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삿포로시의 도시철도)] ||<-2><)>[[삿포로시 교통국|[[파일:sapporoTB.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margin-top: -3px;" [[삿포로시 교통국|{{{#ffffff {{{-2 삿포로시 교통국}}}}}}]][br][[삿포로 시영 지하철|{{{#ffffff 삿포로 시영 지하철}}}]]}}}||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SPRSub-Th.svg|width=50]]||{{{#0065af {{{+1 '''[ruby(東豊線, ruby=とうほうせん)]'''}}}[br]To'''h'''o Line[br]토호선}}}||}}}|| ||<-2><:>[[파일:Sapporo9000.jpg|width=100%]] ---- [[삿포로시 교통국 9000형 전동차]]|| ||<-2><:>'''{{{#ffffff 노선도}}}'''|| ||<-2><:>{{{#!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PRToho_Line_Vroutemap.png|width=100%]] }}}}}}|| ||<-2><:>'''{{{#ffffff 노선 정보}}}'''|| ||<:>'''분류'''||[[지하철]]|| ||<:>'''기점'''||[[사카에마치역(홋카이도)|사카에마치역]]|| ||<:>'''종점'''||[[후쿠즈미역]]|| ||<:>'''역 수'''||14|| ||<:>'''노선 기호'''||{{{#0065af {{{+1 '''H'''}}}}}}|| ||<:>'''개통일'''||1988년 12월 2일|| ||<:>'''소유자'''||<|2>[[삿포로시 교통국|[[파일:SapporoTB_logo.svg|width=200]][br]{{{#2B75C0 삿포로시 교통국}}}]]|| ||<:>'''운영자'''|| ||<:>'''사용차량'''||[[삿포로시 교통국 9000형 전동차]]|| ||<:>'''차량기지'''||니시 차량기지|| ||<-2><:>'''{{{#ffffff 노선 제원}}}'''|| ||<:>'''노선연장'''||13.6km|| ||<:>'''궤간'''||고무차륜 2150mm(광궤)|| ||<:>'''선로구성'''||전구간 [[복선]]|| ||<:>'''사용전류'''||[[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속도제어식|| ||<:>'''신호방식'''||[[열차자동제어장치|ATC]], [[열차자동운전장치|ATO]]|| ||<:>'''최고속도'''||70km/h|| ||<:>'''개통 연혁'''||1988. 12. 2. [[사카에마치역(홋카이도)|사카에마치]] ↔ [[호스이스스키노역|호스이스스키노]][br]1994. 10. 4. [[호스이스스키노역|호스이스스키노]] ↔ [[후쿠즈미역|후쿠즈미]]|| ||<:>[[파일:SPRToho_Line_linemap.png|width=100%]]|| ||<:>{{{#ffffff 실측지도 상의 토호선}}}|| ||<:>[youtube(QC45mSIBMGo,width=100%)]|| ||<:>{{{#ffffff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목차] [clearfix] == 개요 == [[삿포로시 교통국]]에서 운영하는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노선이다. 노선 색상은 청색(#0065af)이다. 가운데에 레일이 있고 고무타이어로 구동하는 안내궤조식이다. 차량기지는 토호선 내에 없고 [[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도자이선]]으로 가야 나온다. 이 노선은 [[히가시구(삿포로)|히가시구]] 쪽의 교통수요가 버스 및 [[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난보쿠선]]으로는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커지자 지어진 노선이다. 노선을 지을 때부터 '배리어 프리'에 입각하여 장애인을 최대한 배려하였다. 2012년 5월 1일부터 [[NTT 도코모]]의 [[Wi-Fi]]가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2014년부터 신차인 [[삿포로시 교통국 9000형 전동차|9000형]]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7000형들은 2016년에 전 차량이 퇴역하였다. 노선명은 [[히가시구(삿포로)|히가시구]](東区)와 [[토요히라구]](豊平区)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 === 노선 데이터 === * 관활 : 삿포로시 교통국 (제1종 철도사업자) * 구간 : 사카에마치~후쿠즈미 13.6km * 역수 : 14 * 궤간 : 고무차륜 2150mm * 전화: 전구간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제3궤조) * 복선: 전구간 * 폐색방식 : 차내신호제어식 * 보안장치 : ATC * 최고속도 : 70km/h == 역 목록 == * 전구간 [[홋카이도]] [[삿포로시]]내 소재. ||<-5><:>{{{#ffffff '''삿포로시 교통국 {{{-2 삿포로 시영 지하철}}} 토호선'''}}}|| ||<:>{{{#ffffff 번호}}}||<:>{{{#ffffff 역명}}}||<:>{{{#ffffff km}}}||<:>{{{#ffffff 환승노선}}}||<:>{{{#ffffff 소재지}}}|| ||<:>H01||<:>[[사카에마치역(홋카이도)|사카에마치]][br]栄町||<:>0.0||<:>||<|6><:>[[히가시구(삿포로)|히가시구]]|| ||<:>H02||<:>[[신도히가시역|신도히가시]][br]新道東||<:>0.9||<:>|| ||<:>H03||<:>[[모토마치역(홋카이도)|모토마치]][br]元町||<:>2.1||<:>|| ||<:>H04||<:>[[칸죠도리히가시역|칸죠도리히가시]][br]環状通東||<:>3.5||<:>|| ||<:>H05||<:>[[히가시쿠야쿠쇼마에역|히가시쿠야쿠쇼마에]][br]東区役所前||<:>4.5||<:>|| ||<:>H06||<:>[[키타13죠히가시역|키타13죠히가시]][br]北13条東||<:>5.4||<:>|| ||<:>H07||<:>[[삿포로역|삿포로]][br]さっぽろ||<:>6.7||¶[[삿포로 시영 지하철]] [[파일:SPRSub-N.svg|width=17]][[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난보쿠선]](N06)[* 일단 게이트 밖으로 나가서 30분 내로 난보쿠선 게이트로 들어가야 한다. 