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상하이 협력 기구'''}}}}}}[br]{{{#fff '''上海合作组织'''}}}[br]{{{#fff '''Шанхай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сотрудничества[br]Shanghai Cooperation Organisation'''}}} || ||<-2> [[파일:상하이협력기구 로고.svg|width=70%]] || ||<-2> {{{#fff '''로고'''}}} || || {{{#fff '''설립'''}}} ||[[2001년]]|| || {{{#fff '''본부'''}}} ||[[중국]] [[베이징]] || || {{{#fff '''회원국'''}}} ||9개국(정회원)[br]3개국(준회원) || || '''[[공용어|{{{#fff 공용어}}}]]''' ||[[중국어]], [[러시아어]] || || {{{#fff '''사무총장'''}}}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px]] 장밍 || || {{{#fff '''공식 사이트'''}}} ||[[http://eng.sectsco.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2> {{{#fff '''언어별 명칭'''}}}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한국어|{{{#fff 한국어}}}]]''' || 상하이 협력 기구 ([[上]][[海]][[協]][[力]][[機]][[構]]) || || '''[[중국어|{{{#fff 중국어}}}]]''' || '''[ruby(上海, ruby=shànghǎi)][ruby(合作, ruby=hézuò)][ruby(组织, ruby=zǔzhī)][* 상하이 합작조직]''' ('''[ruby(上合, ruby=shànghé)][ruby(组织, ruby=zǔzhī)]''') || || '''[[러시아어|{{{#fff 러시아어}}}]]''' || '''Шанхай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ШОС''') || || '''[[카자흐어|{{{#fff 카자흐어}}}]]''' || Шанхай Ынтымақтастық Ұйымы (ШЫҰ)[br]Şanxaý Intımaqtatsıq Uýımı (ŞIU) || || '''[[키르기스어|{{{#fff 키르기스어}}}]]''' || Шанхай кызматташтык уюму (ШКУ) || || '''[[우즈베크어|{{{#fff 우즈베크어}}}]]''' || '''Sh'''anxay '''h'''amkorlik '''t'''ashkiloti (SHHT) || || '''[[타지크어|{{{#fff 타지크어}}}]]''' || Созмони ҳамкории Шанхай || || '''[[힌디어|{{{#fff 힌디어}}}]]''' || शंघाई सहयोग संगठन || || '''[[우르두어|{{{#fff 우르두어}}}]]''' || شنگھائی تعاون تنظیم || || '''[[페르시아어|{{{#fff 페르시아어}}}]]''' || سازمان همکاری شانگهای || || '''[[영어|{{{#fff 영어}}}]]''' ||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 || '''[[일본어|{{{#fff 일본어}}}]]''' || [ruby(上, ruby=シャン)][ruby(海, ruby=ハイ)][ruby(協, ruby=きょう)][ruby(力, ruby=りょく)][ruby(機, ruby=き)][ruby(構, ruby=こう)] || || '''[[스페인어|{{{#fff 스페인어}}}]]''' || Organización de Cooperación de Shanghái || || '''[[프랑스어|{{{#fff 프랑스어}}}]]''' || Organisation de coopération de Shanghai || || '''[[독일어|{{{#fff 독일어}}}]]''' || Shanghaier Organisation für Zusammenarbeit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정치·경제·안보 협의체. == 역사 ==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5개국이 [[1996년]] 4월 26일 결성한 [[상하이]] 파이브(Shanghai Five)가 전신이며, 거기에 [[우즈베키스탄]]이 [[2001년]]에 가입하면서 상하이 협력기구로 명칭을 변경하여 생겨난 [[국제기구]]. 중심이 되는 두 국가(러시아, 중국)가 [[미국]], [[유럽연합]],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등과 대립관계인 대표적인 [[반미]] 국가들이고 나머지 정회원국, 준회원국, 협력파트너 국가들도 친중, 친러 성향인 걸로 보아 기구 자체도 나토, 서방세계를 견제하는 [[바르샤바 조약기구]][* 다만, 상하이 협력기구는 가입국가들이 동유럽 및 구소련 국가에 치중되어있지 않고 범위가 더 넓기에 가입 국가들 목록만 보면 [[코메콘]]과 더 비슷하다. NATO가 군사적인 동맹의 성격이 강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NATO와 비교될만 한 조직은 오히려 [[CSTO]]에 더 가깝다.]와 비슷한 기구이다.[* 단 쿼드에 가입해있는 인도, 눈치만 보고 있는 내륙국들, 아예 nato인 튀르키예가 신청한걸로 보아 완전히 반미, 친러, 친중 기구라 보긴 어렵다.] 미국이 2005년에 참관국 자격으로 참가하려 했지만 거부되기까지 했다. 또 밑의 목록의 국가들을 보면 대부분이 아시아 국가들이다. 