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상대습도([[相]][[對]][[濕]][[度]])는 절대습도와 달리 기온에 따른 습하고 건조한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상대습도는 현재 대기 중의 수증기의 질량을 현재 온도의 포화 수증기량으로 나눈 비율(%)로 나타낸다. 따라서 절대 습도와는 다르게 수증기량이 같더라도 온도에 따라 습도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건조하고 습한 정도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온도가 낮을 수록, 현재 수증기량이 높을 수록 비율이 증가한다. 그 비율이 1:1이 되도록 조절하면 포화상태에 해당하는 이슬점이 된다. 온도를 더 낮추면 해당 온도에서의 포화 수증기량을 초과하게 되므로, 남은 양만큼이 액체 상태인 물이 되어 밖으로 튕겨나온다. 상대습도의 개념은 중학교 3학년 과학에서 처음 등장한다. 상대습도는 [[지구과학Ⅰ]]에서 반드시 수능에 나오는 부분이었으나 2014년도 이후 [[지구과학Ⅱ]]로 올라가 버렸다. 덕분에 해당 단원 전체가 난이도가 하향되었다는 소리를 듣는다. 이론적인 개념 이해는 [[화학Ⅱ]]에서 다룬다. == 공식 == [[파일:상대습도_공식.jpg]] == 건습구 온도계 == === 정의 === 건습계라고도 불린다. 건구온도계와 습구온도계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습도표가 붙어있는 경우도 있다. 보통 상대습도를 쉽게 구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사용되며 습구온도계의 밑에는 건구와 다르게 헝겊에 물을 묻혀 그 물의 기화열에 의한 온도차를 만든다. 그리고 그 온도차를 이용해 상대습도를 구할 수 있다. === 습도표 === ||<|2> 건구 온도||<-11> 건구와 습구의 온도차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16℃ || 100% || 90% || 81% || 71% || 63% || 54% || 46% || 38% || 30% || 23% || 15% || || 17℃ || 100% || 90% || 81% || 72% || 64% || 55% || 47% || 40% || 32% || 25% || 18% || || 18℃ || 100% || 91% || 82% || 73% || 65% || 57% || 49% || 41% || 34% || 27% || 20% || || 19℃ || 100% || 91% || 82% || 74% || 65% || 58% || 50% || 43% || 36% || 29% || 22% || || 20℃ || 100% || 91% || 83% || 74% || 66% || 59% || 51% || 44% || 37% || 31% || 24% || || 21℃ || 100% || 91% || 83% || 75% || 67% || 60% || 53% || 46% || 39% || 32% || 26% || || 22℃ || 100% || 92% || 83% || 76% || 68% || 61% || 54% || 47% || 40% || 34% || 28% || || 23℃ || 100% || 92% || 84% || 76% || 69% || 62% || 55% || 48% || 42% || 36% || 30% || == 관련 문서 == * [[습도]] [[분류:대기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