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상하이시의 대학]][[분류:외국어대학교]][[분류:UKCHA]] || [[파일:shwgydx_xh_png-160328.png|height=20]] {{{#1070ff '''상하이외국어대학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소속대학)] [include(틀:아시아 지역 외국어대학 협의체)] [include(틀:영국-중국 인문학 연구 연합)] }}} || [include(틀:상하이외국어대학)] ||<-3> {{{#fff '''상하이외국어대학'''}}}[br]{{{+4 {{{#fff '''上海外国語大学'''}}}}}}[br]{{{#ffdd00 '''Shanghai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 ||<-3> [[파일:shwgydx_xh_png-160328.png|width=300|]] || ||<-2>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2> {{{#fff '''분류'''}}} ||[[국립대학]] || ||<-2> {{{#fff '''개교'''}}} ||1949년 12월 || ||<-2> {{{#fff '''교훈'''}}} ||격고지원 학관중외 (格高志遠 學貫中外) || ||<-2> {{{#fff '''총장'''}}} ||리옌쏭(李岩松) || ||<-2> {{{#fff '''당위서기'''}}} ||지앙펑(姜锋) || ||<|2> '''재학생''' || '''학부생''' ||5,972명 || || '''연구생''' ||2,827명 || ||<-2> '''외국인 유학생''' ||1,595명 || ||<-2> {{{#fff '''주소'''}}} ||{{{#888,#ff0 홍커우캠퍼스(虹口校区)}}}[br][[상하이시]] 대련서로 550호[br](中国上海市大连西路550号)[br] ------ {{{#888,#ff0 송장캠퍼스(松江校区)}}}[br][[상하이시]] 문상로 1550호[br](中国上海市文翔路1550号) || ||<-2> {{{#fff '''링크'''}}} ||[[http://www.shisu.edu.cn/|중국어]][br][[http://en.shisu.edu.cn/|영어]][br][[http://ko.shisu.edu.cn/|한국어]][br][[http://ja.shisu.edu.cn/|일본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up_14177662790712632_0.png|width=100%]]|| || {{{#fff '''상하이외국어대학'''}}} || >[youtube(ln_2AZ7Sdm0)] >상해외대 개교 70주년 영상 상하이외국어대학은 1949년에 설립된 중국교육부 직속 [[대학교]]이다. 중문 약칭은 '上外[* 상외](샹와이)'이며 영문 약칭은 '''SISU''' ( '''S'''hanghai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이다. 상하이외국어대학은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 직속으로 [[상하이시]]와 공동으로 운영하며, 국가 “[[211공정]]” 과 “쌍일류(세계 일류의 대학과 일류 학과)” 건설항목에 포함된 외국어중점 대학이고 1949년 12월 신중국이 성립된 후 가장 먼저 창립한 고등외국어대학이며, 화동인민혁명대학에 부설된 상해러시아어학교가 본 대학교의 시초였다. 또한, 본교 통번역 대학원은 국제회의통역사협회(AIIC)로부터 전세계 최고 평점를 받았으며, 홍콩 · 마카오 · 대만을 포함한 중국에서 유일하게 세계15위에 들어간 전문적인 회의통역사를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상하이외국어대학이나 상해외국어대학, 혹은 줄여서 상하이외대, 상해외대 라고 부른다. 여러모로 [[부산외국어대학교]]와 비슷한 점이 많다. 다만, 상해외대는 국립대로, 상해외대 출신자는 상해에서만큼은 정말 [[영어]]에 능통한 명문대생 이미지다.[* 단 [[중국]] 내 타 지역에서는 비교적 약세다.] == 상세 == 상하이외국어대학은 1949년 설립돼, 그 전신은 화동인민혁명대학 부설 상하이러시아어학교[* 어문학교]이며, 초대 총장은 저명한 러시아어 번역가, 출판가, 중국 백과사전 사업의 창시자 장춘팡이다. 그 후 화동인민혁명대학 부설 외국어전문학교, 상하이 러시아어전문학교, 상하이외국어학원 등의 계승과 변혁을 거쳐 1963년 [[중국 교육부]] 중점대학에 등록되었다. 