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상주시)] [include(틀:상주시의 교통)] [목차] == 철도 == [[철도]]는 운행 편수 다 합해야 1일 왕복 10회로 악명높은 [[경북선]]이 지나가는 지역으로, 공성면에 [[옥산역]], 청리면에 [[청리역]], 시내에 [[상주역]], 함창읍에 [[함창역]]이 있다. [[상주역]]이 상주시, 아니 경북선 수요 상당수를 캐리하고 있다는 게 그나마 특이할 점. 소요시간이 도로에 비해 많이 걸리는 편인 데다가 모든 열차가 경북선 구간운행만 하기 때문에, 서울이나 부산 방면으로 가려면 [[김천역]]에서 갈아타야 한다.[* 단, 모서면·모동면 주민들은 고개 너머에 있는 [[경부선]] [[황간역]]을 많이 이용한다.] 다만, 문경까지 [[중부내륙선]]이 개통되고 김천 ~ 문경 구간 이설 및 개량화가 이루어진다면, [[KTX-이음]]으로 수도권에 직통으로 진입이 가능해지므로 철도의 미래가 어둡지만은 않다.[* 거기에 [[수서광주선]]까지 개통되면 바로 서울로 진입이 가능하다.] 2022년 11월 28일 국토교통부에서 기획재정부가 문경 ~ 상주 ~ 김천 철도 개량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시켰다고 발표했다.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518136|#]] | [[http://www.senior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9534|@]] | [[http://www.ichannela.com/news/main/news_detailPage.do?publishId=000000324998|$]] [[2023년]] 초 기본 계획 수립에 들어가 실시 설계를 거쳐 [[2026년]]에 착공한다고 한다. [[2030년]]에 개통할 예정이다.[* 설계 3년, 공사 5년 정도 걸릴 예정이다.] 또한 충북 보은군에서는 [[http://www.segyenewsagency.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743|청주공항-보은-의성-영덕간 철도]]를 만들려 했던적이 있었으나 [[서산영덕고속도로|청원-상주간 고속도로]]를 건설하기에 바빠서 그런지 실현되지 못해 상주지역의 동서철도노선 연결의 찬스도 놓쳐 버렸다. == 도로 == 말 그대로 도로 초강세 지역이다.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시작으로 여러 고속도로들이 상주시에서 교차하여 새로운 교통의 요지가 됐다. [[2004년]]에 개통한 [[중부내륙고속도로]] [[점촌함창IC|점촌함창 나들목]], [[상주IC|상주 나들목]], [[북상주IC|북상주 나들목]]이 있어 고속도로 접근성이 편리하고, 추가로 [[서산영덕고속도로]] [[낙동JC|낙동 분기점]], [[상주JC|상주 분기점]](낙동면), [[화서IC|화서 나들목]](화서면, 화령)과 [[남상주IC|남상주 나들목]], [[동상주IC|동상주 나들목]](낙동면)이 있다. 두 고속도로의 잇따른 개통으로 [[서울특별시|서울]]까지 주행 시간이 2시간 30분 이하로 줄어드는 등 타 지방으로의 연결이 굉장히 편리해졌다. 특히 [[서산영덕고속도로]]는 주말과 공휴일에 [[경부고속도로]] [[간선급행버스체계|버스전용차로]]시행 때문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내려오는 [[경상도|영남권]] 고속버스들이 대개 이쪽으로 우회한다. 2017년 6월 28일에는 [[상주영천고속도로]]가 개통하여 영천, 경주, 포항, 울산, 부산으로 가는 중요한 통로 역할을 한다. 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서울특별시|서울]], [[대전광역시|대전]], [[대구광역시|대구]] 등 주요 대도시로의 이동 시간이 크게 단축되면서 새로운 물류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 [[국도]] === [[3번 국도]], [[25번 국도]]가 시내를 지나난다. 또한 중동면과 낙동면 쪽으론 [[59번 국도]]가 지나고 있고 [[37번 국도]]가 화북면을 잠깐 지나간다. 국도별 상황은 다음과 같다. * [[3번 국도]]: [[김천시]]에서 넘어와 공성, 청리, 상주시내, 외서, 공검, 이안, 함창을 거쳐 [[문경시]]로 넘어간다. 전 구간 왕복 4차로 이상이고, 청리면 터골에서 부터 김천시경계까지는 [[자동차전용도로]]로 등록되어 있다. 상주시내에서 문경으로 이어지는 구간은 [[영남대로]]라 불리며 전통적으로 영남과 서울을 잇는 간선 도로였다. 