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멸종 위기 동물)] ||<-2> '''{{{#white {{{+1 상괭이}}}[br]East asian finless porpois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상괭이.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Neophocaena sunameri'' '''[br]Cuvier, 1829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계 ^^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 ^^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강 ^^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우제목 ^^Artiodactyl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쇠돌고래과 ^^Phocoen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상괭이속 ^^''Neophocaen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상괭이''' ^^''N. sunameri''^^ ||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기.svg|width=240px]] || [[파일:상괭이 갈매기.jpg]] [목차] [Clearfix] == 개요 == 수생 [[포유류]]로, 경우제목 [[쇠돌고래]]과의 동물이다. '쇠물돼지' 라고도 하며, 주로 [[바다]] 및 [[하구]]에서 서식하며, 크기가 작아서 [[민물]]에서도 문제없이 살 수 있기 때문에[* 물론 다른 [[고래]]들도 폐호흡을 하기 때문에 민물에서도 호흡이나 염분 등의 문제는 없으나 크기가 클수록 [[강]]이 너무 비좁고 먹이도 부족해서 강에서 사는 경우가 거의 없다.] 강 상류까지도 출몰한다.[* [[댐]]이 발달한 [[대한민국]]에서는 드물지만 [[중국]]의 경우 [[양쯔강]] 상류까지 올라간다. 수중보가 없던 [[조선시대]]에는 상괭이 6마리가 무리지어서 한강까지 거슬러왔다고 [[태종실록]]에 기록된 사례과 [[자산어보]]에 한강에 사는 상괭이에 대한 기록이 있다. 최근에도 한강에서 상괭이 시체가 발견된 적이 있다.] 작은 눈, 아기 같은 얼굴형, [[강거두고래]]처럼 웃는 형태의 입모양 등 상당히 귀여운 외모를 지니고 있다. [[https://m.youtube.com/watch?v=67QpPvu13Rk|영상]] 특히 [[흰돌고래|벨루가]]와 흡사하게 생겼다. == 이름 == 상괭이는 근래 그 이름이 '상괭이'로 정착되기까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가장 널리 쓰인 것은, 《[[본초강목|본초(本草)]])》의 기록으로 말미암은 '해돈어(海㹠魚)'이다. 본초강목의 역사성과 영향력에 의해 문어상으로 해돈어가 중국과 한반도를 통틀어 공식 명칭으로 취급받았다. 한국에서 발간된 서적은 해돈어를 표제로 하고 그 옆에 속명(俗名)[* [[우리말|우리나라에서 부르는 이름]] 혹은 [[사투리|해당 지역에서 부르는 이름]]]을 병기했는데, 기록된 이름과 채록된 방언명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다. *《[[향약집성방]]》 해돈어(海㹠魚) 향명(鄕名) [[물까치#s-2|물을가치(勿乙可致)]][[https://mediclassics.kr/books/93/volume/83#content_326|#]] *《[[동의보감]]》 해돈(海㹠) [[물까치#s-2|믈가치]][[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21#content_139|#]] *《[[자산어보]]》 해돈(海㹠) [[상괭이|상광어(尙光魚)]][*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402685|SSohn, Hawsun, An, Du Hae, & KIM, Doo Nam. (2012). Review of the Korean Vernacular Names of Cetaceans.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5''(5), 517. https://doi.org/10.5657/KFAS.2012.0513]]]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 슈욱이[* 아래 쇄애기와 동류로, 숨소리를 흉내낸 이름이다. (ibid)] * 쇄애기 * 물아치[* 서해 중부 지방 방언으로, 물까치의 형태가 이어져 온 것. 물치라고도 한다. (ibid.; [[https://blog.naver.com/kiwe108?Redirect=Update&logNo=222858051416|#]])] * 무라치[* 위의 물아치를 연음표기한 것으로, 북한의 표기이다. [[https://www.krpia.co.kr/viewer?plctId=PLCT00004634&tabNodeId=NODE03836908&nodeId=NODE03836910#none|원홍구. (1968). ''조선짐승류지''. 