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새털이}}}[br]Bird louse}}}''' || ||<-2> [[파일:bird lice.jpg|width=300]] || ||<#F93> '''학명''' || ~~'''Mallophaga''' Nitzsch, 1818~~[* 말소된 분류군 학명. 다계통군으로 밝혀졌다.] || ||<-2><#F96>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s-2.2|{{{#000 '''계'''}}}]] ||[[동물|동물계]] || ||<#FC6> [[생물 분류 단계#s-2.3|{{{#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FC6> [[생물 분류 단계#s-2.4|{{{#000 '''강'''}}}]] ||[[곤충강]](Insecta) || ||<#FC6> [[생물 분류 단계#s-2.5|{{{#000 '''목'''}}}]] ||다듬이벌레목(Psocoptera/Psocodea) || ||<#FC6> [[생물 분류 단계#s-2.5|{{{#000 '''아목'''}}}]] ||Troctomorpha || ||<#FC6> [[생물 분류 단계#s-2.5|{{{#000 '''하목'''}}}]] ||미소다듬이벌레하목(Nanopsocetae) || ||<-2><#F96> [[생물 분류 단계#s-2.6|{{{#000 '''과'''}}}]] || ||<-2>'''새털이과'''(Menoponidae) '''짐승털이과'''(Trichodectidae) '''쥐털이과'''(Gyropidae) '''Laemobothriidae''' '''Ricinidae''' '''Philopteridae'''|| [목차] == 개요 == 새에 기생하는 주요외부기생충이다. 한때 새털이목(Mallophaga)라는 분류군에 속해 있었으나 외형의 유사성으로 이목에 합쳐졌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다계통군임이 밝혀져 다듬이벌레목의 하위 분류군(Infraorder Nanopsocetae)에 흩뿌려진 마당이다. 현재 크게 3개의 과로 나눠진다. == 특징 == 몸의 크기는 소형 내지 미소형으로 등∙배가 납작하며, 몸길이는 0.3~20㎜이나, 1~3㎜ 정도의 미소형도 많다. 전체적으로 경화 형상이 강하다. 머리는 전구식이며, 움직이는 게 자유롭고, 머리의 크기가 크고 넓다. 머리의 전방은 다소 둥근 삼각형이다. 입은 하구식으로 변형된 저작형이거나, 찔러서 빠는 형이다. 더듬이는 짧고, 실 모양 또는 강모나 곤봉모양으로 3~5마디로 때로는 머리 홈에 숨긴다. 겹눈은 퇴화하고 홑눈은 없다. 앞가슴은 분리되어 있고, 가운데가슴과 뒷가슴은 합쳐져 있다. 날개가 없다. 다리는 모두 같은 구조를 이루고, 발목마디는 1~2마디로 발톱이 없는 경우가 있으나, 대체로 1~2개의 발톱이 있으며, 간단하거나 혹은 깃털을 잡는데 알맞게 변형되어 있다. 가슴과 배의 숨구멍은 배쪽에 있다. 배는 보통 9마디, 가시복절은 10마디이며, 미모는 없다. 배는 등판과 옆판, 배판이 명료한 막질부에 의하여 구분된다. == 생태 == [[가금류]]에게서 발견된다. 야생 조류의 깃털들 사이에서도 살며, 과거 [[중생대]]에서도 새털이와 연관된 곤충의 화석들이 나온 적이 있다.[* 아무래도 [[이(곤충)|이]]의 선측계통 쪽에 위치하는 쪽으로서 [[깃털 공룡]]들의 깃털과 각질 부스러기를 먹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또한 [[소]], [[말(동물)|말]], [[양(동물)|양]], [[개]] 등의 [[가축]]이나 짐승에게서도 보인다. 전 생애를 숙주에서 생활한다. 피부의 부스러기나 짐승의 털을 먹는다. 즉, 완전히 죽어서 건조한 피부 물질을 먹을 뿐 흡혈은 하지 않는다. 조류에서 피해가 심할 때는 낙모 현상[* 털이 빠지는 현상. 벌레에 의한 [[탈모]] 현상이라고 보면 된다.]도 일어난다. 수컷이 매우 적어 때때로 단위생식을 할 가능성이 있고, 암컷은 산란할때 부속샘에서 시멘트 물질을 분비하여 털이나 깃털에 알을 붙여 낳는다. 알 기간은 매우 짧고, 유충은 몇 일만에 3회의 탈피를 하고, 성충이되면 며칠 내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새로운 숙주로 이동은 직접적인 접촉 때 일어나지만 흡혈성 파리가 매개하는 수도 있다. 전세계에 2,700종 내외(12과 약 4,000종), 우리나라에도 5과 14종이 알려져 있다. [[분류:다듬이벌레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