다만 지금은 [[중부내륙고속도로]] 개통으로 고속도로의 보조 역할을 하는 상태. * [[25번 국도]]: [[구미시]]에서 넘어와[* 확포장 이후 구미시에서 의성군을 잠깐 경유하고 넘어온다.] 낙동면을 거쳐 상주시내를 북쪽으로 우회하였다가, 다시 서쪽으로 향하여 내서, 화서, 화남을 거쳐 [[보은군]]으로 넘어간다. 시내 동쪽 구간은 [[낙동대로(경상북도)|최근에 개량되어 선형이 잘빠진 도로]]이지만, 서쪽으로는 [[영남제일로|굽이굽이 산골을 따라 흘러간다.]] * [[37번 국도]]: 화북면 운흥리와 중벌리를 지나간다. * [[59번 국도]]: [[구미시]]에서 넘어와 낙동,중동면을 거쳐 [[의성군]] 다인면으로 넘어간다. 상주시 동쪽을 살짝 스쳐가는 국도.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32번 지방도]] , [[49번 지방도]], [[68번 지방도]] *지방도 : [[901번 지방도]], [[912번 지방도]], [[916번 지방도]], [[997번 지방도]] == 버스 == ===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 [[고속버스]]는 [[상주종합버스터미널]]을 이용하며, [[고속버스 서울경부-상주|서울경부행]]에 [[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이 들어온다. 다만, [[시외버스 동서울-상주|동서울행 시외버스]]보다 비중이 낮은 편. [[시외버스]]는 동대구/대구북부, 청주, 동서울로 가는 노선의 운행 편수가 가장 많다. [[코리아와이드]] 계열의 [[시외버스]] 업체인 [[진안고속]]의 차적지가 상주시다. === 시내버스 === [[시내버스]]는 하루에 모든 노선을 다 합쳐 150편 정도가 다니고 있다. 주요 노선[* [[상주종합버스터미널|터미널]]-청리·선산, 터미널-화서면, 터미널-함창읍]의 경우 하루 15개 전후의 차선이 배치되고 그 외에 차선은 보통은 5~6개, 인구가 적은 곳은 아침, 낮, 저녁 3회 정도 운행한다. 요금은 입석 1,300원(교통카드 1,200원), 좌석 1,700원.(교통카드 1,600원) 이 동네 역시 [[경상북도]] 북부 지역답게 [[티머니]]를 주요 [[교통카드]]로 이용하고 있다. [[2011년]] 9월부터 [[문경시]]와 함께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에서 메인으로 사용하는 전국공용 티머니가 개통되어 현금 승차 외에 교통카드 승차도 가능하게 되었다. 환승의 경우 티머니 개통 당시에는 대기 시간이 30분이었으나, 상주시에서 30분 가지고는 환승이 가능한 곳이 없어서 2012년 4월부터 1시간으로 늘어났다. [[상주여객]]에서 운행 중인 모든 시내버스는 시간표 운행제로 [[상주종합버스터미널|터미널]]을 시발점으로 하여 종점에 도착한 후 종점에서 터미널로 다시 돌아오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주시의 버스 시간표에는 터미널발 시간과 종점발 시간만 적혀 있다. 모든 정류장에도 각 정류장의 정차시간이 아닌 터미널발 시간과 종점발 시간만 적혀 있으므로, 터미널에서 타고 오지 않는 이상 각 정류장에 오는 버스 시간은 '''각자 외워서 타고 다녀야 한다.''' 2012년 6월 현재 정류장별 정류시간이 추가되었는데, 솔직히 '''안 맞다.''' 게다가 종점행은 대충 맞을지 몰라도, 터미널행은 '''정말 맞는 게 없다.''' 잘 외워서 타고 다니자. 게다가 시내 순환버스 따위는 없으므로 시내의 경우 [[자전거]]가 없다면 생활이 '''매우''' 힘들다. 예컨대, 상산전자고등학교부터 상주시청까지 3km를, 다른 지역들은 상상하기 힘들지만 상주시에서는 이 정도는 다들 '''그냥 걸어다니거나 자전거를 타고 다닌다.''' 최근 상주고등학교에서의 조사에서 상주지역 14~19세 청소년은 하루 평균 14km의 거리를 자전거로 이동한다고 과제를 통해 발표했다. 이와 관련된 내용들은 아래 상주와 자전거 문단 참조. 시내버스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상주시 시내버스]] 참조. == 택시 == ||<-2> [[파일:상주시 CI_White.svg|width=25]]{{{#ffffff '''경북 상주시 택시''' }}} || ||<|4> '''일반택시''' || || 기본요금 4,000원(2km) || || 추가(병산제) 100원(31초/131m) || || 심야 및 시계 외 할증 20% / 복합 할증 63% || ||<-2> [[고속도로/대한민국|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상주시, version=1279)] [[분류:상주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