상세한 이용 방법은 [[https://www.city.sapporo.jp/st/passageway.html|여기]]를 참조.][br]¶[[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 [[삿쇼선|삿쇼선(학원도시선)]], [[치토세선]](01)||<|3><:>[[주오구(삿포로)|주오구]]|| ||<:>H08||<:>[[오도리역|오도리]][br]大通||<:>7.3||¶[[삿포로 시영 지하철]] [[파일:SPRSub-N.svg|width=17]][[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난보쿠선]](N07), [[파일:SPRSub-Tz.svg|width=17]][[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도자이선]](T09)[br]¶'''[[니시4쵸메역]]''' : [[삿포로시 교통국]] {{{#dc1424 ●}}}[[삿포로 시영 전차]](SC01)[br]¶'''[[타누키코지역]]''' : [[삿포로시 교통국]] {{{#dc1424 ●}}}[[삿포로 시영 전차]](SC24)[br]¶'''[[스스키노역]]''' : [[삿포로시 교통국]] {{{#dc1424 ●}}}[[삿포로 시영 전차]](SC23)|| ||<:>H09||<:>[[호스이스스키노역|호스이스스키노]][br]豊水すすきの||<:>8.1||¶'''[[니시4쵸메역]]''' : [[삿포로시 교통국]] {{{#dc1424 ●}}}[[삿포로 시영 전차]](SC01)[br]¶'''[[타누키코지역]]''' : [[삿포로시 교통국]] {{{#dc1424 ●}}}[[삿포로 시영 전차]](SC24)[br]¶'''[[스스키노역]]''' : [[삿포로시 교통국]] {{{#dc1424 ●}}}[[삿포로 시영 전차]](SC23)|| ||<:>H10||<:>[[가쿠엔마에역(홋카이도)|가쿠엔마에]][br]学園前||<:>9.5||<:>||<|5><:>[[토요히라구]]|| ||<:>H11||<:>[[토요히라코엔역|토요히라코엔]][br]豊平公園||<:>10.4||<:>|| ||<:>H12||<:>[[미소노역|미소노]][br]美園||<:>11.4||<:>|| ||<:>H13||<:>[[츠키사무츄오역|츠키사무츄오]][br]月寒中央||<:>12.6||<:>|| ||<:>H14||<:>[[후쿠즈미역|후쿠즈미]][br]福住||<:>13.6||<:>|| == 연장 논의 == [[1979년]] [[삿포로시]] 교통국의 지하철 3개 노선 계획도에서 [[삿포로 시영 지하철 난보쿠선|난보쿠선]], [[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도자이선]](두 노선 다 점선으로 표시한 [[1999년]] 개통된 도자이선 연장선 제외 실선으로 표시), 본 노선(토호선)(전 구간을 점선으로 표시함)이 표시되었는데, 토호선은 후술할 키타노역 인근까지 반영되어 있었다. 6년 후, [[1985년]] [[삿포로시 교통국]]은 '토호선 연장 계획'이라는 서류에서 [[후쿠즈미역]]에서 공진회장역(共進会場駅), 츠키사무히가시역(月寒東駅)을 거쳐 키타노역(北野駅; 키타노도리와 키요타도리의 교차로)까지 키타노도리를 따라가는 연장안을 제시했다. 이후 키타노도리를 따라 타치노코엔도리와의 교차로에 키요타역을 추가하는 안도 제시했다. 하지만 [[2001년]]에 [[일본 36번 국도|36번 국도]]를 따라 삿포로돔역, 히가시츠키사무역, 키타노역[* 상기한 위치와 다름], 키요타역[* 상기한 위치와 다름. 36번 국도와 타치노코엔도리의 교차로]까지 연장하는 안도 제시하였으나, 실제로 정확한 경로와 계획은 정해지지 않았고 수요 부족 문제도 있었다. [[삿포로시]]는 2020년 9월 기준 약 11만명인 [[키요타구]]의 인구가 20만 이상으로 증가할경우 사업 개시를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또한 2001년안인 36번 국도를 따라 짓는 안은 일일 총 이용객 43,900명, 총 사업비 835억엔으로 수익 창출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한다. [[키요타구]]의 인구 감소로 [[2020년]]에는 사업수익성을 신중히 고려해야 연장이 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일본야후]]에서 '札幌地下鉄東豊線延長'이라 검색해보면 키요타구 주민들의 연장 요구가 있고 토호선 연장 유치위원회 웹사이트도 상위에 나온다. [[키요타구]] 연장선이 실제로 생긴다면, [[2023년]] 기준으로 '''[[1979년]] 최초 계획발표 이후 무려 44년 이상 만에 개통하는 셈이며''', 또한 일본의 10개 지하철 체계 중 삿포로는 [[2023년]] 기준으로 가장 오랫동안 신규개통이 없는데,[* 가장 최근의 개통이 오래된 순으로 [[삿포로 시영 지하철|삿포로]], [[도에이 지하철|도에이]], [[고베 시영 지하철|고베]], [[후쿠오카시 지하철|후쿠오카]], [[오사카메트로|오사카]], [[교토 시영 지하철|교토]],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요코하마]], [[도쿄메트로]]([[토라노몬힐즈역]]은 역만 개통되었으니 제외), [[나고야 시영 지하철|나고야]], [[센다이시 지하철|센다이]] 순.] 이게 개통한다면 [[1999년]] [[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도자이선]] [[미야노사와역]] 연장 후 약 24년 이상 만에 신규개통이 되는 셈이다. [[분류:일본의 도시철도]][[분류:1988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삿포로 시영 지하철 토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