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서 [[저그]]가 [[생 해처리]] 이후에도 [[스포닝 풀]]이 없이 [[트리플 해처리]] 확장을 성립하도록 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 [[스타크래프트 1]] == === [[브루드 워]] === ==== [[저프전]] ==== 2번째, 3번째 해처리가 모두 자원지대에 완공[* 주로 2번째는 앞마당, 3번째는 그 다음으로 가까운 자원지대에 건설하는 것이 주요 형태이다.]. [[12앞마당]]의 경우, [[전진 게이트]]등의 [[2게이트 질럿]] 러쉬를 상대로 초반 찌르기에 많은 피해만 입지 않으면 빠르게 확보한 다수의 라바를 앞세워 전략이나 운영에서 우위를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프로토스가 12앞을 상대로 [[생넥]]을 사용했을 때에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면 생넥 토스는 노 풀 3햇 저그에 대하여 상당히 밀리며 토스는 초반에 견제도 제대로 못한다. ===== 저그의 활용 ===== ====== [[생 넥서스]]에 대응 ====== [[섬맵]]의 경우, [[ASL 시즌10]] 8강 플라즈마에서 김명운이 도재욱을 상대로 '생 트리플 해처리'를 시전하여 승리하였다. * 생 트리플 해처리 → 저글링 러쉬 || [[피디팝 MSL]] [br]8강 C조 2세트 (벤젠) [[김명운]] vs [[송병구]] || || [youtube(BN4n-gAjBSg?start=54)] || [[https://www.youtube.com/watch?v=BN4n-gAjBSg&t=54s|#]]12드론 [[생 해처리]] → [[https://www.youtube.com/watch?v=BN4n-gAjBSg&t=94s|생 트리플 해처리]] 이 세트에서 김명운은 혹시나 프로브 정찰로 몰래 확장에 대한 견제를 당할 확률을 낮추고자, 앞마당 확장의 순서를 비교적 나중에 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 [[테저전]] ==== ===== 저그의 활용 ===== ====== [[1배럭 더블]]에 대응 ====== * 생 트리플 해처리 → [[3해처리 레어]] || [[ABC마트 MSL]] 2011.4.21[br]32강 H조 2경기 (몬테크리스토) [[이영한]] vs [[김기현]] || || [youtube(_CRjZ1GuGuQ?start=93)] || 김기현은 '[[https://www.youtube.com/watch?v=_CRjZ1GuGuQ&t=162s|#]][[1배럭 더블]]'으로 시작하였다. 이영한은 '[[https://www.youtube.com/watch?v=_CRjZ1GuGuQ&t=93s|#]]12드론 [[생 해처리]] → [[https://www.youtube.com/watch?v=_CRjZ1GuGuQ&t=124s|1번째 트리플 시도]] → [[https://www.youtube.com/watch?v=_CRjZ1GuGuQ&t=170s|2번째 트리플 시도]] → [[3해처리 레어]] → [[선 러커]] → [[패스트 가디언]]' ===== 테란의 대응 ===== ====== [[1팩 더블]]에서의 대응 ======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2019년 7월 21일[br]16강 A조 2경기 (트라이포드) [[조기석]] vs [[서문지훈]] || || [youtube(3q4G6LuT3t8?start=2913)] || 서문지훈의 '[[https://www.youtube.com/watch?v=3q4G6LuT3t8&t=2827s|#]]12드론 [[생 해처리]] → [[https://www.youtube.com/watch?v=3q4G6LuT3t8&t=2870s|생 트리플 해처리]]'를 상대로, 조기석은 '[[https://www.youtube.com/watch?v=3q4G6LuT3t8&t=2913s|1팩 더블]]'로 대응하고 승리하였다. ====== [[1팩 1스타 더블]]에서의 대응 ====== * 1팩 1스타 더블 → 5팩 1스타 트리플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2019년 7월 30일[br]16강 D조 2경기 (트라이포드) [[이영호]] vs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 || [youtube(tsqDvpV2RZw?start=2691)] || 김민철의 '[[https://www.youtube.com/watch?v=tsqDvpV2RZw&t=2691s|#]]12드론 [[생 해처리]] → 생 트리플 해처리'를 상대로, 이영호는 '[[https://www.youtube.com/watch?v=tsqDvpV2RZw&t=2795s|#]][[1팩 1스타 더블]] → [[https://www.youtube.com/watch?v=tsqDvpV2RZw&t=3168s|5팩 1스타 트리플]]'로 대응하고 승리하였다. == [[스타크래프트 2]] == 스타2에서는 '노못 트리플'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스타1보다 초반 압박으로부터 조금은 자유로운 스2 특성상, 노못 트리플은 거의 반 정석으로 자주 쓰인다.[* 단 테란 측에서 작정하고 [[전진 2병영 해병]]같은 전진 병영 계열의 날빌을 쓴다면 '''병영이 지어지는 것을 봤더라도''' 이미 늦었다.] === [[자유의 날개]] === 2012 HOT6 GSL Season 5에서는 안호진이 신노열에게 11/11을 써서 막혔는데 이 때 신노열의 빌드는 최악의 상성이라는 노 산란못 3부화장+선 가스였다. 스타1의 유영진 vs 조일장과 비슷한 어이없는 컨트롤로 말아먹은 것도 똑같다. [[분류:스타크래프트/전략전술]][[분류:스타크래프트 2/전략전술]][[분류:저그 빌드오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