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上元帥}}} [[고려]] 시대에 설치됐던 [[무관#s-3]] [[관직]]. [[도원수]], [[부원수]] 등과 함께 각 도의 군지휘부를 구성하는 [[원수]]로서 3명이 임명됐다. == 설명 == 고려 전기에는 [[당나라군|당제]]를 이어 상설 관직은 아니었고, 전시 5군(五軍) 혹은 3군(三軍)의 특별군이 편성되면 [[총사령관]] [[도원수]], [[부사령관]] [[부원수]]와 함께 설치되어 군 지휘부를 구성했다. 1374년([[공민왕]] 23년), 고려의 [[탐라]](耽羅) 정벌시 [[양광도]]·[[전라도]]·[[경상도]] 도통사(都統使) [[최영]](崔瑩)의 지휘 아래에 양광도·경상도·전라도 상원수(上元帥), 부원수(副元帥)를 각각 1인씩 배속시키면서 상설직화 되었다. 이 때 상원수와 부원수는 도명(道名)을 관칭하며 해당 도에서 징발한 군사들을 지휘하였다. 조금 뒤에는 각 도마다 도원수(都元帥)·상원수·부원수 각 1인씩 모두 3인의 원수가 임명됐다. 도원수는 [[개경]]에서 자신이 분정된 도의 시위군(侍衛軍)을 관할하였고, 부원수는 대개 각 도의 도순문사(都巡問使)를 겸하여 해당 도에 남아 외적을 방비하였으며, 상원수는 평시엔 개경에 있었으나 유사시엔 임지로 내려가 해당 도의 군을 지휘했다. 1388년([[우왕]] 14년), [[위화도 회군]](威化島回軍)으로 [[이성계]](李成桂)가 정권을 장악한 뒤 1390년([[공양왕]] 2년), 각 도 원수의 인장을 회수하고 이듬해 [[삼군부|삼군도총제부]](三軍都總制府)가 설치되면서 원수직제는 혁파되었다. == 알려진 상원수 역임자 == * [[강감찬]](姜邯贊) * [[박위]](朴葳) * [[지용기]](池湧奇) * [[지룡수]](池龍壽) == 관련 문서 == * [[원수(계급)]] * [[도원수]] * [[부원수]] * [[위화도 회군]] * [[조전원수]] * [[최영]] * [[이성계]] * [[이방원]] [각주] [[분류:고려의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