되었다. * 2015년 7월 1일에 1대가 증차되어 3~40분 간격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엄청난 승객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증차한 것으로 보인다. * 2016년 11월 1일에 삼척발 20:20 막차가 사라졌다. 예전에는 이 코스를 운행한 뒤 호산에서 숙박한 다음, [[삼척 버스 50|50번]]을 하루 종일 운행하는 코스였으나, 숙박을 폐지하고 호산까지 공차로 이동한 뒤에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4월 1일에 1대가 다시 감차되어 5~70분 간격으로 다시 늘어났다. 호산에서 동서울로 올라가는 시외버스편이 대폭 증회되면서 승객 감소에 따른 조치로 보인다. * 2018년 7월 23일에 첫차와 막차시간대가 대폭으로 조정되고, 비정기적으로 운행되었던 초곡 미경유 시간대도 2시간에 한 번으로 늘어난 동시에 호산발 07:40 차량만 경유했던 장호항 지선이 폐지되었다. * 2018년 9월 1일에 호산발 17:10, 19:20 차량이 17:05, 19:10분으로 앞당겨졌다. * 2019년 7월 1일과 2020년 12월 26일에 강원여객의 주52시간제 시행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시간이 조정되고, 24-1번이 폐지되면서 13회로 감회되었다. == 특징 == * 위에 적어놨듯이 삼척시를 대표하는 좌석버스 노선으로[* 반대로 삼척을 대표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는 보통 동해로 나가는 21-1번을 의미한다.], 삼척시내와 동부지역인 근덕면과 원덕읍을 이어주는 노선이다. * 삼척시 북쪽 끄트머리에 있는 삼척시내와 삼척시 최남단인 호산까지 이어주다보니 운행거리가 왕복 90km로 상당히 긴 편에 속한다. * 삼척버스 특성상 운전을 빠르고 험하게 하는 편인데, 운행 경로인 [[삼척로]]가 상당히 험하고 커브도 많은 굽잇길이라서 아무리 빨리 다녀도 삼척에서 호산까지 못해도 1시간은 걸린다.(...)[* 반면 [[7번 국도]]로 운행하는 [[금아여행]], [[강원여객]] 등은 신도로로 가기 때문에 빠르면 30분 만에 가는 경우가 있다.] * 삼척시내에서는 근덕면사무소까지만 시내요금인 1400원을 받고, 이후 정류장부터는 좌석요금인 2000원을 받는다. * 반대로 호산에서는 임원까지만 시내요금인 1400원을 받고, 이후 정류장부터는 좌석요금인 2000원을 받는다. * 삼척시에서 2번째로 자주 있다. === 시간표 === [[파일:호산 시간표_20200106.png]]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삼척역]](바다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