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 '''Grand Prix de l'Imaginaire'''}}}(그랑프리 드 이마지네르) [[프랑스]]의 [[사이언스 픽션]] 문학상으로, 프랑스에서 가장 오랫 동안 이어지고 있는 SF 문학상이다. [[1974년]] 작가이자 비평가인 장 피에르 폰타나(Jean-Pierre Fontana)가 창설했다. 원래는 "프랑스 SF 그랑프리"(Grand Prix de la Science-Fiction Française)라는 명칭이었는데, 1992년부터 해외 SF 소설과[* 해외 작품들도 대상으로 하던 [[https://fr.wikipedia.org/wiki/Prix_Apollo|아폴로상]]이 있었지만 1990년 이후 폐지되었다.] [[판타지(장르)|판타지]]나 [[호러물|호러]] 같은 장르들도 대상으로 하기 시작하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수상 목록 == === 프랑스 장편 === '''Roman francophone''' * 제1회 (1974년) '''미셸 죄리 《Le temps incertain》''' * 제2회 (1975년) '''필리프 퀴르발 《L'homme à rebours》''' * 제3회 (1976년) '''필립 고이 《Le Livre/machine》''' * 제4회 (1977년) '''미셸 데무스 《Les Galaxiales》''' * 제5회 (1978년) '''피에르 플로 《Delirium circus》''' * 제6회 (1979년) '''이브 레미, 아다 레미 《La Maison du Cygne》''' * 제7회 (1980년) '''다니엘 발터 《L'Épouvante》''' * 제8회 (1981년) '''세르주 브뤼솔로 《Vue en coupe d'une ville malade》''' * 제9회 (1982년) '''엘리자베스 보나뷔르 《Le Silence de la cité》''' * 제10회 (1983년) '''피에르 비용 《L'Enfant du cinquième nord》''' * 제11회 (1984년) '''장 피에르 위베르 《Le Champ du rêveur》''' * 제12회 (1985년) '''앙드레 루엘랑 《Mémo》''' * 제13회 (1986년) '''조엘 후신 《Les vautours》''' * 제14회 (1987년) '''앙투안 볼로딘 《Rituel du mépris, variante Moldscher》''' * 제15회 (1988년) '''세르주 브뤼솔로 《Opération « serrures carnivores »》''' * 제16회 (1989년) '''조엘 윙트레베르 《Le Créateur chimérique》''' * 제17회 (1990년) '''장 피에르 앙드레본 《Sukran》''' * 제18회 (1991년) '''프란시스 베르텔로 《Rivage des intouchables》''' * 제19회 (1992년) '''조엘 후신 《Le Temps du twist》''' * 제20회 (1993년) '''아예르달 《Demain, une oasis》''' * 제21회 (1994년) '''피에르 보르다주 《Les Guerriers du silence》''' * 제22회 (1995년) '''로랑 젠포르 《Arago》''' * 제23회 (1996년) '''모리스 G. 단텍 《Les racines du mal》''' * 제24회 (1997년) '''장 마르크 리니 《Inner city》''' * 제25회 (1998년) '''세르지 레만 《F.A.U.S.T.》''' * 제26회 (1999년) '''롤랜드 C. 와그너 《Les Futurs mystères de Paris》 (시리즈)''' * 제27회 (2000년) '''장 미셸 트뤼옹 《돌의 후계자》''' * 제28회 (2001년) '''르네 르누벤 《Bouvard, Pécuchet et les savants fous》''' * 제29회 (2002년) '''피에르 페벨 《Les Ombres de Wielstadt》''' * 제30회 (2003년) '''미셸 파겔 《Le roi d'août》''' * 제31회 (2004년) '''파브리스 코랭 《Dreamericana》''' * 제32회 (2005년) '''아예르달 《Transparences》''' * 제33회 (2006년) '''알랭 다마시오 《La horde du contrevent》''' * 제34회 (2007년) '''카트린 뒤푸르 《Le Goût de l'immortalité》''' * 제35호 (2008년) '''웨인 배로 《Bloodsilver》''' * 제36회 (2009년) '''조르주 올리비에 샤토레노 《L'Autre rive》''' * 제37회 (2010년) '''스테판 보베르제 《Le Déchronologue》''' * 제38회 (2010년 EV) '''쥐스틴 니오그레 《Chien du heaume》''' * 제39회 (2011년) '''미셸 죄리 《May le monde》''' * 제40회 (2012년) '''롤랜드 C. 와그너 《Rêves de Gloire》''' * 제41회 (2013년) '''토마스 데이 《Du sel sous les paupières》''' * 제42회 (2014년) '''L. L. 클로트져 《Anamnèse de Lady Star》''' * 제43회 (2015년) '''크리스토프 랑베르 《Aucun homme n'est une île》''' * 제44회 (2016년) '''로랑 젠포르 《Lum'en》''' * 제45회 (2017년) '''로맹 뤼까조 《Latium》 1 & 2권''' * 제46회 (2018년) '''칼보 《Toxoplasma》''' * 제47회 (2019년) '''패트릭 K. 듀드니 《Le Cycle de Syffe》 1 & 2권''' * 제48회 (2020년) '''알랭 다마시오 《Les Furtifs》''' * 제49회 (2021년) '''로린 루 《Le Sanctuaire》''' * 제50회 (2022년) '''제롬 르로이 《Vivonne》''' * 재51회 (2023년) '''마거리트 임베르 《Les Flibustiers de la mer chimique》''' === 해외 장편 === '''Roman étranger''' === 프랑스 중/단편 === '''Nouvelle/Novella francophone''' === 해외 중/딘편 === '''Nouvelle/Novella étrangère''' === 프랑스 청소년 장편 === '''Roman jeunesse francophone''' === 해외 청소년 장편 === '''Roman jeunesse étranger''' === 번역 (자크 샴봉상) === '''Traduction (Prix Jacques Chambon)''' === 삽화 (보이치에흐 시우드마크상) === '''Graphisme (Prix Wojtek Siudmak)''' === 논픽션 === '''Essai''' === 특별상 === '''Prix spécial''' == 기타 == 2010년에는 대상 기간을 1년으로 딱 맞추기 위해 시상식을 두 번 열었다. 2010년의 두 번째 시상식은 [[https://www.etonnants-voyageurs.com|놀라운 여행자들]](Étonnants Voyageurs) 문학제에서 개최했기 때문에 "2010 EV"이란 약칭을 사용한다. == 외부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https://gpi.noosfere.org|#]] * 프랑스어 [[위키백과]] [[https://fr.wikipedia.org/wiki/Grand_prix_de_l'Imaginaire|#]] [[분류:SF 상]][[분류:판타지 어워드]][[분류:프랑스 SF 소설]][[분류:1974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