1985년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 학교의 영문 교명은 'Shanghai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약칭 'SISU')[* 직역하자면 상해국제학대학]로 확정되었고, 1994년 '상하이 외국어 대학'으로 정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62개국 및 지역의 440개 이상의 대학, 문화 및 교육 연구 기관 및 국제 기구와 협력 관계를 구축했으며 [[유엔]] 본부 및 지점, 유럽 위원회 및 유럽의회와 협력 프레임워크 협정을 체결한 중국 대학이며 아시아-아프리카 연구 국제 연맹, 중국-영국 고등 교육 인문 연맹, 중국-러시아 종합 대학 연맹, 중일 인문 교류 대학 연맹 및 기타 국제 학술 연맹에 가입했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이 대학은 [[홍커우]]와 송장 두 캠퍼스에 위치하며 총 74.7[[헥타르]]의 면적을 차지한다. 22개의 교육 학부, 55개의 학부 전공 및 49개의 언어로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 "이중 일류" 학문 건설 대상 학과 1개와 국가 수준의 3개의 중요한 학문 분야(1개는 육성 중)를 보유하고 있다. [[박사]] 후 연구 이동 스테이션 3개, 제1급 학문 분야 박사 과정 3개, 제1급 학문 분야 석사 과정 8개, 전문 석사 과정 8개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3,624명의 대학원생이 있다. == 개설 학과 == || {{{#ffffff '''학사과정''' }}} || ||영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라비아어, 일본어, 페르시아어, 한국어, 인도네시아어, 태국어, 히브리어, 베트남어, 포르투갈어, 스웨덴어, 터키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네덜란드어, 우크라이나어, 힌디어, 헝가리어, 우즈베키스탄어, 카자흐스탄어, 폴란드어, 체코어, 중국어, 통역, 비지니스영어, 신문학, 커뮤니케이션, 광고학, 인터넷미디어, 금융학, 국제경제및무역, 법학, 국제정치, 행정학, 교육공학, 중국어국제교육, 정보관리및정보시스템, 공상관리, 회계학, 공공관계학|| |||| {{{#ffffff '''중점학과''' }}} || ||{{{#!wiki style="text-align:center" {{{#ffffff '''국가급중점학과'''}}}}}} || 영어, 러시아어, 아라비아어 || ||{{{#!wiki style="text-align:center" {{{#ffffff '''국가급비통용어인재배양'''}}}}}} ||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 ||{{{#!wiki style="text-align:center" {{{#ffffff '''상하이시중점학과'''}}}}}} || 아라비아어, 국제관계 || ||{{{#!wiki style="text-align:center" {{{#ffffff '''학교급중점학과'''}}}}}} ||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정치학, 신문학, 공상관리, 외국어및응용어언학 || || {{{#ffffff '''석사과정''' }}} || ||금융학, 국제무역, 응용통계학, 정치제도, 국제정치, 국제관계, 외교학, 국제공공관리, 중국학, 국제지역연구, 사상정치교육, 교육과정및교수론, 성인교육학, 교육공학, 체육교육학, 언어학및응용언어학, 중국어문자학, 중국고대어, 중국현대어문, 비교문학및세계문학,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스페인어, 아라비아어, 유럽어문학, 아시아및아프리카어문학, 외국어및응용어언학, 통역학, 언어전략및언어정책학, 신문학, 커뮤니케이션, 광고학, 기업관리, 기술경제및관리, 공공관계학|| || {{{#ffffff '''박사과정''' }}} || ||국제정치, 국제관계, 외교학, 중동연구, 중국학, 국제지역연구,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아라비아어, 아시아및아프리카어문학, 외국어언학및응용학, 통역학, 언어전략및언어정책학, 중국어국제교육, 비교문학과다문화연구, 글로벌커뮤니케이션|| == 출신 인물 == * [[추궈훙]] : 전 주한 중국대사 (일본어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