평양: 과학원출판사.]]] * 곰둥이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402685|정해석. (1993). [우리맛 기행 / 新 玆山魚譜 45] 푹 삶아 된장에 찍어먹는다 - 상광어(海豚魚). ''월간 샘터'', 24(11), 100-100.]]] 중국에서는 현재 해돈어의 표기전통을 따라 돌고래과(''Delphinidae'')는 해돈(海豚)[* 바다돼지. 우리말 물돼지에 대응되는 표현이다.]으로, 쇠돌고래과(''phocoenidae'')는 서해돈(鼠海豚)[* 쥐바다돼지(쥐물돼지). 쇠돌고래는 작은(小) 돌고래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서해돈이라는 명칭도 그러할 것이다. 쇠돌고래라는 명칭이 정착하기 전엔 한국도 종종 쥐돌고래라고 하기도 했다.]으로 부르며, 영칭의 영향을 받았는지 상괭이는 East Asian finless porpoise(''Neophocaena sunameri'')를 따라 동아강돈(东亚江豚, 동아시아강돌고래)로, 인도태평양상괭이(Indo-Pacific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는 인태강돈(印太江豚, 인도태평양 강돌고래)이라고 부르며, 한때 상괭이의 양쯔강 아종으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별개의 종으로 취급되는 ''Neophocaena asiaeorientalis''는 영칭인 Yangze finless porpoise를 따라 장강강돈(长江江豚)이라고 호칭하며, [[양쯔강돌고래]](Yantze dolphin, ''Lipotes vexillifer'')는 白鱀(豚)이라고 한다. == 상세 == 몸은 회색빛을 띠고 둥근 주둥이에 움푹한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가슴 지느러미는 달걀 모양이다. 등 지느러미는 낮고 꼬리까지 이어지며 [[물개]]나 [[바다표범]] 등과 비슷해 보이기도 한다. 고래 중에는 [[흰돌고래]]와 닮았다. 다만 흰돌고래가 훨씬 크다. [[돌고래]]와는 크기, 주둥이와 등 부분이 차이가 난다. 상괭이는 1.5에서 1.9 미터까지 자란다. 돌고래는 종마다 다르지만 평균 1.4에서 10m 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주로 단독으로 행동하는 편이나 어미와 새끼가 붙어다니고 무리를 짓는 경우도 있다. 가을철에 번식을 하는 편이다. [[동중국해]]와 [[서해]], [[남해]], 기타 일본 해역의 바다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서해]]의 중국 연안이 해양 오염 등으로 황폐화되면서 남해를 비롯한 [[대한민국]] 연안으로 몰린다고 한다. 과거에는 남서태평양에서 인도양에 이르는 해역의 연안 및 [[양쯔강]]에서 서식한다는 내용으로 서술되었으나, 이 둘은 전술한 별개의 종인 인도태평양상괭이와 양쯔강상괭이.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낮아 이름이 생소한 수생동물이다. 때문에 멋모르고 [[고래]]나 [[상어]]인 줄로 알고 포획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갯마을 쪽에서는 매우 유명한 듯. [[자산어보]]에는 '해돈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고 동양의 [[인어]] 전승의 모델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 쓰임새 == 식용으로 간혹 이용하며 지방부위, 간을 솥에 넣고 가열해 기름을 추출하여 썼다. 이를 애우기름, 애호기름이라 하며 섬마을 사람들에게 불을 밝히는 원료로 쓰였다. 근대에 와서는 어린아이의 부스럼, 짓물림 치료제로 썼으며 소가 털이 빠지는 병이 걸리면 이때도 치료제로 쓰였다. 또 벼농사를 지을 때 벼멸구가 발생하면 논 물 위에 한 숟가락씩 떨어트려 그 물을 벼에 끼얹어 퇴치했다.[* 출처: 남도인의 삶에 깃든 생물이야기 27p] 하술하지만 지금은 다 불법이다. == 보호 현황 == 현재 [[멸종 위기 동물|멸종위기 보호동물]]로 지정되었으며 멸종등급상 취약종에 속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는 엄격히 포획 및 사냥 등이 금지되었으며 이를 어길 경우 처벌을 받게 된다. 근래에는 강에서 시체가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자주 전해지며 상괭이 보호에 대한 관심도가 상승했다. 이에 대해서는 바다의 상괭이가 [[조강]] 등이 포함된 [[감조하천]]의 하류를 따라 밀물 때 강으로 흘러들어왔다가 썰물 때 하구 수중보에 막혀 민물에 갇혀서 죽은 게 아닌가 하는 시각이 있다. 해수와 담수가 섞이는 구간이 좋은 어장임을 생각해 보면, 상괭이는 먹이를 따라 강으로 흘러들어왔다가 죽게 된 셈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 [[http://post.naver.com/my.nhn?memberNo=2171379|포스트]]를 참고. 그리고 어업 방식의 문제도 있는데 안강망이라는 인간의 어업에만 유리한 방식의 [[어구]] 때문에 죽는 경우가 많은 게 현실이라고 한다. 