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모지)] ||<-2> [[파일:thinking.svg|width=100px]] || ||<-2> [[트위터]]의 생각하는 얼굴 || || 이름 || 생각하는 얼굴 || || 추가 버전 || 유니코드 8.0(이모지 1.0) || || 원본 문서 || [[https://www.unicode.org/L2/L2014/14174r-emoji-additions.pdf]] || || 유니코드 || U+1F914 || [목차][clearfix] == 개요 == 🤔 Thinking Face V자 손으로 턱을 짚고 생각하는 표정을 짓고 있는 [[이모지]]다. == [[밈(인터넷 용어)|밈]] == 2015년에 새롭게 추가되자마자 [[트위터]]를 필두로 서양에서 인기를 끌었다. [[https://nymag.com/intelligencer/2015/12/when-words-fail-theres-thinking-face-emoji.html|#]] 2016년부터 할 말이 없거나 어이없는 뉴스에 해당 이모지만 남기는 것이 밈이 되었고 트위터 이외에도 [[레딧]]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레딧 영상을 많이 만들던 시절의 [[퓨디파이]]가 'hmm'이라는 의성어와 함께 자주 사용했다. 얼굴형 [[이모지]] 중에서 꽤 자주 쓰이는 편이다. [[흠터레스팅]] 밈과도 관련이 있다. [[https://home.unicode.org/emoji/emoji-frequency/|2021년 유니코드 컨소시엄의 조사(데스크탑에서만 표가 보인다)]]에서는 전체 이모지 중 26위, 얼굴형 이모지 중 16위를 차지했는데, 1위인 😂처럼 밈으로도 일상적으로도 자주 쓰이는 이모지보다는 낮은 성적이다. 밈 소비 목적이 아니라 일상적 용도로만 SNS를 활용하는 사람이 쓸 만한 상황이 별로 없어서인듯. == 바리에이션 == 밈이 된 이후 아래와 같은 [[짤방]]들이 생산되고 퍼지고 있다. [[파일:hmm.png|width=400]] 그림판 버전. 주로 'thonk'라고 불린다. [[파일:hmm.gif|width=400]] [[분류:특수 문자]][[분류:인터넷 밈/기타 분야]]