인도와 파키스탄의 정회원국 가입에 이어 [[우크라이나]], [[몰디브]], [[이스라엘]], [[이집트]], [[아르메니아]], [[네팔]], [[캄보디아]], [[시리아]] 등 9개국도 대화파트너국가에 신청하면서 상하이 협력기구의 회원국들이 늘어나고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473394|#]] 상대적으로 느슨한 안보협력체제였지만 2012년 이후부터 [[NATO]]에 준하는 형태로의 협력모델안이 언급되기 시작했다. 2015년에는 본격적으로 그 역할에 대한 입장이 커지기 시작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7726051|기사]]/[[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7724700|기사2]] 실제로 중국은 넌지시 동아시아 안보협력기구 문제에서 한국과 일본에게도 이 기구의 가입이나 협력을 슬쩍 권유하는 형태의 뉘앙스를 보이기도 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6918751|기사]] 하지만 한국과 일본은 미국의 주요 동맹국이니 만큼 가입은 켜녕 협력도 쉽지 않아 보인다. 물론 튀르키예의 예가 있긴하지만 그 튀르키예도 SCO에 아직까지는 준회원국에도 가입하지 않았다. 미국의 대항마적 성격이 있다지만 정회원국간의 정치적 이해와 입장이 상당히 다른 기구라 할 수 있다.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중앙 아시아를 중심으로 국경이 닿는 인접국들이 많다. 문제는 국경이 서로 닿는 국가들이 으레 그렇듯이 영토 분쟁같은 갈등도 함께 있는 관계라는 점. 대표적으로 인도와 파키스탄의 안보협력은 [[오월동주|이 이상으로]], 이들 간 협력은 생각하기 매우 어렵다고 보여지는게 현실이다. 회원국 각국간의 분명한 대립이 있고 (인도-파키스탄, 인도-중국 등등) 안보환경도 다르기 때문에, [[NATO]]와 같은 완전한 적극적 방위를 위한 집단안보체제의 결속과 협력은 상대적으로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사실 인도가 상하이 협력기구에 가입한 목적은 중국을 견제하고 중앙아시아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가입한 것이다.[[https://www.ajunews.com/view/20170607094629371|#]]] 즉, 대미-대서방 견제 이상의 목적을 띄는 안보활동에서는 사사건건 갈등과 이해관계가 워낙 복잡한 기구 가입국 간의 입장 차이가 있는데다가, 당장 회원국들 중에 어느 한 국가가 침략을 받을 경우, 거기에 협력한다는 형태인 집단적 방어에 대한 합의가 명확하게 잡혀있지 않고, 집단안보체제로서의 역할개념도 매우 느슨한 국제기구라 하겠다.[[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707000620&md=20150710005905_BL|기사]] 서로가 서로를 견제하기도 하여 진정한 의미의 동맹이 되기는 힘들 것이다. 한쪽이 다른 쪽에 명령을 하면 꼼짝없이 행해야 하는 전근대의 속국 혹은 괴뢰국같은 주종관계라면 모를까. 하지만 2015년에 들면서 중국과 러시아가 이 기구를 통해 [[BRICS|브릭스]]국가들과 대미-대서방견제전략을 함께 하는 연계를 시작하면서 앞으로 어떤 중심을 보여줄지도 미지수로 작용하고 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나토]]회원국인 튀르키예가 [[미국]], [[유럽 연합]]과 갈등을 겪으면서 상하이 협력기구에 가입하겠다는 발언(!)을 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0&aid=0003021337|#]] 2021년 9월 17일, [[이란]]이 정식 회원국으로 승인되고 2023년 7월 4일 가입하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469&aid=0000630457|#]] 2022년 9월 16일, [[벨라루스]]가 정식 회원국으로 승인되었다. 2022년 9월 17일, '''[[NATO]] 정회원국인''' [[튀르키예]]의 에르도안 대통령이 상하이 협력 기구 가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795748?sid=104|#]] == 회원국 == === 정회원국(Member States)과 참관국 === [include(틀:상하이 협력기구)] === 대화 동반자(협력 파트너)(Dialogue Partners) === *\ [include(틀:국기, 국명=스리랑카)] *\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메니아)] *\ [include(틀:국기, 국명=아제르바이잔)] *\ [include(틀:국기, 국명=캄보디아)] *\ [include(틀:국기, 국명=네팔)] *\ [include(틀:국기, 국명=이집트)] *\ [include(틀:국기, 국명=카타르)] *\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 [include(틀:국기, 국명=쿠웨이트)] *\ [include(틀:국기, 국명=몰디브)] *\ [include(틀:국기, 국명=미얀마)] *\ [include(틀:국기, 국명=아랍에미리트)] === 초청 국가 및 기구(Guest Attendances) === *\ [include(틀:국기, 국명=투르크메니스탄)] *\ [include(틀:국기, 속령=독립국가연합)] *\ [include(틀:깃발, 깃발=ASEAN)] *\ [include(틀:깃발, 기=UN)] == 같이 보기 == [include(틀:신냉전)]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러시아 관련 문서)] [include(틀:중화권-러시아 관계 관련 문서)] [include(틀:타지키스탄 관련 문서)] [include(틀:우즈베키스탄 관련 문서)] [include(틀:이란 관련 문서)] [include(틀:인도 관련 문서)] * [[바르샤바 조약기구]] * [[러시아-벨라루스 연맹국]] * [[주권국가연맹]] * [[집단안보 조약기구]] * [[유라시아 경제 연합]] * [[독립국가연합]] [[분류:국제기구]][[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분류:신냉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