이에 관한 내용은 [[크랩 KLAB|크랩]]의 영상을 참고. [[https://youtu.be/b04C9WV5V54|#]] > '''아기 상괭이는 엄마 뱃속에서 어떤 바다를 꿈꿨을까요? 해류에 휩쓸려 해안가에서 발견된 이 엄마 상괭이도 안강망을 피해가지 못했습니다. 곧 태어나서 바다를 누빌 꿈을 꿨던 아기 상괭이는 결국 태어나지 못했죠.''' >----- >[[크랩 KLAB|크랩]]에서 상괭이 모자의 [[비극]]적인 [[운명]]에 대해서 말하며 상괭이를 죽이는 안강망이라는 [[어구]]에 대해서 [[비판]]하는 대목. [[돌고래]]고기가 [[고래고기]] 대용으로 많이 이용되긴 하지만 상괭이는 별로 맛이 없다는 이야기가 있다. [[흑산도]] 등지에서는 잡히면 거의 [[돼지]] 사료로 줬었다고. 물론 위에도 서술했듯 현행법상 보호동물이므로 지금 와서 이렇게 한다면 처벌 받을 가능성이 높다.[* 보호 동물이 아니더라도, 야생동물 중 마구 잡아도 되는 것은 없다. 걸리면 벌금이 세다. 멧돼지 같은 유해조수류도 시기와 지역을 정해 놓고서야 사냥하게 할 정도. 야생 동물은 공격해 오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게 무엇이든 안 건드리는 것이 맞다.][* 흑산도 현지에 남은 상괭이가 많지 않아서(애초에 흑산도 근처의 고래류가 많이 없어졌다.) 현재는 상괭이 보호에 뜻을 함께하고 있다.] [[TV 동물농장]]에 따르면 상당히 많은 수의 상괭이가 그물에 걸리거나[* 물고기와 달리 폐호흡을 하는데다 잠수 시간도 2,3분 정도로 짧기 때문에 그물에 걸리면 높은 확률로 질식사한다.] 선박 스크류에 치여서 죽는다고 한다. 산 채로 발견된다 해도, 상괭이에 대한 인지도가 부족하다 보니 신고하기보다 그냥 죽여서 립스틱의 재료로 만들거나 [[고래고기]]로 판다고 한다.[* [[고래고기]] 파는 곳에 취재를 갔더니 상괭이가 [[돌고래]]라며 제작진에게 돌고래고기가 만원이니까 사먹으라고 권하는 것이 압권.] 그러나 상괭이는 맛이 좋고 말고를 떠나서 멸종 위기 '''취약종'''[* 국가 차원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위기종이 될 확률이 높다는 의미.]이다. 만약 개펄이나 해변에서 죽어가는 상괭이를 발견하면 꼭 신고하자.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경찰 (112)에 신고하면 되며[* 얼핏 보면 민원 사항이라 110으로 신고해야 할 거 같지만, 상괭이가 멸종위기 동물인데다 함부로 해칠 경우 범죄까지 될 수 있어 긴급을 요하는 일이다. 범죄신고인 112로 신고해야 하는 이유다.], 신고가 접수된 이후에는 [[대한민국 해양경찰청|해양경찰]]에서 출동하여 상괭이를 바다로 돌려준다.[[https://www.youtube.com/watch?v=t8SJ2i4l8TI|영상]] 물론 사체를 보았을 때에도 112에 신고하면 사체를 수거해간다. [[국립수산과학원]]과 해양동물생태보존연구소에서 공동으로 3월~6월 사이 [[태안군]]에서 수거한 상괭이 사체 224마리를 조사했는데 무려 219마리가 아직 다 자라지 못한 어린 개체였다. 현재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부산아쿠아리움]]에서 상괭이 보호활동을 하고 있다. 상괭이 두 마리를 구조해 [[개복치]] 전용 수조에서 전시하기도 했으며(개복치가 폐사한 후), 2015년 전시 기간이 끝나고는 방생했다. 또한 이 때의 경험을 살려 지속적인 구조와 방생 작업을 하고 있다. == 기타 == [[백상아리]]가 상괭이를 매우 좋아하는 듯 하다. [[서해]]까지 올라온 백상아리에게 먹힌 자국이 있는 시체가 해안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타 지역에선 [[물개]]를 잡아먹지만 [[한국]] 인근 연안에서는 [[바다사자(종)|바다사자]] 남획 등 물개류가 보기 힘들어져서[* 가끔씩 [[큰바다사자]]나 [[북방물개]]가 나타나기도 한다.] 상괭이를 대신 잡아먹는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상황으로 백상아리가 [[서해]]에 사는 [[점박이물범]]을 공격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보통 타지역에서는 물개와 비슷하게 보이는 서퍼들을 공격하나 한국 연안에서는 잠수하는 [[해녀]]들을 상괭이로 착각해 공격한다. [[삵|살쾡이]]와 이름이 비슷해도 아무런 연관이 없다. 이쪽은 [[고양이과]] 동물이다. [[베리베리 뮤우뮤우]]에서 [[미도리카와 레타스]]의 매개 동물이 이 동물이다. 국내 수족관에서 전시한 기록은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 밖에 없지만, 옆나라 일본은 현재도 사육 및 전시하고 있는 수족관이 꽤 있다. 대표적으로 [[토바 수족관]]과 가이쿄칸이 있으며 번식도 잘 이루어지는 편이다. [[군산시 시내버스]]에서 고군산군도에 진입하는 버스들(99번) 도색을 파란 바다 물결에 상괭이를 마스코트로 한 도색을 사용중이다. (2024년 현재 [[우성여객]] 2020호만 존재하며 나머지 차량들(1000,1059,2059)은 전부 매각되거나 대차되었다.) [각주] [[분류:상괭이속]][[분류:해양보호생물]][[분류: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