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上龍田驛 / Sangryongjŏn Station}}} ||<-3> {{{+2 '''상룡전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함경북도 상룡반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angryongjŏn || || [[한자]] ||<-2> 上龍田 || || [[간체자]] ||<-2> 上龙田 || || [[일본어]] ||<-2> [ruby(上龍田, ruby=サンニョンジョン)] || ||<-3> '''주소''' || ||<-3> [[함경북도]] 명간군 룡덕리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청진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평라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함경선]] ||<-2> 1927년 12월 1일 || ||<-3> '''열차거리표''' || || [[평양역|{{{#585858 {{{#!html
평양 방면
}}}}}}]][[룡반역|룡 반]][br]← 4.0km || '''[[평라선]]'''[br]상룡전 || [[라진역|{{{#585858 {{{#!html
라진 방면
}}}}}}]][[룡동역|룡 동]][br] 4.5km → || [목차] [clearfix] == 개요 == [[평라선]]의 철도역. [[함경북도]] [[명간군]] 룡덕리 소재. 상룡반역으로도 불린다. 원래는 용전리라는 마을과 대덕이라는 마을(리 단위로 정식 등록되어 있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을 합치면서 용덕리라는 이름이 붙은 것. 그 용전리의 윗부분에 있다고 상룡전역이다. == 역 정보 == 다른 역과는 달리 승강장측 선로로 진입하면 빠져나갈 수 없는 구조이다. [[양덕군]] [[내동역]]과 비슷한 케이스. 더 골 때리는 것은 본선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아예 본선을 따라 후진했다가 다시 달려야 한다는 것. 다만 역의 구조가 대략 아래와 같은 식이다. || 선로 || 승강장 || 선로 || 공터 || 선로 || 이 공터의 틈새가 승강장만큼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공간이 있어서 이쪽으로 내리는 편이 시간을 위해서나 안전성을 위해서나 훨씬 낫다. 뭐 어차피 중요한 선로가 분기하는 것도 아니고, 인입선이 나 있다지만 화물의 수송량이 많은 것도 아니니. 이 역 옆에 나 있는 도로를 따라서 북쪽으로 6~7km 정도 북상하면 나오는 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의 정체는 '''[[명간 제16호 관리소]]'''. [[http://www.spiegel.de/fotostrecke/fotostrecke-42797-11.html|이 링크]]는 [[독일]]의 슈피겔 지에서 명간 제16호 관리소의 경계를 위성사진으로 표시한 자료인데, 오른쪽 아래에 있는 내려다보는 높이에 주목. 무려 40km 상공에서 내려다보는 게 저 정도인데, 저걸 실제로 [[구글 어스]]와 비교해 보면 '''남북으로 약 20km, 서북 - 동남쪽 사선으로 30여 km'''라는 [[충공깽]]스러운 결과가 나온다. 수용소의 넓이는 무려 '''549㎢'''(!!) 수용소의 경계만 수백 km는 된다고 한다. 뭐 산지가 더럽게 많으니 그거 다 빼도 마을이 두 개다. 참고로 [[길주청년역]] 문서에서 설명된 핵 실험의 장소로 꼽히는 데가 [[풍계리 핵실험장|풍계리]]인데, 이 풍계리에서 약 20km 북쪽으로 가면 만탑산(萬塔山, 높이 2,205m)이라는 곳이 있다. [[대한민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는 대부분 이 만탑산을 핵 실험 장소로 지목해 오고 있었는데, 바로 이 핵 실험 장소 바로 동쪽이 16호 관리소. 몇몇 망명자가 밝히기를 이 핵 실험을 위해 이 수용소에 수감된 사람들이 터널 뚫고 별의별 걸 짓느라 고생을 해야 했다고. [[분류:평라선]][[분류:192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